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산맥

히말라야산맥
Himalayas
(地理 類型: 山脈 )
에베레스트산의 북쪽면: 티베트 자치구에 있는 베이스 캠프로 가는 길에서 본 모습
에베레스트山 의 北쪽面
티베트 自治區 에 있는 베이스 캠프로
가는 길에서 본 모습
나라 네팔   · 미얀마   · 부탄   · 아프가니스탄   · 印度   · 中華人民共和國   · 파키스탄   · 타지키스탄
最高峯 에베레스트山
 - 높이 8,848 m (29,029 ft)
 - 座標 北緯 27° 59′ 17″ 東京 86° 55′ 31″  /  北緯 27.98806° 東京 86.92528°  / 27.98806; 86.92528  ( 에베레스트山 (8848m): 히말라야山脈의 最高峯 )
目錄
  • 길이 - 2,400km
히말라야산맥(티베트高原)
히말라야산맥(印度)

히말라야산맥 ( 네팔語 : ?????? , 티베트語 : ???????? , 우르두語 : ????? ??? ?????? , 中國語 : 喜?拉雅山? )은 아시아 에 位置한 山脈 으로 印度 亞大陸 티베트高原 사이에 놓여 있다. 印度 亞大陸 티베트高原 을 나누는 境界線이다. 地球에서 가장 높은 山인 에베레스트山 을 비롯해 14 個의 8000미터 봉우리 가 모두 이곳에 모여 있다. 海拔高度 7,000m가 넘는 山들은 모두 히말라야山脈에 屬하므로, '世界의 지붕'이라고도 불린다. [1]

히말라야산맥은 파키스탄 , 印度 , 中華人民共和國 티베트 自治區 , 네팔 , 부탄 에 걸쳐 있는데, 個中에 카슈미르 地域은 파키스탄, 印度, 中國의 國境紛爭地帶이기도 하다. [2] 넓게는 北쪽으로 히말라야山脈과 이어진 카라코람山脈 힌두쿠시山脈 파미르高原 의 여러 山脈을 包含해서 말하기도 한다. 南쪽으로는 印度-갠지스 平原 과 接한다. 인더스강 , 갠지스江 , 얄룽창포강 의 發源地로 이 세 講義 流域 에서 사는 人口를 합치면 6億에 達한다. 反面 히말라야山脈 안에서 사는 人口는 5,300萬이다. [3]

히말라야산맥은 引渡版 유라시아版 攝入 되며 知覺이 隆起 되어 生成되었다. 길이는 2,400km으로, 北쪽 끝은 낭가파르바트山 이며 南쪽 끝은 남차바르와山 이다. [4] 幅은 西쪽에서는 350km程度이고 東쪽에서는 150km 程度이다. [5] 히말라야산맥은 南아시아 티베트 文明과 깊은 關係를 맺고 있어 여러 봉우리들이 힌두敎 佛敎 에서 神聖視된다. 히말라야는 산스크리트語 로 " 이 사는 곳"이란 뜻이다. 南極 북극 다음으로 많은 얼음과 눈으로 덮여있어 第3劇(third pole)이라고도 불린다.

히말라야山脈의 地圖: 主要 山봉우리들人 14座(座)가 標示되어 있다. 히말라야산맥에서 8,000m가 넘는 主要 14座 (北西쪽에서 南東쪽方向)들은 娘家 파르바트 , K2 , 브로드 피크 , 가셔브룸 1 , 가셔브룸 2 , 다울라기리 , 안나푸르나 , 마나슬루 , 시샤 팡마 , 초오유 , 에베레스트 , 로체 , 마칼루 , 칸첸중가 이다.

地質學 [ 編輯 ]

引渡版 유라시아版 과 衝突하기까지의 移動經路.

히말라야산맥은 地球上에서 가장 젊은 山脈 中 하나로, 大部分 隆起된 堆積巖 變成巖 으로 構成되어 있다. 現代 판 構造論 에 따르면 이들은 印度-오스트레일리아版 유라시아版 이 衝突하여 收斂 警戒 를 이루며 形成되었다. 미얀마 아라칸山脈 벵골灣 안다만 니코바르 諸島 亦是 같은 衝突의 結果로 形成되었다. [6]

約 7千萬年 前 白堊紀 後期 때 引渡-오스트레일리아版은 1年에 約 15cm씩 北쪽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約 5千萬年 前에는 이 판이 유라시아版과 만나며 그 사이에 火山으로 둘러싸인 堆積巖으로 構成된 테티스해 가 完全히 닫혔다. 두 판 모두 低密度 大陸 知覺 으로 構成되어 있기 때문에 衝突부는 海口 를 따라 맨틀 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單層 이 衝突하며 山脈이 隆起하기 始作했다. 이러한 過程은 에베레스트山 正常 오르도비스기 石灰巖 層에서 發見되는 三葉蟲 , 바다나리 , 牌蟲類 化石이 根據로 提示된다. [7]

오늘날에도 引渡版 티베트 高原 에서 繼續 水平으로 움직이고 있어 繼續 北上中이다. 그 速度는 年間 67mm로, 앞으로 1,000萬 年 동안 約 1,500km 더 움직일 것으로 推定된다. [8] 引渡版의 收斂速度 中 約 20mm는 히말라야 南部 戰線에서 吸收되는데, 그 結果로 히말라야산맥은 年間 約 5mm씩 높아져 地質學的으로 活動的으로 分類된다. 또한 地震 活動的이어서 때때로 地震이 發生한다. [9]

마지막 氷河期 에는 東쪽의 칸첸중가山 과 西쪽의 낭가파르바트山 사이에 氷河들이 連結되어 있었다. 西쪽에서는 萬年雪 카라코람 의 빙類 네트워크와 合流했고, 北쪽에서는 以前의 티베트 萬年雪에 合流했다. 南쪽으로는 流出된 얼음덩어리들이 海拔 1,000?2,000m 즈음까지 흘렀다. 現在 히말라야 山脈의 溪谷 萬年雪의 길이는 最大 20-32km에 이르지만, 氷河期 동안 主要 溪谷 氷河들 中 몇몇은 60-112km 길이였다. 氷河의 生成과 消滅이 均衡을 이루어 氷河가 維持되는 線은 오늘날보다 約 1,400?1,660m 낮았다. 卽, 平均 溫度는 오늘날보다 最少 7.0-8.3°C 더 낮았다.

宇宙에서 바라본 히말라야산맥
히말라야산맥

地圖 [ 編輯 ]

아시아의 주요 지리
v   ?   d   ?   e   ?   h 아시아 의 主要 지리

外部 링크 [ 編輯 ]

  1. 히말라야산맥 바깥에서 가장 높은 山은 안데스山脈 에 있는 6,959 m의 아콩카과山 이다.
  2. Bishop, Barry . “Himalayas (mountains, Asia)” . Encyclopaedia Britannica . 2016年 7月 30日에 確認함 .  
  3. A.P. Dimri; B. Bookhagen; M. Stoffel; T. Yasunari (2019年 11月 8日). 《Himalayan Weather and Climate and their Impact on the Environment》 . Springer Nature. 380쪽. ISBN   978-3-030-29684-1 .  
  4. Wadia, D. N. (1931). “The syntaxis of the northwest Himalaya: its rocks, tectonics and orogeny”. 《Record Geol. Survey of India》 65 (2): 189?220.  
  5. Apollo, M. (2017). 〈Chapter 9: The population of Himalayan regions ? by the numbers: Past, present and future〉. Efe, R.; Ozturk, M. 《Contemporary Studies in Environment and Tourism》 .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43?159쪽.  
  6. Garzanti, Eduardo; Limonta, Mara; Resentini, Alberto; Bandopadhyay, Pinaki C.; Najman, Yani; Ando, Sergio; Vezzoli, Giovanni (2013年 8月 1日). “Sediment recycling at convergent plate margins (Indo-Burman Ranges and Andaman?Nicobar Ridge)” . 《Earth-Science Reviews》 123 : 113?132. Bibcode : 2013ESRv..123..113G . doi : 10.1016/j.earscirev.2013.04.008 . ISSN   0012-8252 .  
  7. Sakai, Harutaka; Sawada, Minoru; Takigami, Yutaka; Orihashi, Yuji; Danhara, Tohru; Iwano, Hideki; Kuwahara, Yoshihiro; Dong, Qi; Cai, Huawei; Li, Jianguo (December 2005). “Geology of the summit limestone of Mount Qomolangma (Everest) and cooling history of the Yellow Band under the Qomolangma detachment” . 《The Island Arc》 14 (4): 297?310. Bibcode : 2005IsArc..14..297S . doi : 10.1111/j.1440-1738.2005.00499.x . S2CID   140603614 . 2023年 3月 9日에 確認함 .  
  8. “Plate Tectonics -The Himalayas” . The Geological Society . 2016年 9月 13日에 確認함 .  
  9. “Devastating earthquakes are priming the Himalaya for a mega-disaster” . 《Science》 (英語). 2019年 1月 17日 . 2024年 3月 28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