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오픈 (테니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US 오픈
US Open
創設 1881
地域 미국의 기 美國
뉴욕州 , 뉴욕 市
場所 USTA 빌리 진 킹 國立 테니스 競技場
코트 種類 잔디 - 室外 (1881?1974)
클레이 - 室外 (1975?1977)
데코터프 - 室外 (1978?現在)
賞金 US$ 57.5 (2021)
男子
드로 128S / 128Q / 64D
現在 챔피언 다닐 메드베데프 (단식)
리앤더 페이스 / 라덱 스테파넥 (服飾)
最多 單式 타이틀 7
리처드 시어스
빌 라네드
빌 틸든
最多 複式 타이틀 6
리처드 시어스
제임스 드와이트
홀컴 워드
女子
드로 128S / 128Q / 64D
現在 챔피언 엠마 라두카누 (단식)
사라 에라니 / 로베르타 빈치 (服飾)
最多 單式 타이틀 8
몰라 말로리
最多 複式 타이틀 13
마가렛 오스본 듀폰트
混合 複式
드로 32
現在 챔피언 예카테리나 마카로바 / 브루노 小어스
最多 타이틀 (男性) 4
빌 틸든
빌 탤버트
밥 브라이언
最多 타이틀 (女性) 8
마가렛 오스본 듀폰트
마거릿 코트

US 오픈 ( US Open )은 每年 開催되는 4代 그랜드 슬램 테니스 大會의 하나이다. 이 大會는 世界에서 가장 오래된 테니스 大會 中 하나로 1881年 처음 始作되었다. 每年 8~9月 美國 勞動節 을 전후하여 2週에 걸쳐 열리며, 그랜드 슬램 大會 中에서는 年中 가장 마지막으로 열린다. 메인 競技는 男子 單式, 女子 單式, 男子 複式, 女子 複式, 混合 服飾의 5個 部門으로 나뉘어 있으며, 여기에 더해 주니어, 시니어, 휠체어 部門이 있다. 1978年부터 뉴욕 퀸즈(Queens)의 플러싱 메도右-코로나 파크 (Flushing Meadows-Corona Park)에 있는 아크릴 素材 하드 코트 인 ‘全美테니스協會 빌리진킹 國立 테니스 競技場’에서 열리고 있다.

US 오픈은 나머지 그랜드 슬램 大會들과 달리 마지막 세트에서도 타이브레이크 를 適用한다. 나머지 大會들의 境遇, 男子 競技의 5세트나 女子 競技의 3세트에서는 게임 스코어가 6-6 同率이 되어도 타이 브레이크 適用 없이 어느 한 쪽이 2게임을 내리 따낼 때까지 繼續해서 競技를 進行한다.

歷史 [ 編輯 ]

아서 애시 스타디움의 모습

US 오픈은 最初에 上流層의 高級 娛樂으로 始作하여, 오늘날에는 600名 以上의 男女 選手들이 1900萬 달러의 總賞金과 150萬 달러의 單式 優勝 賞金(2008年 基準)을 놓고 熾烈한 競爭을 벌이는 챔피언십 大會로 成長하였다.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내셔널 챔피언십 이라는 이름으로 大會가 開催되기 始作한 첫 몇 年間은 男子 單式 競技만이 進行되었다. 第1回 大會는 1881年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 뉴포트 카지노 에서 開催되었으며, 이 때에는 美國 론 테니스 協會 에 加入된 클럽의 會員에게만 參加 資格이 주어졌다. 1884年부터 1911年 大會는 優勝者가 다음 해 大會 決勝에 自動으로 進出하고 새로운 決勝 進出者가 이에 挑戰하는 方式으로 進行되었다. 1915年에는 大會 場所가 뉴욕州 포레스트힐즈의 웨스트 사이드 테니스 클럽 으로 變更되었다. 1921年부터 1923年까지는 大會 場所가 필라델피아 저먼타운 크리켓 클럽 으로 移動되었다가, 1924年에 다시 포레스트힐즈로 돌아왔다.

男子 京畿만 存在하는 國內 大會 形態로 첫 大會가 열린 지 6年만인 1887年, 女子 單式 챔피언십이 亦是 國內 大會의 形態로 필라델피아 크리켓 클럽 에서 開催되었으며, 1889年에는 女子 複式 챔피언십도 開催되었다. 혼복 챔피언십도 女子 單式 및 服飾과 함께 進行되었다. 最初의 男子 複式 챔피언십은 1900年에 開催되었으며, 美國 西部와 東部에서 各各 大會를 開催하여 各 地域 優勝者를 가린 後 다시 플레이오프를 進行하여 다음 해의 디펜딩 챔피언으로 最終 決勝에 自動 進出할 팀을 가리는 方式으로 進行되었다.

1968年 5個 部門의 大會들이 統合되어 뉴욕州 포레스트힐즈의 웨스트 사이드 테니스 클럽에서 US 오픈이 開催되기 始作하면서 오픈 時代 가 幕을 올렸다. 이 때부터 大會는 프로 選手들에게도 開放되기 始作했다. 이 해 大會에는 96名의 男子 選手들과 63名의 女子 選手들이 參加했으며, 總賞金은 10萬 달러였다.(2010년 基準 價値로 約 625,336달러)

1970年 US 오픈은 그랜드 슬램 大會로서는 最初로 마지막 세트에서 타이브레이크를 適用하기 始作했으며, 現在에도 마지막 5세트에서 타이브레이크를 適用하는 그랜드 슬램 大會는 US 오픈이 唯一하다.

코트  · 競技場의 變化 [ 編輯 ]

US 오픈의 코트 材質은 몇 番에 걸쳐 바뀌었는데, 지미 코너스 는 그 모든 種類의 코트에서 優勝한 唯一한 選手이다. 크리스 에버트 는 두 種類의 코트에서 優勝했다. 現在 코트 材質로 使用되고 있는 데코터프 는 다른 하드 코트 種類에 비해서도 摩擦力이 좀더 적어, 하드 코트 中에서는 바운드가 가장 낮고 빠른 코트로 알려져있다. 特히 濠洲 오픈 에서 2007年까지 使用되었던 리바운드 에이스 와 比較할 境遇 더욱 그렇다. 이러한 理由 때문에 많은 서브 앤 발리 專門 選手들이 US 오픈에서 좋은 成跡을 거둬 왔다.

메인 코트인 아서 애시 스타디움 은 1997年 開場하였으며 22,547個의 座席을 갖추고 있다. 이 競技場의 이름은 오픈 時代 첫 大會였던 1968年 大會 男子 單式 優勝者인 아서 애시 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두 番째로 規模가 큰 코트는 루이 암스트롱 스타디움 으로 1978年 開場하였으며 公演用 原形 스타디움을 改造하여 만들어졌다. 이 競技場은 1978年부터 1996年까지 메인 스타디움으로 使用되었으며 한때 最大 18,000名까지 受容 可能했으나 아서 애시 스타디움 開場 以後 收容人員을 5,500으로 縮小했다. 세 番째로 規模가 큰 코트는 그랜드스탠드 스타디움(Grandstand Stadium)으로, 루이 암스트롱 스타디움의 附設 코트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사이드 코트들 中 4, 7, 11番 코트도 1,000個 以上의 座席을 갖추고 있다.

US 오픈에서 使用되는 모든 코트에는 夜間 照明 施設이 갖춰져 있어 美國 텔레비전 放送 黃金時間帶 에 競技 生中繼가 可能하다. USA Network CBS 는 數 年間 US 오픈의 夜間 競技를 생중계해오고 있다.

2005年부터 US 오픈 및 US 오픈 시리즈 大會에서 使用되는 모든 코트의 色깔이 變更되어, 旣存에 모든 面이 草綠色이었던 것을 코트 안쪽의 色을 파란色으로 바꾸었다. 이는 텔레비전 畵面에서 功이 더 잘 識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US 오픈 競技場所인 USTA 내셔널 테니스 센터는 이 大會 4回 優勝者이자 世界 女子 테니스界의 先驅者的 役割을 했던 빌리 진 킹 의 이름을 따 2006年 大會부터 USTA 빌리진킹 내셔널 테니스 센터 로 改名되었다.

賞金 [ 編輯 ]

2013年 大會의 總賞金額은 34,252,000 달러 로, 前年度 大會에 비해 千萬 달러가 增額되었다. [1] 大會 成跡에 따른 賞金 配分은 아래 表와 같다. [2]

部門 優勝 準優勝 4强 8强 4回戰 3回戰 2回戰 1回戰 豫選 3回戰 豫選 2回戰 豫選 1回戰 總計
斷食 128 드로 $1,900,000 $950,000 $475,000 $237,500 $120,000 $65,000 $37,000 $23,000 $8,638 $5,775 $3,000 $9,406,000
複式 * 64 드로 $420,000 $210,000 $105,000 $50,000 - $26,000 $16,000 $11,000 - - - $3,712,000
混合 複式 * 32 드로 $150,000 $70,000 $30,000 $15,000 - - $10,000 $5,000 - - - $500,000

* 팀當 賞金

본 大會의 賞金 外에도 챔피언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에 410,000달러의 賞金이 있으며, 하루當 1,272,000달러의 選手 支援 經費가 配定되어 選手들에게 支出되는 總經費는 25,526,000달러에 이른다. [2]

랭킹 포인트 [ 編輯 ]

大會 成跡에 따라 附與되는 ATP WTA 랭킹 포인트에는 每年 조금씩 變動이 있다. 가장 最近 大會의 랭킹 포인트 配分은 다음과 같다.

部門 優勝 準優勝 4强 8强 4回戰 3回戰 2回戰 1回戰
斷食 男子 (ATP) 2000 1200 720 360 180 90 45 10
女子 (WTA) 2000 1400 900 500 280 160 100 5

歷代 優勝者 [ 編輯 ]

男子 單式 [ 編輯 ]

鳶島 優勝 準優勝
1926 프랑스의 기 프랑스 르네 라코스트 프랑스의 기 프랑스 場 步로트라
1933 영국의 기 英國 프레드 페리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잭 크로퍼드
1956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켄 로즈月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壘 호드
1957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말 앤더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애슐리 쿠퍼
1958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애슐리 쿠퍼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맬 앤더슨
195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닐 프레이저 페루의 기 페루 알렉스 올메도
1960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닐 프레이저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1961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이 에머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1962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이 에머슨
1963 멕시코의 기 멕시코 라파엘 오수나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프랭크 프롤링
1964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이 에머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프레드 스톨
1965 스페인의 기 스페인 마누엘 산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南아메리카 共和國 클리프 드라이즈데일
1966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프레드 스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존 뉴컴
196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토니 로체
1970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켄 로즈月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토니 로체
1972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一理에 나스타視 미국의 기 美國 아서 애시
1973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존 뉴컴 체코의 기 체코 얀 코데시
1974 미국의 기 美國 지미 코너스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켄 로즈月
1975 스페인의 기 스페인 마누엘 오란테스 미국의 기 美國 지미 코너스
1976 미국의 기 美國 지미 코너스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77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기예르모 빌라스 미국의 기 美國 지미 코너스
1978 미국의 기 美國 지미 코너스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79 미국의 기 美國 존 매켄로 미국의 기 美國 비터스 제럴라이티스
1980 미국의 기 美國 존 매켄로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81 미국의 기 美國 존 매켄로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82 미국의 기 美國 지미 코너스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3 미국의 기 美國 지미 코너스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4 미국의 기 美國 존 매켄로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5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미국의 기 美國 존 매켄로
1986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체코의 기 체코 밀로슬라프 메치르시
1987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스웨덴의 기 스웨덴 매츠 빌랜더
1988 스웨덴의 기 스웨덴 매츠 빌랜더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9 독일의 기 獨逸 보리스 베커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90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러스 미국의 기 美國 앤드리 애거시
1991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테판 에드베리 미국의 기 美國 짐 쿠리어
1992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테판 에드베리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러스
1993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러스 프랑스의 기 프랑스 세드릭 피올린
1994 미국의 기 美國 앤드리 애거시 독일의 기 獨逸 미카엘 슈티히
1995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러스 미국의 기 美國 앤드리 애거시
1996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러스 미국의 기 美國 마이클 窓
1997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패트릭 라프터 영국의 기 英國 그렉 루제드스키
1998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패트릭 라프터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필리포시스
1999 미국의 기 美國 앤드리 애거시 미국의 기 美國 토드 마틴
2000 러시아의 기 러시아 마라트 사핀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러스
2001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레이턴 휴잇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러스
2002 미국의 기 美國 피트 샘프라스 미국의 기 美國 앤드리 애거시
2003 미국의 기 美國 앤디 로딕 스페인의 기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2004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레이턴 휴잇
2005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미국의 기 美國 앤드리 애거시
2006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미국의 기 美國 앤디 로딕
2007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08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영국의 기 英國 앤디 머리
2009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2010 스페인의 기 스페인 라파엘 나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11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스페인의 기 스페인 라파엘 나달
2012 영국의 기 英國 앤디 머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13 스페인의 기 스페인 라파엘 나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14 크로아티아의 기 크로아티아 마린 칠리치 일본의 기 日本 니시코리 게이
2015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2016 스위스의 기 스위스 스탄 바브린카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17 스페인의 기 스페인 리파엘 나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南아메리카 共和國 케빈 앤더슨
2018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2019 스페인의 기 스페인 리파엘 나달 러시아의 기 러시아 다닐 메드베데프
2020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도미니크팀 독일의 기 獨逸 알렉산더 즈베레프
2021 러시아의 기 러시아 다닐 메드베데프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22 스페인의 기 스페인 카를로스 알카라스 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카스퍼 루드

女子 單式 [ 編輯 ]

鳶島 優勝 準優勝
1937 칠레의 기 칠레 아니타 리자나 폴란드의 기 폴란드 자드非스카 豫드셰요브스카
1959 브라질의 기 브라질 마리아 不에노 영국의 기 英國 크리스틴 트루먼 제인스
1963 브라질의 기 브라질 마리아 不에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196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미국의 기 美國 낸시 리치
1970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미국의 기 美國 로즈마리 카잘스
1971 미국의 기 美國 빌리 진 킹 미국의 기 美國 로즈마리 카잘스
1972 미국의 기 美國 빌리 진 킹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케리 멜빌
1973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4 미국의 기 美國 빌리 진 킹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5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6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7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웬디 턴불
1978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미국의 기 美國 팸 슈리버
1979 미국의 기 美國 트레이시 오스틴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1980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체코의 기 체코 하나 만들리코바
1981 미국의 기 美國 트레이시 오스틴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82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체코의 기 체코 하나 만들리코바
1983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1984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미국의 기 美國 크리스 에버트
1985 체코의 기 체코 하나 만들리코바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86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체코의 기 체코 헬레나 수코바
1987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1988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1989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90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199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모니카 셀레스 미국의 기 美國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92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모니카 셀레스 스페인의 기 스페인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1993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체코의 기 체코 헬레나 수코바
1994 스페인의 기 스페인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1995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미국의 기 美國 모니카 셀레스
1996 독일의 기 獨逸 슈테피 그라프 미국의 기 美國 모니카 셀레스
1997 스위스의 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미국의 기 美國 비너스 윌리엄스
1998 미국의 기 美國 린지 대븐포트 스위스의 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1999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스위스의 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2000 미국의 기 美國 비너스 윌리엄스 미국의 기 美國 린지 대븐포트
2001 미국의 기 美國 비너스 윌리엄스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2002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미국의 기 美國 비너스 윌리엄스
2003 벨기에의 기 벨기에 쥐스틴 에냉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2004 러시아의 기 러시아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러시아의 기 러시아 엘레나 데멘티에바
2005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프랑스의 기 프랑스 마리 피르스
2006 러시아의 기 러시아 마리아 샤라포바 벨기에의 기 벨기에 쥐스틴 에냉
2007 벨기에의 기 벨기에 쥐스틴 에냉 러시아의 기 러시아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2008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옐레나 얀코비치
2009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덴마크의 기 덴마크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2010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러시아의 기 러시아 베라 즈보나레바
2011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사만다 스토서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2012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빅토리아 兒子렌카
2013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빅토리아 兒子렌카
2014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덴마크의 기 덴마크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2015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플라비아 페네타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로베르타 빈치
2016 독일의 기 獨逸 안젤리크 케르버 체코의 기 체코 카롤리나 플리스코바
2017 미국의 기 美國 슬로안 스티븐슨 미국의 기 美國 매디슨 키스
2018 일본의 기 日本 오사카 나오미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2019 캐나다의 기 캐나다 비앙카 안드레스쿠 미국의 기 美國 세리나 윌리엄스
2020 일본의 기 日本 오사카 나오미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빅토리아 兒子렌카
2021 영국의 기 英國 엠마 라두카누 캐나다의 기 캐나다 레일라 페르난데스
2022 폴란드의 기 폴란드 이가 是非옹테크 튀니지의 기 튀니지 온스 자베르

各州 [ 編輯 ]

  1. (英語) “US Open Prize Money Increases Announced” . ATP Tour. 2012年 7月 12日 . 2012年 8月 23日에 確認함 .  
  2. (英語) “US Open Prize Money” . USTA. 2013年 1月 1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月 20日에 確認함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