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家保安部 (東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國家保安部
Ministerium fur Staatssicherheit
슈타지(국가보안부) 문장
슈타지(國家保安部) 文章
設立日 1950年 2月 8日
解産日 1990年 10月 4日
所在地 동독의 기 東獨 동베를린
職員 數 91,015名 (1989年) [1]
機關長 빌헬름 자이써 (1950~1953)
에른스트 볼베버 (1953~1957)
에리히 밀케 (1957~1989)
볼프강 슈바니츠 (1989~1990)
傘下機關 海外工作總局( 獨逸語 : Hauptverwaltung Aufklarung , HVA )

國家保安部 ( 獨逸語 : Ministerium fur Staatssicherheit , 正式 弱者 MfS ), 또는 國家保安원 ( 獨逸語 : Staatssicherheitsdienst, SSD )은 1950年부터 1990年까지 存在했던 東獨 의 情報機關으로서 略稱인 슈타지 ( 獨逸語 : Stasi , 獨逸語 發音: [??taːziː] )로도 알려져 있다. 1950年에 創設되어 1990年에 解體되었으며, 反體制 人士 監視 및 彈壓, 國境 警備, 海外情報 蒐集, 對外 工作 等을 主 任務로 하여 活動한 機關이다. 또한, 冷戰 時節 當時 美國의 CIA 나 蘇聯의 KGB 를 凌駕하는 祕密情報機關이라는 評價를 받을 程度로 東?西獨을 莫論하고 全 유럽에 影響을 끼친 機關으로 記錄되어 있다.

設立 背景 [ 編輯 ]

1949年 獨逸은 獨逸民主共和國 (以下 東獨)과 獨逸聯邦共和國 (以下 西獨)으로 分斷된다. 포츠담 會談에 依하여 分斷 直後 東獨에는 소비에트 聯邦軍이 駐屯하게 되었고, 以後 東獨은 소비에트 聯邦(以下 蘇聯 )의 影響圈 안에 있게 된다. 더 나아가, 東獨은 蘇聯 中心의 바르샤바 條約機構 加入國이었으며, 蘇聯의 同盟國이었다. 슈타지는 이러한 蘇聯의 情報機構였던 KGB 의 主導下에, 東獨의 國家 安保를 守護하기 위해 西獨과 이를 支配하는 美國, 프랑스, 英國 等의 勢力과 同調者들의 敵對行爲를 偵察하고 事前에 封鎖하려는 目的으로 슈타지를 세우게 된 組織이다. [2] 1950年 2月 8日 ‘國家安全保安性法(獨逸語: Gesetz uber die Bildung eines Ministeriums fur Staatssicherheit)’이 發效된 後, 東獨 最高人民議會에서 ‘國民經濟保護’라는 名目 下에 內務省 傘下의 ‘保安本部(獨逸語: Hauptabteilung Staatssicherheit)’를 個別 部處로 독립시키기로 決定하면서 슈타지가 公式的으로 創設되었다. [3]

構成 [ 編輯 ]

組織도 [ 編輯 ]

맨 위의 베를린 中央本部에 國外諜報나 未決拘禁 等을 處理하는 總局(獨逸語: Hauptabteilung)이 있었고, 그 傘下에 東獨을 5個의 管轄 領域으로 나누어 統治하는 器具들이 있었다. [4] 이 아래에는 東獨을 다시 15個의 行政大都市로 나누어 統治하는 分局이 있었으며, 그 아래로는 約 210個의 行政小都市와 7個의 大型事業場을 保護하고 監視하기 위한 분妻家 있었다. [4] [3] 이 外에도, 슈타지는 一般的인 諜報機關과는 달리 別途의 自體 拘禁施設, 搜査機關을 두었고, 別途의 執行官, 判事, 檢事 等을 두었다. [5]

東獨을 5個의 管轄 領域으로 나누어 統治하는 機構들과 그 役割은 다음과 같았다.

  • 安全擔當國(Arbeits-gruppe S):工作員 網과 正規 職員에 對한 徹底한 保安 擔當
    • 主要 分野
      • 第1과: 政府 擔當
      • 第2과: 正當 擔當
      • 第3과: 유럽 擔當
      • 第4과: 軍 擔當
      • 第9과: 情報機關 擔當
      • 第10과: 影響力 工作 擔當
      • 第11과: 美國 擔當
      • 第12과: NATO 擔當
    • 學術 및 科學技術 分野
      • 第13과: 에너지, 生物, 化學 擔當
      • 第14과: 電磁氣工學 擔當
      • 第15과: 機械工學 및 輸出入 統制
      • 第5과: 學術 및 科學技術部署로 들어가는 物質 資料에 對한 調査 및 評價
    • 其他 分野
      • 第16과: 公式 接觸
      • 第17과: 國境 潛入
      • 第18과: 怠業 및 國家 防衛
      • 第15과: 地域 組織 擔當 [6]

이 아래에 東獨을 15個의 行政大都市로 나누어 統治하였던 分局은 다음과 같다.

  • 中央2國(Hauptabteilung II): 公式的으로 防諜의 任務를 책임지고 있었지만, 實際에 있어 매우 廣範圍한 分野에 걸쳐 任務를 遂行했다. 東獨에서 社會主義통일당 의 綱領에 一致하지 않는 모든 活動들은 西獨 情報機關에 依해 操縱되는 것이라 여겨졌기 때문에 그런 活動들을 防止하는 것이 中央 2國의 主要 任務였다. 이들의 監視 對象에는 西獨 言論인, 學術 硏究 團體 等을 適性團體(feindliche Zentren)로 分類 및 包含하였다.
  • 中央 3國(Hauptabteilung III): 西獨에서의 通信 및 電話 諜報 擔當
  • 中央 18國(Hauptabteilung XVIII): 産業 스파이와 西獨 企業人들에 對한 監視 擔當
  • 中央 22國(Hauptabteilung XXII): 國際 테러 團體와의 連繫 및 그들의 浸透 支援
  • 中央協力局(Die Zentrale Koordinierungsgruppe): 東獨人이 西獨으로 脫走하는 것을 막음 [6]

人力 編成 [ 編輯 ]

이러한 組織 속에서 勤務하는 사람들의 構造는 다음과 같았다. 슈타지 要員은 크게 公式 遙遠(獨逸語: Hauptamtlicher Mitarbeiter)과 非公式 遙遠(Inoffizieller Mitarbeiter)으로 나눌 수 있다. 1989年 基準으로, 슈타지에는 91,015名의 公式 要員과 173,200名의 非公式要員이 있었다. 公式 要員들은 베를린 中央本部나 市道 單位 支部, 邑面 單位 支部 等 各 部署에서 正式으로 勤務하는 要員들이었고, 非公式 要員들은 平凡한 市民의 삶을 살면서 特定 情報를 蒐集하여 公式 要員들에게 傳達하는 役割을 하였다. 이 外에도 社會安全遙遠(獨逸語: Gesellschaftlicher Mitarbeiter), 接線遙遠(Kontaktperson), 東獨 人民警察 傘下의 K1 遙遠(Mitarbeiter K1) 等이 있었다. [7] 算術的으로 非公式 要員 1名이 100名도 안 되는 東獨 住民을 監視하였다고 볼 수 있다. [7]

主要 高位 幹部 [ 編輯 ]

  • 발터 울브리히트 (Walter Ernst Paul Ulbricht): 1949年 東獨이 設立될 때, 副首相으로 就任했던 人物이며, 1960年에서 1971年까지 國家 評議會 議長을 歷任하였다. 西獨과의 政治犯 交換을 통해 얻은 資金이나 財貨를 슈타지 組織을 增强하는데 1968年 以後부터 1972年까지 使用하여, 슈타지를 維持하는데 寄與하였다. [8]
  • 빌헬름 자이써 (Wilhelm Seisser): 初代 國家保安長官을 歷任한 人物이다. 1957年까지 長官을 지냈다.
  • 에리히 밀케 (Erich Mielke): 第3代 國家保安長官을 歷任한 人物이며, 獨逸이 統一되어 슈타지가 解體될 때까지 長官을 지냈다. 文化政策이나 監視, 檢閱 等을 行했던 슈타지의 責任者이다.
  • 에리히 호네커 (Erich Honecker): 발터 울브리히트 以後에 就任하여 國家 評議會 議長을 지냈던 人物이다. 出國 制限 措置가 取해졌던 時期에, 밀케와 함께 出國 許可 等에 對한 最終 決定 權限을 가지고 있었던 人物이다. [9]

主要 間諜 [ 編輯 ]

  • 귄터 기욤 (Gunter Guillaume): 西獨 聯邦 總理 빌리 브란트의 그림자라고 불리었으나, 슈타지의 巨物級 間諜인 것으로 밝혀져 當時 西獨 社會에 큰 衝擊을 안겨주었다. 西獨의 機密 文書들에 쉽게 接近하여 間諜活動에 큰 活躍을 하였다.
  • 라이너 룹 (Rainer Rupp): NATO (北大西洋條約機構) 內의 間諜으로 活動하였으며, NATO의 여러 機密과 情報傳達體系를 把握하는데 큰 役割을 하였다.
  • 클라우스 쿠론 (Klaus Kuron): 西獨 憲法保護廳( BfV ) 防諜과에서 勤務하던 中 슈타지에 協力하는 背信을 하였으며, 西獨이 東獨 情報機關에 맞서 樹立한 모든 防諜 作戰 內容을 工作總局에 알리는 等의 活躍을 하였다.
  • 오토 욘 (Otto John): 西獨 出身 人物이지만, 國家 機密을 東獨에 漏泄하고, 東獨의 宣傳攻勢에 介入하는 等 變節 行爲를 하였다. 다만, 그러한 變節의 理由가 不明確하여 正確한 實相은 把握되지 않았다. 분명한 것은 그는 一般的인 意味의 工作員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10] [11]

主要 役割 [ 編輯 ]

슈타지가 標榜한 一般 任務는 다음과 같다.

綜合하여 슈타지의 主 任務의 遂行은 敵에 對한 戰略的이고 戰術的인 情報를 黨에 시의적절하게 提供하고, 敵을 出發段階에서부터 索出하고, 妨害하고, 擊退하고, 東獨에 對한 敵對的 陰謀를 沮止하고, 內部의 敵들을 索出하고, 東獨의 安全을 어떤 條件下에서도 保障하고, 豫防과 높은 監視, 規律과 秩序를 통해 破壞와 破壞 行爲를 妨害하는데 적합한 作業結果로 歸結되어야만 한다. [12]

實質的으로 슈타지는 다음과 같은 役割을 遂行하였다. 슈타지는 祕密情報機關(Aufklarung), 政治祕密警察機關(Abwehr), 司法調査機關(Strafverfolgung)의 性格을 同時에 갖추고 있는 機關이었다. [13] 外國諜報機關의 活動을 沮止함으로써 스파이活動에 對한 豫防的인 防禦를 行하고, 東獨에 威脅이 될 수 있는 다른 國家 및 非國家組織의 計劃과 行爲에 對한 情報를 蒐集하는 役割을 하였다. 또 黨의 政策 或은 社會主義 社會秩序에 對抗하는 움직임을 미리 밝혀내어 無力化시키고 沮止시키는 役割도 行하였다. 國民經濟, 郵便, 通信, 國境 等을 犯罪行爲 等으로부터 豫防的으로 保護하는 役割도 슈타지의 役割이었다. [14] 그 밖에, 東獨 住民들의 海外 移住와 脫走를 沮止하고, 外換 및 禁輸 品目을 調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슈타지의 活動은 窮極的으로 테러 및 사보타주 等을 包含한 戰爭이나 危機狀況을 造成하는 것으로 連結되었다.

하지만 어떠한 獨立的인 部署로서 役割하였다고 보기는 힘들다. 슈타지는 社會主義통일당 이 내리는 指示, 課題, 鬪爭任務(Kampfauftrag) 等을 正確하게 遂行해야만 했다. 또 거의 100%의 슈타지 要員이 社會主義통일당의 黨員이었다는 點, 市道 單位 支部(BV), 邑面 單位 支部(KD) 等 슈타지의 地域 傘下機關의 章은 社會主義통일당 內 各 地域部署의 腸을 歷任하는 境遇가 많았다는 點으로 미루어보아, 슈타지는 社會主義통일당과 密接한 聯關이 있었다. 社會主義통일당의 指導部가 任務 授與者로서 기능했다면, 슈타지는 黨의 安保 政策에 關한 任務 受任者로서 活動한 것이다. [15] [4] [5]

1950年에서 1961年 사이 슈타지의 役割 [ 編輯 ]

東獨 設立되고부터 베를린 障壁 이 세워지기 前까지의 슈타지는, 市民들에 對한 暴力的인 監視를 行하던 組織이었다. 이들은 나무몽둥이를 利用하여 暴力을 일삼았고, 監視를 받던 市民들은 슈타지에 依해 罪가 있다고 規定되는 瞬間, 곧바로 逮捕되었다. [16] 東獨 住民은 슈타지에 依해 ‘要注意 人物’로 指摘되는 瞬間부터 슈타지가 動員하는 合法?非合法的 方式에 依해 職場生活과 社會生活, 그리고 隱密한 個人的인 部分에 이르기까지 털어놓아야 했다. [17] 이 때의 슈타지는 每事에 卽刻的으로 介入하고, 工作措置(OV)를 發動하여 [16] , 共産主義 社會秩序를 무너뜨릴 憂慮가 있는 움직임들을 미리 豫防하고자 하였다. 反面, 이 當時 文學이나 大衆媒體와 같은 文化領域은 監視와 檢閱의 對象이 아니었다. [18]

1961年에서 1976年 사이 슈타지의 役割 [ 編輯 ]

1961年 세워진 베를린 障壁으로 인해, 東獨의 統治方式은 크게 變化하였고, 黨의 指示를 그대로 따르는 슈타지의 役割도 크게 變化하였다. 東獨 住民들이 더 以上 西獨으로 移動할 수 없었던 탓에, 社會主義통일당의 權力은 더욱 剛해졌다. 그에 따라 슈타지는 東獨의 體制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東獨 住民들이 그들의 政權 앞에서 두려워하게끔 만들기 위해 努力했고, 그 結果 그들을 더욱 監視하고, 必要한 境遇 威脅하고 拘禁했다. 조금이라도 西獨에 友好的인 態度의 움직임이 보이면, 그 主謀者를 索出하고, 工作을 펴 그들을 審問하고 잡아들였다. [19]

슈타지의 役割은 文化領域까지 擴大되었다. 이들은 TV, 라디오 等과 같은 大衆媒體, 新聞, 書籍 等과 같은 印刷 媒體, 公演 藝術 等과 같은 大衆 藝術에도 神經을 썼다. 그래서 記者, 作家와 같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放送國, 出版社, 新聞社, 劇場 等 이와 關聯된 모든 部分들에 對해 監視하고 檢閱하는 等 統制를 加하였다. [20]

1976年에서 1989年 사이 슈타지의 役割 [ 編輯 ]

蘇聯과 美國 및 西유럽國家 間의 緊張關係가 解消되고, 冷戰體制가 緩和되기 始作하면서, 東獨에도 다른 國家 사람들이 들어올 수 있게 되었고, 그 안에서 海外로 報道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前에 行하였던 暴力的인 統治 方式이 海外로 報道되는 것은 東獨의 位相을 떨어뜨리는 일이었기 때문에, 슈타지는 이러한 方式을 固守할 수 없게 되었고, 예전만큼 아무나 쉽게 逮捕하기도 어려웠다. [21] 그래서 슈타지는 直接的으로는 自身의 統制가 드러나지 않는, 可能한 限 巧妙하고 잘 드러나지 않는 方法을 使用하여 住民들을 彈壓했다. 이러한 方式은 ‘心理的 테러(獨逸語: Zersetzung)’라는 用語로 대표될 수 있다. [22]

‘心理的 테러’의 方式으로는, 電話監聽, 監聽裝置設置, 비디오 監視裝置設置, 祕密 또는 公開 撮影, 受信 및 發信 書信과 郵便物 全面 檢事, 出入國 및 國境往來 人事에 對한 監視, 人民警察에 依한 旅券發給 및 住民登錄處에 對한 監視, 監視對象의 姻戚, 親舊, 訪問者와 손님에 對한 監視, 非公式 要員을 통한 住居地 또는 職場에 對한 祕密 搜索 等 다양한 方式들이 있었다. [23] 이렇게 해서 의심스러운 사람들을 찾아낸 以後에는, 이들을 拷問하였다. 그 方式으로는 放射線에 露出시키거나, 毒劇物(TOXDAT 實驗)과 같은 放射能 物質에 露出시키는 것 等이 있었고, 이 밖에도 슈타지는 心理的 테러 措置의 一環으로 監視 對象者의 自殺을 誘導하거나, 脅迫, 誘拐, 殺害 等의 犯法行爲를 恣行하기도 했다. [24]

移轉 時期에 活潑했던 文化領域에서의 슈타지의 嚴格한 監視와 統制는, 슈타지에 敵對的이었던 市民運動의 鬪爭으로 인해 統一 되기 前까지의 마지막 局面에는 그 役割이 다시 어느 程度 縮小되었다. [18]

對外 組織 關係 [ 編輯 ]

蘇聯 國家保安委員會(KGB)와의 上下關係 [ 編輯 ]

終戰 以後 東獨의 工作機關은 當時 占領國인 蘇聯 의 統制下에 創設되었다. 時間이 經過하며 協力關係로 轉換되긴 하였지만, 上下 關係의 明確한 區分은 持續되었다. 實際 工作 活動은 슈타지가 獨自的으로 遂行하였지만 方針은 蘇聯의 指針을 따랐으며, 具體的인 作戰 遂行에 있어서도 蘇聯과 매우 細細한 部分까지 相議하였다. 다만 蘇聯의 KGB 는 슈타지 活動에 對해 훤히 꿰뚫어보고 活動 結果에 對해서 無制限的으로 接近할 수 있던 反面에, 슈타지는 姊妹機關인 KGB의 活動 內容에 關聯해 KGB가 내어주는 部分만을 制限的으로 接近할 수 있었다. 이러한 上下關係는 事實上 슈타지는 KGB의 委託任務를 遂行하는 機關 中 하나였음을 如實히 보여주고 있다. [25]

東獨 人民軍 傘下 郡 諜報局(Verwaltung Aufklarung)과의 競爭關係 [ 編輯 ]

主로 西獨에서 活動하였으며, 正職員의 數는 約 1000名으로 推定된다. 이들은 主로 蘇聯의 指令을 받아 軍事 關聯 諜報를 遂行하였으며, 主로 西獨과 베네룩스 國家群(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덴마크를 主로 擔當하였다. 軍事機關인 軍 諜報局은 슈타지와 같은 非軍事 諜報機關과는 對照的으로 活用 可能한 모든 手段과 方法을 動員하여 敵國의 强勢를 判別하였다. 슈타지와는 어느 程度 競爭 關係에 있었다고 볼 수 있고, 實際 슈타지 指導部에서는 1960年代 中盤 以後 軍 諜報局을 監視하였다. 軍 諜報局은 東獨 體制崩壞와 함께 解體되었으며, 關聯 資料와 文書는 體制 崩壞 以後 東獨 新任 國防部 長官에 依하여 全量 廢棄되었다. [26]

主要 活動 事例 [ 編輯 ]

귄터 기욤, 크리스탈 기욤 夫婦: 西獨의 首腦部에 間諜을 浸透 [ 編輯 ]

빌리 브란트 總理(左)와 귄터 기욤(郵)

귄터 기욤 은 東獨에서 “民衆과 知識”이라는 出版社에서 寫眞技士 및 寫眞編輯者로 일했으며, 大部分의 諜者가 그렇듯이 슈타지 內의 情報組織 要員이었다. 1955年 採用된 以後 1年 뒤인 1956年에 西獨으로 넘어갔다. 그는 西獨으로 胃臟 脫出한 後 獨逸 國籍을 갖지 않은 丈母를 통해 難民 收容 節次를 避해갔다. 1957年 獨逸 社會민주당(사민당,SPD) 에 入黨해서 다양한 任務를 遂行했고, 1964年 프랑크푸르트의 小區域 責任者가 되었다. 그의 夫人 크리스탈은 1957年부터 1964年까지 諜報 活動을 위해 사민당의 헤센 南部 支部에서 祕書로 일했고, 비스바덴에 있는 朱 總理室에서도 勤務했다. 1968年 社民黨 市議會 院內 交涉團體 SPD의 首長을 歷任했고, 또한 聯邦長官 게오르그 레버의 選擧를 돕는 任務도 맡았다. 1969年 사민당의 總選 勝利德分에 레버의 薦擧로 勞動組合 및 勞動者連帶와의 接觸을 總括하는 補佐 遙遠로서 聯邦總理室에 入城하게 되었다. [27] 이 過程에서 그에 對한 保安調査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가 工作要員인지 가려낼 수 없었다. 그는 過去에 東獨 路線에 忠實했고, 難民 收容 節次를 避해간 履歷이 있었고, 이는 典型的인 浸透 工作의 方法이었으므로 工作 可能性이 提起 되었을 것이고 相當히 否定的인 意見들이 나왔을 것이다. [28]

기욤은 內省的인 便이라 무리에서 큰 人氣를 끄는 類型의 人物은 아니었으나 勤勉誠實韓 態度와 恒常 남을 돕는 姿勢로 인해 組織 內에서 有望한 人物로 評價 받았고, 結局 黨 補佐官의 役割을 맡으며 聯邦 總理 빌리 브란트 의 側近이 되었다. 이로써 그는 거의 모든 文書들에 接近할 수 있게 되었다. 總理의 個人 補佐官이 된 기욤은 恒常 總理와 同伴했고, 總理가 주고받는 모든 書類들은 그의 손을 거쳐야 했다. 재미있는 事實은 工作總局이 슈타지 工作 活動의 結果를 모아 評價한 情報檢索시스템 SIRA( 獨逸語 : System der Informationsrecherche der HVA )의 資料가 1988年에 一部 復元되었는데, 기욤이 提供한 19가지 情報中 14個는 “中級價値(3級)”이었고 5個는 “高級價値(2級)”으로 評價되었다는 點이다. 기욤은 西獨 總理의 그림자로 통했으나 슈타지에게는 그리 有用한 最高級 情報出處는 아니었던 것이다. [29]

그러던 中 1973年에 西獨 憲法保護廳 은 東獨의 스파이들을 檢擧한다. 이들 中 한名에게 있던 메모에 ‘기욤’이란 이름이 있었고 憲法保護廳은 기욤 家族의 生日과 東獨에서 西獨에 滯留하는 스파이에게 보낸 生日 祝賀 無線에서의 生日이 같다는 걸 알아챘다. 기욤 夫婦는 西獨 政府의 監視를 받다가 結局 다음 해 4月 24日 自宅에서 逮捕되었다. 빌리 브란트 總理는 이 事件의 責任을 지고 물러났고, 기욤은 13年 懲役刑을 宣告 받았다. 그는 7年 服役後 1981年 동서독間 스파이 交換 프로그램을 통해 刑期가 끝나기 前에 出所하여 東獨으로 보내졌다. [30]

하인리히 뤼브케 事件: 나치 電力論難을 助長 [ 編輯 ]

하인리히 뤼브케 大統領

東獨 共産黨은 西獨의 指導者들을 나치(或은 파시스트)로 몰아 붙이는 戰術을 매우 愛用했다. 이러한 煽動的인 캠페인을 통해 東獨 政權은 獨逸 住民들에게 自身들이 正當함을 主張하고, 西獨이 追求하는 民主主義가 지니고 있는 莫大한 影響力을 效果的이고 簡便하게 對處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手法을 통해 東獨 스스로는 나치로 代辯되는 獨逸의 過去로부터 멀어지고, 나치의 獨裁를 延長線上으로 두어 共産主義의 獨裁를 必然的인 것으로 糊塗하기에도 效果的이었다. 다시 말해서, 反나치主義는 東獨 내 秩序를 다지는 效果 뿐 아니라 西獨에 끼치는 影響力에도 크게 作用했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큰 役割을 한 機關이 亦是 슈타지였다.

獨逸 共産黨員들은 2次世界大戰 直後 베를린에서 많은 量의 나치 文書들을 얻게 되었다. 그들은 이 文書를 黨 中央 事務局으로 옮겼다가 슈타지로 넘겼다. 또한 各 州 政治警察들이 蒐集했던 文書들 亦是 슈타지 創設과 함께 들어왔다. 그 밖에도 蘇聯 等地로 넘어갔던 엄청난 量의 文書들을 돌려받았다. [31] 이를 土臺로 슈타지는 西獨 主要人士들에 對한 나치 電力 論難을 惹起시켰다. 大統領 또한 이러한 東獨의 工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1959年 獨逸 第 2代 大統領 하인리히 뤼브케 는 大統領에 當選된 直後 슈타지의 標的이 되었다. 처음엔 이러한 工作이 큰 反響을 불러일으키지 못했지만, 뤼브케가 任期를 마치고 다시 候補로 推薦받자 東獨에 設置된 文書保管所 라는 機關에서는 뤼브케를 不道德한 나치로 몰아가기 위해 資料를 蒐集하기 始作했다. 東獨 共産黨 政治局은 1964年 6月 즈음을 起點으로 뤼브케를 ‘ 게슈타포 의 諜者’, ‘나치의 V-武器 (2次 世界大戰 末期에 獨逸軍이 使用한 無人 미사일 裝備) 가 生産된 페네뮌데 ( 獨逸語 : Peenemuende)의 建設 責任者’라며 거세게 몰아붙였다. 事實 뤼브케는 나치問題는 絶對 덮어두어선 안되고 반드시 自己淨化를 해야 한다고 主張했던 사람이다. [32] 하지만 이에 關係없이 東獨 言論들은 그를 나치로 몰았다. 事實 文書保管所가 찾은 記錄은 뤼브케가 ‘슐렘프 建設會社’의 幹部로 坑道를 飛行機 製作所로 改造하는 工事에 參與하여, 2000餘名의 유대人 收容所 收監者들을 動員했다는 것 밖에 없었다. [33] 그러나 言論들은 보다 過激하고 露骨的인 表現으로 報道를 했다. 더구나 나치問題는 非但 獨逸에만 局限되지 않았기 때문에 周邊國들로부터 뤼브케는 많은 非難을 받았고, 結局 大統領職에서 물러날 수 밖에 없었다.

解體 過程 [ 編輯 ]

市民革命의 擴散과 改革勢力의 登場 [ 編輯 ]

1980年代 末 蘇聯 및 東歐 共産國家들의 改革, 開放政策은 東獨 住民들에게 直接的인 影響을 주었다. 東獨 指導部는 周邊 國家들의 改革과 住民들의 要求에 冷淡하였고 오히려 獨裁 體制의 强化를 위해 努力하였다. 東獨住民들은 새로운 社會를 渴望하면서 이를 行動으로 옮기기 始作한다. 그 例로, 東獨 住民들은 民主化를 要求하는 示威를 하기 始作했다. 東獨 內 政治的 反對勢力은 主로 敎會안에서만 이루어졌을 뿐 市民運動으로는 發展하지 못했었는데, 1980年代 中盤 東獨에서 生成된 平和運動 團體들은 東獨의 體制變革에 關心을 갖고 있는 敎會를 中心으로 活動하기 始作했다. 結局, 靑年들과 經驗이 不足한 反政府 運動團體, 藝術家와 文人들, 學者 및 知識人層이 參與하면서 새로운 政治的 構造를 지닌 市民運動으로 發展했다. 이런 團體들은 各自의 路線에 따라 東獨의 改革을 要求하면서 大衆示威를 主導하였다. 東獨政府는 在野團體 및 市民團體들의 목소리를 收斂할 求心點으로 圓卓會를 開催했다. 이 圓卓會議는 後날 슈타지 解體에 決定的인 役割을 擔當하였다. [34]

슈타지의 改革 反撥 [ 編輯 ]

슈타지는 1989年 10月 市民들의 民主化 改革을 要求하는 示威가 暴發的으로 增加함에 따라 自體 武裝兵力과 警察들을 動員하여 示威隊를 鎭壓하였다. 슈타지는 示威가 擴散됨에 따라 外部的으로 沈默하면서도 內部的으로는 새로운 政治 勢力에 對한 監視 强化와 反擊을 위한 武裝을 强化했다. 1989年 11月 中旬에 접어들면서 슈타지 內部의 喪失感과 虛脫感으로 인한 反抗的, 自暴自棄的 暴力 行爲 可能性이 增加되었다. 그러나 새롭게 創設된 國家安全部 指揮部의 組織的이고 明確한 行動과 結合되지 못함으로써 反革命도 不可能하였다. 슈타지에 依한 反革命 試圖와 示威隊의 改革 要求에 對한 鎭壓이 되지 못하면서, 本部의 精銳要員들은 萬若의 事態에 對備해 重要文書들을 廢棄하기 始作했다. [35]

슈타지의 改革 [ 編輯 ]

1989年 10月 以後 東獨 全 地域에서 大規模 示威가 擴散되면서 示威代價 要求하는 ‘슈타지 解體’로부터 結局 政府는 슈타지의 改革을 着手하였다. 지난 40年間 슈타지가 東獨 共産黨의 獨裁를 爲한 行動隊 役割을 했기 때문에 示威隊는 슈타지의 全面的 廢止를 要求하였다. 東獨 共産黨은 初期에는 이런 極端的 要求를 拒否하고 ‘民主 社會主義的’改革에 力點을 두었다. 슈타지와 黨 最高 指導部는 改革論議 混亂속에 뚜렷한 代案 마련에 失敗했고 1989年 11月 13日 過渡政府의 總理로 任命된 한스 모드로 가 東獨指導者로서 처음으로 슈타지의 解體를 約束했다. 그러나 이 措置는 國家保安機構의 外形을 바꾸어 슈타지를 존속시키려는 것이었다. 1989年 11月 15日 슈타지를 國家安全部로 轉換하는 것을 決定하고 11月 17日 組織名稱을 國家安全部로 改稱하는 組織改編을 斷行하였다. 슈바니츠의 國家安全部가 旣存의 組織을 繼續 維持하려하고 改革에는 進展이 없자 結局 市民들의 强力한 反撥로 인해 슈타지의 解體는 本格的으로 推進되었다. [36]

슈타지의 解體 [ 編輯 ]

슈바니츠의 國家安全部 改革은 政府와 市民들이 願하는 것처럼 되지 않았고 區 슈타지의 重要文件들은 繼續 破棄되어갔다. 結局 市民運動家와 檢事들의 슈타지 資料 破棄 禁止運動이 擴散되면서 各 地域別로 슈타지 解體를 위한 市民委員會가 組織되었고 12月 4日 國家安全部는 業務 中止를 宣言하였다. 12月 7日 中央 圓卓會議에서 國家安全部의 解體를 要求하였고, 모드로우 內閣은 12月 8日 國家安全部의 解體를 發表하고 國家安全部 所屬 主要幹部 全員 辭退 및 主要 部署, 地域事務所를 解體하였다. 슈타지 要員들은 흩어졌고 地域에서 地方, 中央 組織 順序로 順次的으로 解體되었다. 모드로우 內閣은 國家安全部를 解體하면서 또 다른 情報機關 新設을 準備했지만 이를 알게 된 中央 圓卓會議와 市民들의 壓力에 依해 모드로우 政府는 轉換計劃도 抛棄했다. 1990年 1月 12日 東獨 總理 모드로우는 새로운 祕密情報機關의 設立은 없다고 主張하였고 1月 15日 슈타지의 現況報告書를 圓卓會議에 提出하였다. 같은 날, 現況報告書를 통해 重要 文書가 繼續 破棄되고 있다는 事實을 알게 된 市民들은 슈타지 本部를 掌握하였다. 結局 모드로우 政府는 1990年 2月 8日 슈타지 解體 對策機構人 ‘舊 슈타지 解體委員會’를 構成하였고 政府 代表 統制 下에 解體作業이 始作되었다. 1990年 3月 31日 國家安全部는 完全히 解體되고 勤務者들은 轉役 措置되었다. 슈타지 解體委員會가 發足되었고 ‘特別委員會’도 設置되어 슈타지 解體問題를 끊임없이 管理했다. 結局 1990年 9月 25日 슈타지 解體委員會는 最終 報告書를 提出하였다. 事實上 重要文件들은 거의 破棄가 되었고 남은 슈타지 文件들은 中央官廳에서 管理를 하게 되었으며 區 슈타지 廳舍의 各 建物은 事務室, 博物館, 展示場으로 使用되고 있다. [37]

統一 以後의 슈타지遙遠 [ 編輯 ]

슈타지 要員들의 1989年 10月 以後 東獨 社會 內에서 孤立化가 加重되었다. 슈바니츠의 改革 프로그램 過程에서 前 産業分野에 前職이 推進되었으나 東獨 經濟事情의 惡化로 制限的이었다. 또한 슈바니츠는 解體要求 過程에서 슈타지 職員들을 保護하기 위해 많은 自體 努力들을 했다. 그리고 슈타지 解體 後 失業에 對備하기 위한 計劃을 準備하였으나 急迫한 崩壞狀況에서 實現이 되지는 않았다. 모드로우 政府는 解雇 要員들을 위해 解雇關聯 補償規定을 準備하였으나 이런 特別 補償規程이 圓卓會議에 公開되면서 批判 輿論이 거세지자, 解雇 補償을 抛棄하고 東獨 勞動者와 同一한 失職 手當을 支給하였다. 解雇者 雇用創出을 위한 一般 會社 設立 計劃 또한 失敗하였다. 身分과 經歷을 僞造하여 一般會社에 前職이 되었다 하더라도 身分이 露出되면 卽刻 解雇되었다. 슈타지 要員들은 解體 前까지 任用과 補償을 約束 받았으나, 結局 統一過程에서 모든 公職 勤務機會는 剝奪되었고 年金 以外에는 다른 社會保障 惠澤은 遮斷되었다. 이들은 安定된 職場에 就業하기 조차 어려웠다. [38]

各州 [ 編輯 ]

  1. Murphy, Cullen (2012年 1月 17日). 《God's Jury: The Inquisitio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 Houghton Mifflin Harcourt. ISBN   978-0-618-09156-0 . 2014年 1月 3日에 確認함 .  
  2. 이민규, <東獨 文化領域에 對한 슈타지의 影響 硏究>, 부산대학교 獨語獨文學科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7, p. 16
  3.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16
  4. 이민규, <東獨 文化領域에 對한 슈타지의 影響 硏究>, 부산대학교 獨語獨文學科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7, p. 18
  5.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18
  6. 만프레드 빌케, 미하엘 쿠비나, 빌헬름 멘징, <東獨 슈타지의 浸透 그리고 西獨의 防禦>, 平和問題硏究所, 2012, pp. 59-64
  7.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p. 16?18
  8.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59
  9.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54
  10. 만프레드 빌케, 미하엘 쿠비나, 빌헬름 멘징, <東獨 슈타지의 浸透 그리고 西獨의 防禦>, 平和問題硏究所, 2012, pp. 102-120
  11. 김주일 驛, 後베르투스 크나베, <슈타지 文書의 祕密>, 월간조선사, 2004, pp. 50-55
  12. 허영재, <東獨의 文化政策과 슈타지>, 《獨逸語文學》 第39輯, 韓國獨逸語文學會, 2007, p. 210, 再引用
  13. 허영재, <東獨의 文化政策과 슈타지>, 《獨逸語文學》 第39輯, 韓國獨逸語文學會, 2007, p. 211
  14. 徐京錫 驛, 롤프 괴스너, <”國家 속의 國家” 舊東獨의 슈타지體制: 解體와 糾明>, 《民主法學》 第12號, 民主主義法學硏究會, 1997, pp. 292?293
  15. 허영재, <東獨의 文化政策과 슈타지>, 《獨逸語文學》 第39輯, 韓國獨逸語文學會, 2007, p. 214
  16.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23
  17.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33
  18. 이민규, <東獨 文化領域에 對한 슈타지의 影響 硏究>, 부산대학교 獨語獨文學科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7, p. 26
  19.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p. 24?25
  20. 이민규, <東獨 文化領域에 對한 슈타지의 影響 硏究>, 부산대학교 獨語獨文學科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07, p. 32
  21.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p. 25?26
  22.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27
  23.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34
  24. 김영윤 驛, 카르스텐 됨멜, 멜라니 피펜슈나이더, <슈타지: 그들의 正體는 무엇이었나?>, 統一硏究院, 2010, p. 36
  25. 만프레드 빌케, 미하엘 쿠비나, 빌헬름 멘징, <東獨 슈타지의 浸透 그리고 西獨의 防禦>, 平和問題硏究所, 2012, pp. 15-16
  26. 만프레드 빌케, 미하엘 쿠비나, 빌헬름 멘징, <東獨 슈타지의 浸透 그리고 西獨의 防禦>, 平和問題硏究所, 2012, pp. 19-21
  27. 김주일 驛, 後베르투스 크나베, <슈타지 文書의 祕密>, 월간조선사, 2004, p. 51-52
  28. 만프레드 빌케, 미하엘 쿠비나, 빌헬름 멘징, <東獨 슈타지의 浸透 그리고 西獨의 防禦>, 平和問題硏究所, 2012, p. 104
  29. 만프레드 빌케, 미하엘 쿠비나, 빌헬름 멘징, <東獨 슈타지의 浸透 그리고 西獨의 防禦>, 平和問題硏究所, 2012, p. 105
  30. “國家情報院: 귄터 기욤 事件” . 2014年 11月 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1月 5日에 確認함 .  
  31. 김주일 驛, 後베르투스 크나베, <슈타지 文書의 祕密>, 월간조선사, 2004, p. 163
  32. 김주일 驛, 後베르투스 크나베, <슈타지 文書의 祕密>, 월간조선사, 2004, p. 171
  33. 김주일 驛, 後베르투스 크나베, <슈타지 文書의 祕密>, 월간조선사, 2004, p. 173
  34. 하도헌, <獨逸統一過程에서의 슈타지(國家保衛部) 解體ㆍ淸算에 關한 硏究>, 경남대학교 北韓大學院 政治統一專攻 碩士學位論文, 2005, p35-39
  35. 하도헌, <獨逸統一過程에서의 슈타지(國家保衛部) 解體ㆍ淸算에 關한 硏究>, 경남대학교 北韓大學院 政治統一專攻 碩士學位論文, 2005, p41-44
  36. 하도헌, <獨逸統一過程에서의 슈타지(國家保衛部) 解體ㆍ淸算에 關한 硏究>, 경남대학교 北韓大學院 政治統一專攻 碩士學位論文, 2005, p45-46
  37. 하도헌, <獨逸統一過程에서의 슈타지(國家保衛部) 解體ㆍ淸算에 關한 硏究>, 경남대학교 北韓大學院 政治統一專攻 碩士學位論文, 2005, p47-52
  38. 하도헌, <獨逸統一過程에서의 슈타지(國家保衛部) 解體ㆍ淸算에 關한 硏究>, 경남대학교 北韓大學院 政治統一專攻 碩士學位論文, 2005, p52-54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