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쓰기와 세로쓰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訓民正音 諺解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行갈이를 하고 있다.
宋나라 時代의 學者 消息 (蘇軾)의 書藝 作品《韓食첩(寒食帖)》.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行갈이를 하고 있다.

가로쓰기 세로쓰기 文書 文字 를 써 나가는 方式이다. 大韓民國에서 세로쓰기는 오른쪽에서 始作하는 세로쓰기人 우종서이며, 가로쓰기는 왼쪽에서 始作하는 가로쓰기人 座橫書이다. 가로쓰기가 主流 表記 方式이 되면서 案內文이나 廣告文의 세로쓰기에 왼쪽 세로쓰기人 坐鐘書를 活用하기도 한다.

世界 에 存在하는 文書는 그 言語 및 表記 文字 體系의 組合에 따라 文字 를 써나가는 方向(庶子 方向(書字方向))李 다르다. 이 方法은 크게 가로쓰기 , 橫書 (橫書)와 세로쓰기 , 種서 (縱書)로 나뉜다. 가로쓰기에는 왼쪽 에서 오른쪽 으로 쓰는 座橫書 (左橫書)와 그 反對로 쓰는 禹橫書 (右橫書)로 나뉘고, 세로쓰기에는 行갈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하는 우종서 (右縱書)와 그 反對로 하는 坐鐘서 (左縱書)로 나뉜다.

韓國語 中國語 , 日本語 , 베트남語 漢字 文化圈 의 言語는 傳統的으로 오른쪽 세로쓰기人 우종서를 썼고, 間或 看板과 같이 가로쓰기를 해야 할 때에는 오른쪽 가로쓰기, 禹橫書로 썼다. 이 글쓰기는 종이 發明 前에 대나무나 나무를 쪼개어 줄로 이어붙여 使用한 竹簡 이나 木簡 에 글을 쓰며 나타난 記錄 方式이다. 둘둘 말린 竹簡 이나 木簡 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밀며 빈 竹簡에 세로쓰기를 하는 方法이 붓글씨에 가장 效率的이었다.

近代 以後 西洋 文物이 東아시아에 傳來한 以後에는 왼쪽 가로쓰기, 座橫書가 導入되어 主로 使用되면 세로쓰기는 竝用되고 있다. 가로쓰기와 세로쓰기가 모두 可能한 文字는 比較的 드물어, 文字가 正方形(正方形)의 네모 칸 안에 쓰이는 形態는 한글과 漢字 文化圈의 特徵으로 자리하고 있다.

西洋 言語들이 座橫書가 主流를 이루고 있지만, 아랍語 , 히브리어 等으로 대표되는 中東圈에서는 反對로 禹橫書가 쓰인다. 獨自的인 文字를 가지는 南아시아 , 東南아시아 에서는 西洋처럼 座橫書가 많다. 몽골 文字 로 表記되는 몽골語 는 特異하게 坐鐘書를 使用하는데, 이것은 몽골 文字가 위구르 文字에서 派生한 것에서 由來한다.

古代에는 히에로글리프 처럼 庶子 方向이 꽤 融通性 있는 文字들은 行마다 方向을 反對로 바꾸는 우경식 書法 (牛耕式 書法, boustrophedon ) 等의 方法도 있었다. 또 아래에서 위로 行을 거듭하여 쓰는 가로쓰기는 確認되지 않았으며, 아래에서 위로 쓰는 세로쓰기는 아일랜드語 오검 碑文의 例 및 突厥 文字가 드물게 그처럼 쓰이는 데, 歷史的으로도 매우 드물게 存在한다.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의 差異點 [ 編輯 ]

韓國語(大韓民國)의 原稿紙 가로쓰기
韓國語(大韓民國)의 原稿紙 세로쓰기

草書體 의 境遇 가로쓰기는 多少 不適合한 面이 있기는 하나, 한글 漢字 , 가나 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쓸 수 있다. 實際 表記에서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間의 差異點이 多少 있다. 數字의 境遇, 印度-아라비아 數字 는 가로로 쓰고, 漢字의 數字는 세로로 쓴다. 句讀點의 境遇, 韓國語와 日本語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 差異가 있다( 아래 를 보라).

또한,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는 句讀點과 線, 引用 符號의 方向에 差異가 있다. 括弧와 引用 符號, 선, 물결標 等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서 서로 90度 回轉한다.

가로쓰기(座橫書)로 된 冊은 西洋 言語와 마찬가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쪽數가 넘어간다. 세로쓰기(우종서)로 된 冊은 그 反對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쪽數가 넘어간다.

日本語의 후리가나 나 中國語 繁體의 注音符號 와 같은 루비 文字 는 세로쓰기일 境遇 다음과 같이 본 文字의 오른쪽에, 가로쓰기日 境遇 主로 본 文字의 위쪽에 쓰는 것이 一般的이나 例外도 있다.


또는
かん

루비 文字 는 위와 같이 一般的으로 本文의 行과 行 사이에 적는데, 普通 本文의 글씨가 작으면서 줄 間隔도 좁은 境遇에는 敵機가 매우 곤란하다. 이럴 때에는 루비 文字를 글字의 아래(세로쓰기일 境遇)나 오른쪽(좌횡서일 境遇)에 작은 글씨로 2줄에 걸쳐서 쓰기도 한다.

現代 韓國語의 境遇 中國이나 日本과 같은 方式으로 루비 文字 의 使用이 드물다. 한글 專用 일 境遇에는 한글(漢字)과 같이, 漢字 混用 일 境遇에는 式이나 漢字(한글) 式으로 括弧 를 使用하여 적는 게 一般的이다. 하지만 中國이나 日本처럼 括弧를 쓰지 않고 작은 글씨로 루비 文字를 쓰는 境遇는 매우 드물게 있다.

西洋 括弧 文字가 導入되기 以前인 前近代 時代에는 漢字 다음에 訓民正音으로 發音을 單 文獻이 刊行되었다. 《 訓民正音 解例本 李 代表的이다. 이 冊에서는 큰 글씨로 씌어진 本文의 境遇, 漢字마다 各 글字 다음 칸에 작은 글씨로 訓民正音을 써서 發音을 標示하였다. 그리고 작은 글씨로 씌어진 主席의 境遇, 各各의 漢字가 적힌 칸 다음에 訓民正音 發音을 적은 것은 本文과 同一하지만 可讀性과 印刷上의 便宜를 위하여 글씨 크기를 더 줄이지는 않았다. 勿論 《訓民正音》혜례본은 傳統的인 세로쓰기 書籍이므로, 一般的으로는 漢字 아래에 訓民正音 發音 表記가 位置하게 된다. 하지만 漢字가 줄의 마지막 칸에 적혀서 더 以上 그 줄에 글씨를 쓸 수 없는 境遇에는 그 다음 줄 첫 칸에 訓民正音 發音을 表記하였다.

近代 以後에 東아시아 文字 表記에서 로마字 아라비아 數字 等 가로쓰기에 적합한 글字가 混用되는 境遇가 宏壯히 많다. 이 때 가로쓰기 文書에서는 그대로 座橫書로 적는다. 세로쓰기 文書에서는 時計 方向으로 90度 回轉한 形態로 쓰는 境遇가 一般的인데 이 境遇 읽기가 不便하다는 短點이 있다. 세로쓰기에서 로마字나 아라비아 數字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냥 每 글字를 順序대로 적는 境遇도 있으나, 이 境遇는 大槪 글字 數가 적은 境遇( 頭文字어 等)에만 限定된다. 間或 한 칸(한글, 漢字, 가나, 主音 文字 基準) 안에 로마字나 아라비아 數字 2~3個를 座橫書로 쓰는 境遇도 있다. 이것은 세로쓰기 안의 가로쓰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表記는 大槪 아라비아 數字가 2~3個만 連이어 나오는 境遇에 많고, 그 以外의 境遇에는 드물다.

東아시아의 가로쓰기 [ 編輯 ]

베이징 쯔진청 (紫禁城)의 玉座. “正大光明”(正大光明)李 禹橫書로 적혀 있다.
獨立新聞 創刊號. ‘독닙신문’이라는 題目이 禹橫書로 적혀 있다.
‘카스테라( カステラ )’가 禹橫書로 적혀 있다. 寫眞은 日本 하코네 에서 撮影.

東아시아에서 歷史的으로 세로쓰기는 標準 體系로 자리 잡아, 가로쓰기는 오로지 空間이 가로로만 限定된 看板 等에서만 使用되었다. 事實 이 가로쓰기는 各 行에 한 글字만 들어갈 수 있는 ‘특수한 세로쓰기’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第2次 世界 大戰 終了 以前의 日本 에서는 이런 看板들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혔다.

오늘날 東아시아에서는 庶子 方向이 왼쪽에서 오른쪽인 것이 가로쓰기에서 一般的이다. 이것은 유럽 言語의 表記 影響을 받은 것으로 特히 컴퓨터에서 그런 傾向이 强하다.

그러나 禹橫書 가로쓰기는 如前히 쓰이고 있다. 正體字 가 쓰이는 中國語圈 地域이나 日本의 境遇, 看板이나 車輛의 오른便 等에 禹橫書 가로쓰기가 使用되고 있다.

歷史 [ 編輯 ]

韓國語 [ 編輯 ]

韓國語도 다른 漢字 文化圈 言語와 마찬가지로 傳統的으로 우종서를 써왔고, 間或 看板 等에서 禹橫書를 썼다.

光復 以後 大韓民國 社會 全般에 걸쳐 가로쓰기(座橫書)를 積極的으로 導入하였다. 大韓民國 政府 樹立 初期부터 公敎育 敎材인 國定 敎科書를 가로쓰기 基準으로 發刊하였다. 一般 書籍 도 漸進的으로 세로쓰기에서 가로쓰기로 變貌해 갔다. 週間 雜誌를 비롯한 月刊 雜誌도 大部分 가로쓰기를 導入하였고, 各種 證明書들도 가로쓰기로 變化했다. 다만, 大韓民國 主要 新聞社들은 세로쓰기를 固守하여 1990年代에 이르러서야 가로쓰기로 轉換했다. 全國을 對象으로 하는 中央 綜合日刊紙人 《 한겨레新聞 》은 1988年 創刊 때부터 가로쓰기를 導入하였다. [1] 當時 初等學校부터 使用한 가로쓰기가 익숙한 20~30代의 한겨레新聞 選好度가 높아지자 다른 中央 日刊紙도 그 影響을 無視하지 못했다. 1990年代 들어 大韓民國의 다른 新聞社들의 中央日刊紙는 가로쓰기로 바뀌었다. 《 中央日報 》를 筆頭로 다른 中央 日刊紙들이 가로쓰기를 導入했다. 現在 大韓民國 中央 日刊紙 가운데 세로쓰기 新聞은 없다.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에서는 建國 以後 가로쓰기가 一般的이었다. 《勞動新聞》을 비롯한 主要 日刊紙들은 가로쓰기이며, 朝鮮말規範집 에서는 이와 關聯하여 다음과 같이 規定하고 있다.

朝鮮글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가로쓰는 것을 基本으로 한다. 특수하게 내려쓸 때에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내려쓴다. 그러나 가로쓰는 글과 配合하여 내려쓰는 境遇에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쓰는 것을 原則으로 한다. 내려쓸 때의 맞춤法, 띄어쓰기, 符號 等은 다 가로쓸 때의 規則을 그대로 適用한다.

中國語 [ 編輯 ]

最初로 가로쓰기로 印刷된 中國語 文獻은 1815 ~ 1823年 마카오 에서 出版된 로버트 모리슨 ( Robert Morrison )의 《中國語 事前( 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이다.

가로쓰기로 된 中國語 出版物 中 널리 알려진 것 中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雜誌 《科學(科學)》이다. 1915年 1月 에 發行된 이 雜誌의 첫 號는 當時에는 生疏했던 判型에 對해 다음과 같이 說明하고 있다.

本雜誌印法,旁行上左,?用西文句讀點之,以便?寫算術及物理化學諸程式,非故好新奇,讀者諒之。

본 雜誌의 印刷法은 위 왼쪽에서 옆으로 가는 方式에 西洋門의 句讀點을 竝用하였습니다. 이것은 算術·物理·化學의 여러 公式을 揷入하기 便利하게 하기 위함이며 새로움을 追從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讀者들께서는 이를 諒解해 주십시오.

가로쓰기의 增加와 더불어,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同時에 使用되게 되었다. 가로쓰기 支持者들은 우종서는 글을 쓸 때 때 묻기 쉽다고 主張하였다. 反對로 세로쓰기 주장자들은 가로쓰기는 確立된 傳統의 破壞라고 생각하였다.

1949年 共産 革命의 成功 以後에 中華人民共和國 簡體字 를 制定하면서 또한, 가로쓰기를 積極的으로 使用하기로 했다. 中國 全域의 모든 新聞은 1956年 1月 1日 에 세로쓰기를 가로쓰기로 바꾸었다. 以後에 簡體字를 導入한 싱가포르 에서도 세로쓰기는 稀貴해졌다. 타이완 홍콩 , 마카오와 오래된 化敎 社會에서는 旣存의 方式을 이어오다가 1990年代 에 들어와 漸進的으로 가로쓰기가 導入되게 되었다. 2000年代 初盤까지 이 地域의 新聞 大部分은 座橫書로 代替하거나 座橫書 題目에 세로쓰기를 結合한 形態로 바꾸었다.

日本語 [ 編輯 ]

日本語의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1938年 日本의 한 雜誌 廣告. 우종서와 美妓 요코街키(右橫書き)로 쓰여 있다. 다만 商品 레이블에는 英語와 같이 座橫書로 쓰여져 있다.

日本語의 가로쓰기는 元來 메이지 時代 에 日本人들이 西洋語 事典의 印刷를 試圖한 데에서 由來한다. 最初에는 가로쓰기로 된 西洋語 텍스트와 세로쓰기로 된 日本語 텍스트를 混合한 形態로 印刷되었는데, 이것은 日本語 텍스트를 읽으려면 冊을 90도 돌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것은 다루기 어려웠기 때문에 ‘요코街키( 橫書き : 가로쓰기) 史上(思想)’李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日本語에 가로쓰기를 部分的으로 使用한 最初의 出版物 中 하나는 1885年 ( 메이지 18年)에 出版된 《수진揷圖毒화사서(袖珍揷圖獨和辭書)》이다.

가로쓰기 配列로 履行하던 初期에 잠깐 流行한 ‘美妓 요코街키( 右橫書き )’가 있었다. 이것은 아랍語와 비슷한 方式이었다. 이 方式은 널리 使用되지 못하여 살아남지 못했다. 現在도 日本은 新聞과 出版物이 大部分 세로쓰기를 使用한다.

用例 [ 編輯 ]

書藝 [ 編輯 ]

東아시아의 書藝 에서 세로쓰기는 主要한 庶子 方向으로 남아 있다. 勿論 傳統的인 禹橫書도 쓰이며, 最近에는 座橫書도 使用된다.

漫畫 [ 編輯 ]

日本 漫畫 (輓歌)는 세로쓰기를 하는 傾向이 두드러진다. 輓歌의 컷과 말風船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移動한다. 네 컷 漫畫는 세로로 컷이 移動한다. 페이지도 세로쓰기 書籍의 順序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넘어간다.

大韓民國의 漫畫 는 日本 漫畫와 달리 座橫書가 壓倒的이며 컷과 페이지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移動한다. 日本 漫畫의 韓國語 飜譯本은 座橫書로 만들려고 左右를 바꾼 판으로 나온 것도 있고, 原本을 維持한 것도 있다. 原本을 維持한 것은 日本 漫畫처럼 컷과 페이지, 말風船의 移動이 오른쪽에서 왼쪽이다. 다만, 말風船 內의 글은 가로쓰기에 익숙한 讀者의 便宜를 위해서 座橫書로 바꾼 境遇가 많다.

言語別 用例 [ 編輯 ]

톈안먼 의 標語(‘中華人民共和國 萬歲’와 ‘世界 人民 大團結 萬歲’)은 簡體字로 座橫書로 씌어 있다.

中國語 簡體 [ 編輯 ]

漢字의 簡體字가 使用되는 中國 大陸 싱가포르 에서는 세로쓰기가 매우 드물어졌다. 現在 出版 大部分은 英語 처럼 가로쓰기로 되어 있으며, 세로쓰기는 主로 藝術 敵이거나 美學 的인 目的에서 使用된다.

가로쓰기는 座橫書로 쓰이는 게 一般的이나, 아랍語 事前 같은 境遇 禹橫書로 出版된다.

日本語와 中國語 正體字 [ 編輯 ]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는 모두 中國語 停滯가 쓰이는 타이완·홍콩·마카오와 日本에서 쓰인다. 中國語 正體는 中國 大陸에서 苦戰을 쓸 때와 같이 制限된 境遇에 쓰인다. 이때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쓰인다.

中國語 停滯로 세로쓰기로 쓰인 新聞 記事. 題目은 座橫書로 씌어 있다. 로마字와 印度-아라비아 數字는 90度 回戰되어 있다.

세로쓰기는 小說·新聞·漫畫 等에 폭넓게 使用된다. 세로쓰기는 글씨가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늘 冊의 옆面에 使用된다. 몇몇 新聞은 두 가지 形態를 섞어 記事 內容은 세로쓰기로 하되 題目은 座橫書로 쓰는 式으로 하고 있다. 샤쿠하치 (尺八) 같은 日本 樂器의 樂譜도 세로쓰기로 쓰인다.

다른 言語의 文句를 包含하는 學術的인 텍스트에서는 主로 가로쓰기가 쓰인다. 科學이나 數學 텍스트는 거의 恒常 가로쓰기로 쓰인다. 컴퓨터 텍스트도 거의 가로쓰기로 쓰인다.

日本의 名銜은 한 面은 日本語를 세로쓰기로 印刷하고, 反對 面은 英語를 가로쓰기로 印刷한다. 葉書나 손으로 쓴 便紙는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使用되는데, 세로쓰기가 더 一般的이다.

日本語는 세로쓰기에서 使用되는 ‘、’代身에 ‘,’가 使用되도록 規定되어 있으나, 現實에서 잘 지켜지고 있지는 않다. 中國語에서는 ‘:’李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같은 模樣으로 쓰이는데, 이것은 韓國語에서 세로쓰기일 때 90度 回轉되는 것과 다르다. [3]

타이완 等 中國語 繁體 使用 地域에서는 句讀點이 가운데에 놓이는 境遇가 一般的인데, 中國 大陸이나 日本과 다른 點이다. 다음 表에 그 例가 있다.

타이완
中國 大陸

韓國語 [ 編輯 ]

坐鐘서로 쓰인 警告 文句. 大韓民國 부평역 仁川 메트로 1號線 乘降場에서 撮影한 寫眞.
禹橫書로 쓰인 下水溝 뚜껑. 慶北 漆谷郡 북삼읍 인평리에서 撮影한 寫眞.

最近의 韓國語에서는 세로쓰기가 드물게 쓰이며 가로쓰기(座橫書)가 壓倒的이다. 禹橫書는 세로쓰기보다 더 드물다. 主로 景福宮 等의 宮闕이나 海印寺 等의 査察 같은 遺跡地에서의 懸板에서나 볼 수 있다. 近代 以前에 座縱書가 쓰인 例는 蒙語老乞大 淸語老乞大 와 같은 몽골語 滿洲語 敎本에서 몽골 文字 滿洲 文字 와 쓰는 方向을 맞추기 위해 使用한 例가 거의 唯一하다. 그러나 現代에는 座橫書의 影響으로 세로쓰기度 傳統的인 우종서가 아닌 坐鐘서로 쓰인 境遇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우종서 세로쓰기度 적지 않다.)

大韓民國 標準 表記法 의 境遇,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의 句讀點·引用 符號 等을 서로 같게 規定하고 있다.

2008年 4月初에 YTN 의 《 突發映像 》 製作陣은 放送通信委員會 의 臨時 로고를 놀이터 等地에서 놀고 있던 初等學生과 幼稚園生들을 對象으로 읽어보게 했다. 放送通信 이라는 文字가 우종서 두 줄로 적혀 있었는데, 아이들은 하나같이 座橫書로 通房新訟 이라고 읽었고, 세로라는 것을 알려주어도 坐鐘서로 通信放送 이라고 읽었다. [4] [5] 이에 對해 같은 프로그램에 出演한 이름이 表記되지 않은 專門家는 政府 機關·團體가 세로쓰기를 하거나 漢字를 包含하는 것은 아직도 權威意識이 있다는 뜻이라며 批判했다. [4] [5] 그러나 오늘날까지 세로쓰기의 標準은 우종서이며, 訃告 (訃告)나 公的廣告物 等에서는 아직 우종서가 쓰이고 있다. 最近 映畫館의 스크린 字幕에서는 우종서보다도 座橫書가 더 많이 쓰이는 趨勢이다. [6] 다만, 세로로 서있어야 하는 境遇가 많은 冊의 境遇 ‘冊등’ 部分의 題目 表記는 主로 한 줄로 세로쓰기하는 것이 一般的이다.

몽골 文字로 表記된 글 [ 編輯 ]

몽골 文字로 쓰인 글( 몽골語 · 滿洲語 等)은 傳統的으로 坐鐘書를 쓴다. 몽골 文字를 가로로 쓰려면 90度 回轉하는 수밖에 없다.

히에로글리프 [ 編輯 ]

古代 이집트 의 象形文字 히에로글리프 는 象形의 原理에 따라 만들어진 文字이지만, 그 用法은 表音(漢字의 육서 에 比喩하면 ‘ 假借 ’)이 많다. 庶子 方向은 가로쓰기, 세로쓰기, 오른쪽으로 쓰기, 왼쪽으로 쓰기 모두가 可能해 制約이 嚴하지 않다. 그렇지만, 禹橫書가 基本的인 서자 方向으로 認識되고 있었다. 또, 文字는 左右 反對로〔경상(鏡像)〕 써도 괜찮아서 세로쓰기의 行갈이 方向이나 가로쓰기의 進行 方向은 사람이나 새를 본뜬 文字의 얼굴 方向으로 判別한다. 例를 들어, 가로쓰기로 얼굴이 왼쪽을 向하고 있으면 座橫書이다. 文字마다 形態나 크기가 가지各色인 작은 文字나 세로로 길거나 가로로 긴 文字가 繼續될 때는, 行 中에서 2~3個를 거듭하고 쓰는(예를 들어 가로쓰기이면 세로로 거듭하는) 일도 자주 일어났다.

컴퓨터에서의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 編輯 ]

컴퓨터 는 英語가 쓰이는 美國에서 發展한 것이어서 컴퓨터로 쓴 글 中에는 座橫書가 壓倒的으로 많다. 그러나 近來에 컴퓨터의 性能·容量의 向上과 普及 擴大에 隨伴하는 國際化·多言語化의 흐름에 따라, 座橫書 以外의 庶子 方向도 支援되게 되었다.

現時點에서 主要한 課題는 禹橫書와 세로쓰기를 컴퓨터에서 支援하는 方法이다.

禹橫書의 支援 [ 編輯 ]

아랍 文字 히브리 文字 는 禹橫書의 支援이 必須이다. 게다가 이러한 文字에 西洋 文字나 數字가 婚材하는 境遇는 거기만 座橫書가 되기 때문에 但只 文字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늘어놓으면 되는 問題가 아니다. 禹橫書와 座橫書가 混在되었을 境遇의 標示나 入力이 올바르게 處理하도록 할 必要가 있다.

또 禹橫書에서는 座橫書에 비해 藥物 의 方向이 反對된다. 特히 括弧의 論理的 意味가 反對로 된다는 點 [7] 에 注意해야 한다.

컴퓨터에서는 禹橫書를 R2L 또는 RTL ( right-to-left )로 부른다. 座橫書는 L2R 또는 LTR 이다. R2L과 L2R이 混在된 環境은 BiDi ( bi-directional )라고 한다. 近來에 주요한 運營體制 가 BiDi를 支援하고 있어 HTML 4.0에서도 dir 屬性이 導入돼 BiDi의 支援이 進行되고 있다.

세로쓰기의 支援 [ 編輯 ]

漢字 文化圈 文字 言語는 傳統的으로 세로쓰기였다가 近來에 座橫書가 一般的으로 되어, 컴퓨터에서도 座橫書로 處理됐다. 하지만, 最近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같은 워드프로세서 年賀狀 作成 소프트웨어, 電子冊 리더 等에서 세로쓰기 支援이 늘어나고 있다. [8] [9]

CSS로 글字를 세로쓰기로 變換
特性 writing-mode layout-flow -webkit-writing-mode
宣言 writing-mode:tb-rl; layout-flow:vertical-ideographic; -webkit-writing-mode:vertical-rl;
韓國語
우리는 다음과 같은 事實을 自明한 眞理로 받아들인다˚ 卽 모든 사람은 平等하게 創造되었고` 創造主는 몇 個의 讓渡할 수 없는 權利를 附與했으며` 그 權利 中에는 生命과 自由와 幸福의 追求가 있다˚
?? 《美國獨立宣言》
우리는 다음과 같은 事實을 自明한 眞理로 받아들인다˚ 卽 모든 사람은 平等하게 創造되었고` 創造主는 몇 個의 讓渡할 수 없는 權利를 附與했으며` 그 權利 中에는 生命과 自由와 幸福의 追求가 있다˚
?? 《美國獨立宣言》
우리는 다음과 같은 事實을 自明한 眞理로 받아들인다˚ 卽 모든 사람은 平等하게 創造되었고` 創造主는 몇 個의 讓渡할 수 없는 權利를 附與했으며` 그 權利 中에는 生命과 自由와 幸福의 追求가 있다˚
?? 《美國獨立宣言》
繁體子 中國語
「我等之見解?,下述?理不證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賜,擁諸無可轉讓之權利,包含生命權、自由權、與追尋幸福之權。」
??《美國獨立宣言》
「我等之見解?,下述?理不證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賜,擁諸無可轉讓之權利,包含生命權、自由權、與追尋幸福之權。」
??《美國獨立宣言》
「我等之見解?,下述?理不證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賜,擁諸無可轉讓之權利,包含生命權、自由權、與追尋幸福之權。」
??《美國獨立宣言》
簡體字 中國語
“我等之?解?,下述?理不?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无可??之?利,包含生命?、自由?、?追?幸福之?。”
??《美??立宣言》
“我等之?解?,下述?理不?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无可??之?利,包含生命?、自由?、?追?幸福之?。”
??《美??立宣言》
“我等之?解?,下述?理不?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无可??之?利,包含生命?、自由?、?追?幸福之?。”
??《美??立宣言》
日本語
「天の人を生ずるは億兆皆同一轍にて、之に附?するに動かす可からざるの通義を以てす。?ち其通義とは人の自から生命を保し自由を求め幸福を祈るの類にて、他より之を如何ともす可らざるものなり。」
――『アメリカ?立宣言』
「天の人を生ずるは億兆皆同一轍にて、之に附?するに動かす可からざるの通義を以てす。?ち其通義とは人の自から生命を保し自由を求め幸福を祈るの類にて、他より之を如何ともす可らざるものなり。」
――『アメリカ?立宣言』
「天の人を生ずるは億兆皆同一轍にて、之に附?するに動かす可からざるの通義を以てす。?ち其通義とは人の自から生命を保し自由を求め幸福を祈るの類にて、他より之を如何ともす可らざるものなり。」
――『アメリカ?立宣言』
說明 最新 CSS 候補勸告案에서의 勸奬事項은 writing-mode:vertical-rl; 이지만, 이 境遇 舊 버전 브라우저와의 互換性 問題가 있을 수 있다. MS의 非標準 文法이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以外의 브라우저는 支援하지 않는다. Webkit 基盤 브라우저에서만 動作하며, 一部 브라우저에서 글字가 90度로 回傳되는 境遇가 있다.

各州 [ 編輯 ]

  1. 1988年 以前에도 가로쓰기를 採用한 地域 新聞은 있었다. 全羅南道 光州 에서 創刊된 地域新聞인 《 湖南新聞 》李 1947年 8月 15日 者부터 韓國 最初로 가로쓰기를 導入하였다. 中央紙로서는 《 스포츠서울 》李, 中央綜合日刊紙로는 《 한겨레新聞 》이 最初이다. 김은신 (1995年 11月 1日). 《이것이 韓國 最初》. 三門. 96~98쪽쪽. ISBN   978-89-85407-35-9 .  
  2. 이수강 記者 (2007年 4月 4日). “決算公告는 세로쓰기의 ‘마지막 堡壘’?” . 미디어오늘.   新聞에서 알리는 決算公告는 아직까지도 세로쓰기를 固執하는 企業들이 있다.
  3. 橫書와 種서 例示 그림 (위키미디어 共用)
  4. 이병식 (2008年 3月 30日). ' 通房新訟'?...알 수 없는 政府로고” . YTN . 2012年 5月 21日에 確認함 .  
  5. 突發映像 (2008年 4月 2日). “[오늘 문득] "思考의 轉換 " . YTN . 2008年 4月 3日에 確認함 .   |題目= 에 지움 文字가 있음(위치 1) ( 도움말 )
  6. 백승찬 記者 (2010年 2月 17日). “外貨字幕 飜譯의 世界 ‘壓縮의 美學’이자 ‘또다른 創作’” . 傾向닷컴.  
  7. 例를 들어 ‘)’가 여는 括弧가 된다.
  8. 名勝은 記者 (2006年 1月 24日). “韓國MS, 한글사랑 同好會 發足 '한글 破壞者에서 守護者로 ' . 매이경제.  
  9. 정혁준 記者 (2009年 4月 17日). “한글 殘酷史 20年” . 한겨레21.  

參考 資料 [ 編輯 ]

  • 屋名池誠 《?書き登場-日本語表記の近代-》 ISBN   4004308631
  • 紀田順一? 《日本語大博物館》 ISBN   4-88309-046-9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