한국   대만   중국   일본 
八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八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삿된 生活 에서 넘어옴)

8社 (八邪)는 8程度 (八正道)의 反對로, [身]  · [語]  · [意, 마음 ]으로 行하는 다음의 8가지 種類의 잘못된 行爲, 또는 8가지 그릇된 길을 말한다. [1] [2] [3]

8蛇行 (八邪行), 8사지 (八邪支) 또는 8社法 (八邪法)이라고도 한다. [1] [2]

  1. 私見 (邪見)  · 否定犬 (不正見)  · 惡見 (惡見)
  2. 社事由 (邪思惟)  · 사지 (邪志)  · 四史 (邪思)  · 否定思惟 (不正思惟)
  3. 死語 (邪語)
  4. 事業 (邪業)
  5. 使命 (邪命) 또는 死活名 (邪活命)
  6. 사정진 (邪精進) 또는 四方便 (邪方便)
  7. 思念 (邪念)
  8. 事情 (邪定)

8社 [ 編輯 ]

私見 [ 編輯 ]

私見 (邪見)은 8程度 (八正道) 가운데 政見 (正見: 바르게 보기, 바른 見解)의 反對이다. 否定犬 (不正見) 또는 惡見 (惡見)이라고도 한다. [1] [2]

私見(邪見)은 그릇된 見解 또는 바르지 않은 見解 를 말하는데, 具體的으로는, 因果 (因果)  · 功德 (功德)  · 父母 (父母)  · 成人 (聖人) 等의 見解를 不信 하는 것을 말하며, 特히, 因果 (因果)를 否定하는 것을 말한다. [4] [5] [6]

社事由 [ 編輯 ]

社事由 (邪思惟)는 8程度 (八正道) 가운데 正思惟 (正思惟: 바르게 생각하기)의 反對이다. 사지 (邪志)  · 四史 (邪思) 또는 否定思惟 (不正思惟)라고도 한다. [1] [2] [7]

社事由 (邪思惟)는 그릇된 생각, 바르지 않은 事由, 바르지 않은 생각, 또는 佛敎의 참된 道理에 어긋나는 생각을 말하는데, 具體的으로는, 惡慾 [欲, 惡欲: 不宣 限 欲求, 願함, 希望, 特히 貪慾 · (?, 瞋: 성냄)  · (害: 해치려 함) 等의 煩惱性 마음作用 을 말한다. [7] [8] [9]

아래에 引用된 《 잡亞合慶 》 第13卷 第334景〈유인유緣由朴法經(有因有緣有縛法經)〉에서 고타마 붓다 無名 (無明)과 社事由 (邪思惟) 卽 否定思惟 (不正思惟)의 關係를 보여주는 說法을 하고 있다.

이 說法에서 고타마 붓다 는 無名(無明)이란, (根)  · (境)  · (識)의 和合 이 일어날 때 以前까지 쌓은 染汚 (染?)韓 (業)으로 인해 該當 (境)에 對한 否定思惟 (不正思惟)가 일어나며 이 否定思惟 로 因해 [該當 (境)과 그 理致에 對한, 卽 (事)와 (理)에 對한] (癡) 卽 어리석음 이 일어나는데 이 어리석음 이 곧 無名 (無明)이라고 말하고 있다. [10] [11]

이 說法에서 고타마 붓다 8程度 正思惟 (正思惟)의 反對인 否定思惟 (不正思惟: 바르지 않은 事由, 바르지 않은 생각)가 無名 (無明) 卽 無知 (無知)의 原因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고타마 붓다 는, 다시 無名 渴愛 (執着, 愛慾)의 原因이 되며, 다시 渴愛 (執着, 愛慾)는 染汚 (染?)韓 의 原因이 되며, 染汚 (染?)韓 汚染된 마음 , 卽 3係 에 束縛된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原因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고타마 붓다 否定思惟 (不正思惟: 바르지 않은 事由, 바르지 않은 생각)가 無名 (無明) 卽 無知 (無知)의 原因이지만, 이렇게 否定思惟 에서 생겨난 無名 (無明) 卽 無知 (無知)는 다시 [더 큰 또는 더 汚染된] 否定思惟 (不正思惟: 바르지 않은 事由, 바르지 않은 생각)의 原因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云何有因.有緣.有縛法經。謂眼有因.有緣.有縛。

何等?眼因.眼緣.眼縛。謂眼業因.業緣.業縛。

業有因.有緣.有縛。何等?業因.業緣.業縛。謂業愛因.愛緣.愛縛。

愛有因.有緣.有縛。何等?愛因.愛緣.愛縛。謂愛無明因.無明緣.無明縛。

無明有因.有緣.有縛。何等無明因.無明緣.無明縛。謂無明不正思惟因.不正思惟緣.不正思惟縛。

不正思惟有因.有緣.有縛。何等不正思惟因.不正思惟緣.不正思惟縛。謂緣眼.色。生不正思惟。生於癡。

緣眼.色。生不正思惟。生於癡。彼癡者是無明。癡求欲名?愛。愛所作名?業。

如是。比丘。不正思惟因無明?愛。

無明因愛。愛因?業。業因?眼。耳.鼻.舌.身.意亦如是說。是名有因緣.有縛法經。

? 《잡亞合慶》 第13卷 第334景〈유인유緣由朴法經(有因有緣有縛法經)〉 漢文本

무엇을 〈유인유緣由朴法經(有因  · 有緣  · 有縛法經)〉이라고 하는가? 말하자면 安息 [眼]에는 (因)이 있고 (緣)이 있으며 束縛시키는 者 [縛]가 있다는 것이다.



무엇이 安息 [眼]의 (因), 安息 (緣), 安息 束縛시키는 者 [縛]인가? [只今까지 쌓은] (業, 卽 染汚 (染?)韓 )이 安息 이고, 安息 이며, 安息 을 [3係(三界)의 색경(色境)에] 束縛시키는 者 이다.

(業, 卽 染汚 (染?)韓 )에도 (因)이 있고 (緣)이 있으며 束縛시키는 者 [縛]가 있다. 무엇이 , , 束縛시키는 者 認可? 渴愛 [愛, 執着, 愛慾]가 이며, 이며, 을 [卽, 安息의 業을 3係(三界)의 색경(色境)에] 束縛시키는 者 이다.

渴愛 [愛, 執着, 愛慾]에도 (因)이 있고 (緣)이 있으며 束縛시키는 者 [縛]가 있다. 무엇이 渴愛 (執着)의 , 渴愛 (執着)의 , 渴愛 (執着)를 束縛시키는 者 認可? 無明(無明)이 渴愛 (執着)의 이며, 渴愛 (執着)의 이며, 渴愛 (執着)를 [3係(三界)의 색경(色境)에] 束縛시키는 者 이다.

無名(無明)에도 (因)이 있고 (緣)이 있으며 束縛시키는 者 [縛]가 있다. 무엇이 無名의 , 無名의 , 무명을 束縛시키는 者 認可? 否定思惟 (不正思惟: 바르지 않은 事由, 바르지 않은 생각)가 無名의 이며, 無名의 이며, 무명을 [3係(三界)의 색경(色境)에] 束縛시키는 者 이다.

否定思惟 (不正思惟: 바르지 않은 事由, 바르지 않은 생각, 8程度 正思惟 의 反對)에도 (因)이 있고 (緣)이 있으며 束縛시키는 者 [縛]가 있다. 무엇이 否定思惟 , 否定思惟 , 否定思惟 를 [3係(三界)의 색경(色境)에] 束縛시키는 者 認可? 安息 [眼]과 색경 [色]을 因緣[緣]하여 否定思惟 가 생기고 그 否定思惟 에서 생겨난 어리석음 [癡]李 다시 否定思惟 이며, 否定思惟 이며, 否定思惟 를 [3係(三界)의 색경(色境)에] 束縛시키는 者 이다.

安息 색경 을 引延하여 否定思惟 를 일으키고 어리석음 을 일으킬 때, 그 어리석음 [癡]李 바로 곧 無名(無明)이다. 바로 이 어리석음 을 바탕하여 求하고 願하는 것 [求欲]을 渴愛 [愛, 執着, 愛慾]라 하며, 渴愛 [愛, 執着, 愛慾]에 바탕하여 짓는 것[所作]을 (業, 卽 染汚 (染?)韓 )이라 한다.

이와 같이[如是], 比丘들이여, 否定思惟 (不正思惟: 바르지 않은 事由, 바르지 않은 생각, 8程度 正思惟 의 反對)는 無名 (無明)을 原因[因]으로 하여 渴愛 [愛, 執着, 愛慾]가 된다[不正思惟因無明?愛].

[이와 같이] 無名 을 原因으로 하여 渴愛 (執着, 愛慾)가 생기고[無明因愛], 渴愛 (執着, 愛慾)를 原因으로 하여 (業, 卽 染汚 (染?)韓 )이 생기고[愛因?業], ( 染汚 (染?)韓 )을 原因으로 하여 [갖가지로 汚染된, 卽 갖가지 煩惱에 물든, 卽 3界의 색경에 束縛된] 安息 [眼]李 생긴다[業因?眼]. 移植 [耳]  · 鼻息 [鼻]  · 舌識 [舌]  · 新式 [身]  · 意識 [意]도 또한 이와 같다. 이것을 일러 〈유인유緣由朴法經[有因緣  · 有縛法經]〉이라 한다."

? 《잡亞合慶》 第13卷 第334景〈유인유緣由朴法經(有因有緣有縛法經)〉 한글本

死語 [ 編輯 ]

死語 (邪語)는 8程度 (八正道) 가운데 正語 (正語: 바르게 말하기)의 反對이다. [1] [2]

死語(邪語)는 그릇된 말, 바르지 않은 말, 正當하지 못한 말을 말하는데, 具體的으로는, 妄語 (妄語)  · 兩舌 (兩舌)  · 惡口 (惡口)  · 기어 (綺語)의 로 짓는 4가지 惡行 을 말한다. [12] [13] [14]

事業 [ 編輯 ]

事業 (邪業)은 8程度 (八正道) 가운데 正業 (正業: 바르게 行動하기)의 反對이다. [1] [2]

事業(邪業)은 그릇된 行動 또는 바르지 않은 行動을 말하는데, 具體的으로는, 殺生 (殺生)  · 偸盜 (偸盜)  · 邪淫 (邪淫)  · 飮酒 (?酒) 等의 惡行 을 말한다. [23] [24] [25]

  • 殺生 (殺生)은 中生 을 죽이는 것, 卽 사람이나 動物 等 살아 있는 것을 죽이는 것을 말한다. 5악 (五惡)의 하나이며 10악 (十惡)의 하나이다. [26] [27]
  • 偸盜 (偸盜)는 不與取 (不與取)라고도 하며, 도둑질, 남의 것을 훔치는 것, 남의 財物을 훔치는 것, 또는 남이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5악 (五惡)의 하나이며 10악 (十惡)의 하나이다. [28] [29]
  • 邪淫 (邪淫)은 配偶者가 아닌 사람과 正敎를 맺는 것 또는 男女間에 저지르는 淫亂한 짓을 말한다. 5악 (五惡)의 하나이며 10악 (十惡)의 하나이다. [30] [31]
  • 飮酒 (?酒)는 술마시는 것을 말한다. 5악 (五惡)의 하나이다. 飮酒 5악 中 나머지 4가지 妄語   · 殺生   · 偸盜   · 邪淫 을 犯하는 動機가 되므로 5악 에 包含시켜 警戒하게 한 것이다. [32]

使命 [ 編輯 ]

使命 (邪命, 삿된 生活, 그릇된 生活, 삿된 生計, 그릇된 生計)은 8程度 (八正道) 가운데 正名 (正命: 바르게 生活하기)의 反對이다. 死活名 (邪活命)이라고도 한다. [1] [2]

使命(邪命)은 불여法 (不如法)으로 生活하는 것 또는 正當하지 못한 手段으로 生活하는 것을 말한다. [33] [34] [35] [36]

대승광오온론 》에 따르면, 使命 (邪命)은 (?: 남을 속임)이라는 煩惱性 마음作用 소의 (所依) 卽 依支處 또는 發動根據 로 하여 일어난다. [37] [38]

사정진 [ 編輯 ]

사정진 (邪精進)은 8程度 (八正道) 가운데 正精進 (正精進) 또는 精勤 (正勤: 바르게 精進하기)의 反對이다. 四方便 (邪方便)이라고도 한다. [1] [2]

사정진(邪精進)은 나쁜 일 卽 不宣 (不善)한 일을 짓는 그릇된 隨行 , 方便 또는 精進 마음作用 을 말한다. [39]

思念 [ 編輯 ]

思念 (邪念)은 8程度 (八正道) 가운데 情念 (正念: 바르게 깨어있기)의 反對이다. [1] [2] [3]

思念(邪念)은 바르게 깨어있지 못하는 것을 말하는데, 具體的으로는, 그릇된 (觀)과 (念)의 마음作用 을 말한다. [40] [41]

事情 [ 編輯 ]

事情 (邪定)은 8程度 (八正道) 가운데 訂正 (正定: 바르게 三摩地하기, 바르게 集中하기)의 反對이다. [1] [2]

事情(邪定)은 바르게 三摩地 못하는 것 卽 바르게 集中하지 못하는 것을 말하는데, 달리 말하면, 訂正 (正定) 卽 바른 三摩地 (三摩地, 三昧, 心一境性)가 아닌 三摩地 (三摩地)를 말한다. [42]

參考 文獻 [ 編輯 ]

  • 곽철환 (2003). 《 施工 佛敎事前 》. 時空社 / 네이버 知識百科.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K.650, T.99). 《 잡아함경(雜阿含經)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650(18-707), T.99(2-1).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안혜 지음, 지바하라 漢譯, 조환기 飜譯 (K.619, T.1613). 《 대승광오온론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619(17-641), T.1613(31-850).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耘虛. 동국譯經院 編輯, 編輯. 《 佛敎 事前 》.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T.99). 《 잡아함경(雜阿含經) 》. 對精神수大藏經. T2, No. 99,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星雲. 《 佛光大辭典(불광대事前) 》 3板.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안혜 兆, 지바하라 漢譯 (T.1613). 《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 對精神수大藏經. T31, No. 1613,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各州 [ 編輯 ]

  1.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八邪行:   「八正道」之對稱。?身、語、意等所犯之八種誤謬。又作八邪支、八邪法。略稱八邪。?:(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二)邪志,又作邪思惟,指欲、?、害等之思惟。(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五)邪命,指不如法之生活。(六) 邪方便,又作邪精進,指?惡事所作之方便精勤。(七)邪念,指不如法之觀念。(八)邪定,指非正定之定。以上八者,乃凡夫外道所常行,求涅槃者悉皆捨離。〔雜阿含經卷二十八、中阿含經卷四十九、八正道經、維摩經弟子品〕"
  2. 耘虛 , " 八邪(八絲)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八邪(八絲): [1] 또는 八美(八迷)ㆍ八戒(八計)ㆍ팔類(八謬)ㆍ八絲(八事). ⇒八美(八迷) [2] 또는 팔蛇行(八邪行)ㆍ팔사지(八邪支). ↔八正道. 卽 私見(邪見)ㆍ사지(邪志;邪思惟)ㆍ사어(邪語)ㆍ사업(邪業)ㆍ사명(邪命)ㆍ사방편(邪方便;邪正進)ㆍ사념(邪念)ㆍ사정(邪定)."
  3. 곽철환 2003 , " 八絲(八邪)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八絲(八邪): 여덟 가지 그릇된 길, 곧 八正道(八正道)의 反對. 私見(邪見)·사사(邪思)·死語(邪語)·事業(邪業)·使命(邪命)·사정진(邪精進)·思念(邪念)·司正(邪定)."
  4. 耘虛 , " 邪見(私見)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見(私見): 5犬(見)의 하나. 10악(5리사ㆍ5遁辭)의 하나. 主로 因果의 道理를 無視하는 옳지 못한 見解. 온갖 望見(妄見)은 다 整理(正理)에 어기는 것이므로 私見이라 하거니와, 特히 因果의 道理를 無視하는 것은 그 허물이 重大하므로 私見이라 函."
  5. 곽철환 2003 , " 私見(邪見)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私見(邪見): 그릇된 見解. 因果(因果)의 理致를 否定하는 見解."
  6.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私見(邪見)
    "(一)邪見,指不信因果、功德、父母、聖人等之見解。"
  7. 星雲 , " 思惟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思惟:   梵語 cintan?。?思考推度。思考?實之道理,稱?正思惟,係八正道之一;反之,則稱邪思惟(不正思惟),乃八邪之一。據長阿含卷八?集經(大一?四九下):「復有二法,二因二緣生於瞋?,一者怨憎,二者不思惟。復有二法,二因二緣生於邪見,一者從他聞,二者邪思惟。復有二法,二因二緣生於正見,一者從他聞,二者正思惟。」又大智度論卷十九載,菩薩於諸法空無所住,如是正見,觀正思惟相,知一切思惟皆是邪思惟,乃至思惟涅槃、思惟佛皆亦如是。而斷一切思惟分別,是名正思惟。又思惟有種種分別,長阿含卷八?集經?出少思惟、廣思惟、無量思惟、無所有思惟四種。顯揚聖?論卷二列?正思惟有離欲思惟、無?思惟、無害思惟三種。瑜伽師地論卷十一則?出不正思惟有我思惟、有情思惟、世間思惟三種。此外,轉識論中,將思惟?如騎者,作意?如馬之直行,而明思惟與作意之別。〔雜阿含經卷二十八、六十華嚴經卷十一、觀無量壽經、大品般若經卷二十六平等品〕"
  8. 耘虛 , " 邪思惟(社事由)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思惟(社事由): ↔ 正思惟(正思惟). 佛敎의 鎭靜한 道理에 어긋나는 事故(思考)."
  9.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사지(邪志) 또는 社事由(邪思惟)
    "(二)邪志,又作邪思惟,指欲、?、害等之思惟。"
  10.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T.99 , 第13卷 第334景〈유인유緣由朴法經(有因有緣有縛法經)〉. p. T02n0099_p0092b21 - T02n0099_p0092c11 .
  11.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K.650, T.99 , 第13卷 第334景〈유인유緣由朴法經(有因有緣有縛法經)〉. pp. 503-504 / 2145 .
  12. 耘虛 , " 邪語(死語)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語(死語): 正當하지 못한 말. 妄語(妄語)ㆍ兩舌(兩說)ㆍ醜惡어(?惡語)ㆍ기어(綺語)등."
  13.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死語(邪語)
    "(三)邪語,指妄語、兩舌、惡口、綺語等。"
  14. 星雲 , " 邪語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語:   由貪、瞋、癡所生之不正之言語。?「正語」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如妄語、兩舌、綺語、惡口等皆是邪語。〔中阿含卷四十九說智經、俱舍論卷十七〕"
  15. 耘虛 , " 妄語(妄語)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妄語(妄語): 10惡(惡)의 하나. 입[口]으로 지은 4科(過)의 하나. 虛曠어(虛?語)라고도 한다. 眞實値 못한 虛妄한 말을 하는 것. 거짓말."
  16. 곽철환 2003 , " 十惡(十惡)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妄語(妄語)
    "(4) 妄語(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
  17. 耘虛 , " 兩舌(兩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兩舌(兩舌): 10惡(惡)의 하나. 두 말 하는 것. 兩쪽 사람에 對하여 번갈아 서로 틀리는 말을 함. 그리하여 兩쪽 사람의 사이를 離間하여 不和케 함. 신역(新譯)에서는 離間語(離間語)라 函."
  18. 곽철환 2003 , " 十惡(十惡)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兩舌(兩舌)
    "(6) 兩舌(兩舌). 離間질하는 말."
  19. 耘虛 , " 惡口(惡口)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惡口(惡口): 10惡의 하나. 신역에서는 醜惡어(?惡語). 남을 성내게 할 만한 나쁜 말."
  20. 곽철환 2003 , " 十惡(十惡)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惡口(惡口)
    "(5) 惡口(惡口). 남을 괴롭히는 나쁜 말."
  21. 耘虛 , " 綺語(기어)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綺語(기어): 10惡(惡)의 하나. 또는 雜穢語(雜穢語)ㆍ無衣어(無義語). 道理에 어긋나며 巧妙하게 꾸미는 말."
  22. 곽철환 2003 , " 十惡(十惡)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기어(綺語)
    "(7) 기어(綺語). 眞實이 없는, 巧妙하게 꾸민 말."
  23. 耘虛 , " 邪業(事業)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業(事業): 否定(不正)韓 行爲. 衆生을 죽이는 것ㆍ훔치는 것ㆍ邪淫(邪?)하는 것 等."
  24.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事業(邪業)
    "(四)邪業,指殺生、不與取、邪淫等。"
  25. 星雲 , " [1]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業:   由貪、瞋、癡而起之不正的身業;如殺生、不與取、邪淫等皆是。?「正業」之對稱。係三邪行之一,八邪行之一。〔中阿含經卷四十八、俱舍論卷十七〕"
  26. 耘虛 , " 殺生(殺生)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殺生(殺生): 10惡(惡)의 하나. 人間ㆍ畜生 따위의 목숨을 殺害하는 것. 곧 生物의 목숨을 죽임."
  27. 곽철환 2003 , " 十惡(十惡)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殺生(殺生)
    "(1) 殺生(殺生). 사람이나 動物 따위, 살아 있는 것을 죽임."
  28. 耘虛 , " 偸盜(偸盜)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偸盜(偸盜): 10惡(惡)의 하나. 不與取(不與取)라고도 函. 남이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것. 곧 남의 것을 훔치는 것."
  29. 곽철환 2003 , " 十惡(十惡)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偸盜(偸盜)
    "(2) 偸盜(偸盜). 남의 財物을 훔침."
  30. 耘虛 , " 邪?(邪淫)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邪淫): 5係(戒)의 하나. 裁可(在家) 2重(衆)으로서 優婆塞는 自己 妻妾(妻妾)李 아닌 다른 女子와 淫祀(?事)를 하는 것. 優婆夷度 優婆塞의 境遇와 같음."
  31. 곽철환 2003 , " 十惡(十惡)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淫(邪?)
    "(3) 邪淫(邪?). 男女間에 저지르는 淫亂한 짓."
  32. 耘虛 , " 飮酒(飮酒)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飮酒(飮酒): 술을 마심. 이로 인하여 殺生(殺生)ㆍ偸盜(偸盜)ㆍ淫行(?行)ㆍ妄語(妄語)의 4罪를 犯하는 動機가 되므로 警戒한 것. 飮酒의 10過失(過失). (1) 얼굴빛이 나쁘고 (2) 卑劣하고 (3) 눈이 밝지 못하고 (4) 성내게 되고 (5) 農事ㆍ살림살이를 破壞하고 (6) 病이 생기고 (7) 鬪爭이 많아지고 (8) 나쁜 所聞이 퍼지고 (9) 智慧가 減少되고 죽으면 堊塗에 떨어짐."
  33. 耘虛 , " 邪命(使命)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命(使命): 【汎】 ?j?va 死活名(邪活命)이라고도 함. 正當하지 못한 手段으로 生活함."
  34.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使命(邪命)
    "(五)邪命,指不如法之生活。"
  35. 星雲 , " 不如法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不如法:   「如法」之對稱。又作不法。謂不如正理之義,或謂違背佛法而所行非道。一般而言,遵循佛陀所說之?法,或符合正確、正當之道理者,皆稱?如法;反之,違逆正理而與佛陀所示之?法處處不能相應之情形,則稱不如法。以布施?例,如尊重施、無畏施、不望報施等均?「如法施」;反之,求報施、要名施、希天施等,則?「不如法施」"
  36. 星雲 , " 邪命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邪命:   梵語 mithya-j?va,巴利語 micch?-j?va。八邪行之一。指不以正道而以邪曲之方法生活。全稱邪活命。比丘如?得衣食資具而說法,?稱?邪命說法。大智度論卷三載有四種邪命食,?:(一)下口食,謂種植田園,調合湯藥,以求衣食。(二)仰口食,謂仰觀星宿、風雨,以術數之學求衣食。(三)方口食,謂曲媚權門,阿諛富豪,巧言而求食。(四)維口食,謂?習?術、卜算吉凶以求衣食。又同書卷十九則說邪命有五種,而稱五種邪命(又稱五邪),??得財物而行如下五事:(一)以詐欺表現奇特之異相,(二)誇耀自己之功德,(三)占吉凶,(四)高聲威?,(五)稱讚供養者。摩訶僧祇律卷七亦列?身邪命、口邪命、身口邪命等三種邪命。
      印度外道中有稱邪命外道者,?指佛世之尼乾子外道。「尼乾子」舊譯「邪命」,實應?作「離繫」,佛?貶稱之?邪命、無?。此外,邪命外道又可作?當時外道修行者之總稱。〔長阿含經卷十四、佛本行集經卷四十五、舍利弗阿毘曇論卷十四、大智度論卷七十三、成實論卷十二、俱舍論卷八、俱舍釋論卷六、成唯識論述記卷一末、大乘義章卷十、摩訶止觀卷七〕(參閱「阿時縛迦派」)"
  37. 안혜 兆, 지바하라 漢譯 & T.1613 , p. T31n1613_p0853b26 - T31n1613_p0853b27 . 狂(?)
    "云何?。謂矯妄於他詐現不實功德?性。是貪之分。能與邪命。所依?業。"
  38. 안혜 지음, 지바하라 漢譯, 조환기 飜譯 & K.619, T.1613 , p. 14 / 24 . 狂(?)
    "무엇을 속임[?]이라고 하는가?
    교만하고 妄靈됨을 말한다. 다른 사람에 對하여 속여서 참된 功德이 없는 것을 드러냄을 性質로 한다. 이는 貪慾의 一部分이다. 삿된 命令이 나타나는 行動樣式이다."
  39.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사정진(邪精進)
    "(六) 邪方便,又作邪精進,指?惡事所作之方便精勤。"
  40.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思念(邪念)
    "(七)邪念,指不如法之觀念。"
  41. 星雲 , "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念   (一)梵語 smrti 或 smriti,巴利語 sati。心所(心之作用)之名,?對所緣之事明白記憶而不令忘失之精神作用。又作憶。於俱舍宗,以之?十大地法之一,唯識宗列?五別境之一。以其具有殊勝力,而?五根、五力之一,稱?念根、念力。「失念」?相反義。〔品類足論卷一、俱舍論卷四、成唯識論卷五、大毘婆沙論卷四十二、瑜伽師地論卷五十五〕   (二)指觀念、口念、心念。觀念,?觀想佛體、佛法等;口念,?以口稱佛之名號,又作稱名念佛;心念,?口念之對稱,?以心想念佛菩薩等,或謂與觀念同義。此類觀念、口念、心念等之攝念法門,散見於諸經論中,如增一阿含經卷一之十念品、卷二廣演品、諸經要集卷三所詳說之「十念」,??十種觀想、思念,以思想十個對象,止息妄想,令心不動亂。詳稱十隨念,?(一)念佛(梵 buddh?nusmrti),專精繫想如來之相好功德。(二)念法(梵 dharm?nusmrti),專精繫想修行軌則及諸佛?法。(三)念?(梵 savgh?nusmrti),又作念僧。專精繫想四雙八輩之聖?。(四)念戒(梵 ??l?nusmrti),專精繫想持戒能止諸惡、成就道品。(五)念施(梵 ty?g?nusmrti),又作念捨。專精繫想布施能破?貪,生長福果,利益一切,而無後悔心及求報心。(六)念天(梵 dev?nusmrti),專精繫想諸天成就善業,感得勝身,?福具足;我亦如是修善業,感得如是身。(七)念休息(梵 upasam?nusmrti),專精繫想於寂靜之處閑居,?息一切緣務,修習聖道。(八)念安般(梵 ?n?p?nasmrti),又作念入出息。安般,?安那般那之略稱,指入出息。念安般,?專精繫想,攝心靜慮,數出入息,覺知其長短,除諸妄想。(九)念身非常(梵 k?yagatasmrti),又作念身。專精繫想此身?因緣假和合,髮毛、爪齒等無一??實常住者。(十)念死(梵 maranasmrti),專精繫想人生如夢幻,不久?將散壞。其中,初三者稱?三念,初六者稱?六念、六隨念、六念處,初八者稱?八念。 〔俱舍論卷四、大乘廣五蘊論〕"
  42. 星雲 , " 八邪行 ". 2012年 11月 7日에 確認. 事情(邪定)
    "(八)邪定,指非正定之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