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헝가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오스트리아-헝가리 君主國
獨逸語 : Osterreichisch-Ungarische Monarchie
헝가리語 : Osztrak?Magyar Monarchia

1867年 ~ 1918年
문장
文章
(1915年 ~ 1918年)
標語 나눌 수도 떼어낼 수도 없다. (갈라질 수도 없고 分離될 수도 없다.)
( 라틴語 : Indivisibly and inseparably 人디비시빌리테르 惡 印稅爬羅빌리테르 [ * ] ) [1]
國家 神의 加護가 있기를, 神의 加護
    치瑟레이타니아 또는 "오스트리아"
    性 스테판 聯合王國 , 또는 "헝가리"
수도
最大都市
政治
政治體制 同君聯合
立憲君主制 下의 이中君主國
立法府 2個의 國家 立法府
歷史的 時代
지리
1905年 어림 面積 621,538 [3]
人文
公用語
其他 言語:
체코語 , 폴란드語 , 壘테니아어 , 루마니아語 , 세르비아語 , 슬로바키아語 , 슬로베니아語 , 이탈리아語 , 로마니어(카르파티아어) , 이디시語 , [6] 및 其他 ( 프리鬱李어 , 이스트로루마니아語 , 라딘어 )
데모님 오스트리아人 - 헝가리人
經濟
通話
宗敎
宗敎 [7]
以前 國家
다음 國家
오스트리아 帝國
法的 後任國:
獨逸系 오스트리아 共和國
헝가리
기타 領土 承繼國: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鉏우크라이나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 獨逸語 : Osterreich-Ungarn 外스터라이히-웅가른 [ * ] , 헝가리語 : Ausztria?Magyarorszag 御宇스트리어-머저로르사그 [ * ] )는 1867年에서 1918年 사이 유럽 에 存在했던 君主國 이다. [8] [9] 1867年 大妥協 으로 만들어졌고, 第1次 世界大戰 에서 敗戰한 後 여러 條約으로 인해 國家 自體가 分解되었다.

國體의 核心은 오스트리아 帝國 의 西部 및 北部 地域인 시스라이타니아 ( 라이타江 이쪽)와 헝가리 王國 이 制度的으로 分離된 트란스라이타니아(라이타江 저쪽) 사이의 同君聯合 으로 이루어진 이중군主題였다. 한便 1868年 妥協 으로 헝가리 王國의 自治領으로 認定받은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王國 을 제3의 聯合構成體로 보기도 한다. 오스트리아(시스라이타니아)와 헝가리(트란스라이타니아)는 1908年 合倂한 보스니아를 共同으로 統治 했다.

君主는 합스부르크가 에서 輩出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의 歷史 自體가 합스부르크 君主政의 마지막 段階이자 立憲的 轉換期에 該當한다. 1897年 改革으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同等한 權力을 가지게 되었고, 外務?軍事?財務 政策은 統一되었으나 다른 모든 政策 및 政府部處는 分離되어 있었다.

國家의 民族 構成員은 多民族 이었고, 存續 期間 동안 유럽의 主要 强大國 中 하나였다. 國家의 面積은 621,538 평방킬로미터로 當代 유럽에서 러시아 帝國 다음으로 컸으며, [3] 人口도 러시아와 獨逸 帝國 다음인 세番째로 많았다. 經濟 面에서는 美國 , 獨逸, 英國 에 이어 世界 第4位의 機械工學 大國이었고, [10] 美國과 獨逸에 이어 世界 第3位의 家電製品?電氣工學?發電機 製造 및 輸出國이었다. [11] [12]

國體의 存立 根據가 되는 1867年 大妥協은 헝가리人 有權者 大衆의 支持를 받은 적이 單 한 番도 없었고, [13] 헝가리人들은 大妥協 維持파 政黨에게 票를 주지 않았다. 그래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大妥協과 더 나아가 大妥協에 基底限 오스트리아-헝가리의 存在 自體가, 트란스라이타니아의 非(非)헝가리人 少數民族이 大妥協 維持波인 自由黨 에 몰票를 던져줘서 艱辛히 維持된 것이었다.

1878年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占領 [14] 1908年 完全히 直轄領으로 合倂된 것은 여러 强大國 사이에 보스니아 危機 를 觸發시켰다. [15] 보스니아의 무슬림 住民들 때문에 보스니아 合倂을 期하여 이슬람敎 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國敎로 認定되었다. [16]

第1次 世界大戰 自體가 1914年 7月 28日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 王國 에 선전포고하여 始作된 것이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次大戰의 同盟國 中 하나였다. 1918年 11月 3日 빌라주스티 休戰 때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이미 事實上 亡했고, 1919年 9月 10日 調印된 생제르맹 條約 에서 公式的으로 國體 解體가 決定 되었다. 以後 헝가리 王國 오스트리아 第1共和國 이 오스트리아-헝가리를 繼承한 國家로 인정받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의 支配下에 있던 서슬라브족 남슬라브족 들은 獨立하여 체코슬로바키아 第1共和國 , 폴란드 第2共和國 , 유고슬라비아 王國 을 세웠다. 한便 옛 트란스라이타니아의 루마니아人 居住地域에 對한 루마니아 王國 의 領有權 主張은 1920年 다른 勝戰國들에게 認定받았다.

形成 [ 編輯 ]

오스트리아 帝國 19世紀 末葉에 들어서며 危機를 겪기 始作하였다. 1848年 革命 의 影響力은 이탈리아 半島에까지 다다랐고, 19世紀 初부터 提起되었던 統一 이탈리아를 이루고자 하는 리소르지멘토 運動 과 結付되어 이탈리아 半島 內에서 革命의 씨앗이 자라났다. 結局 이는 1859年 4月, 롬바르디아 地域의 市民들이 사르데냐 王國 으로 潛入하여 軍人이 된 事件을 契機로 사르데냐-프랑스 聯合과 오스트리아 間의 戰爭으로 그 싹을 틔웠다( 第2次 이탈리아 獨立 戰爭 ).

이 戰爭에서의 솔페리노 戰鬪 로 오스트리아軍은 敗退하여 베네치아 地域(現 베네토州 )의 4角 地帶 요새까지 밀려나게 된다. 그런데 나폴레옹 3歲 는 勝機를 잡고 있던 狀況에서 갑자기 그 態度를 突變하여 7月 11日 빌라프란카 에서 프란츠 요제프 1歲 와 直接 대면하여 休戰 條約을 맺는다( 빌라프란카 休戰 條約 ). 5月 發生한 토스카나 大公國 , 파르마 公國 , 모데나 公國 에서의 革命으로 더욱이 勝利를 自信하고 있던 사르데냐의 指導者들은 唐慌할 수밖에 없었다. 사르데냐 王國 과의 合意 없이 빌라프란카 休戰 條約은 11月 취리히 條約 으로 確定되게 된다. 이 條約으로 激忿한 사르데냐 王國 의 宰相 카밀로 카보우르 는 辭任하였다.

以後 취리히 條約에 依據, 롬바르디아 地域은 사르데냐 王國에 倂合된다. 또한 그해 가을에는 이탈리아 半島 內에 存在하였던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 및 分家( 합스부르크-에스테 家門 )의 統治를 받던 토스카나 大公國 , 파르마 彼我첸車 公國 , 모데나 레조 公國 敎皇領 에서 舊(舊)支配者들의 逐出과 사르데냐와의 合倂 決議가 일어났다. 사르데냐는 列强의 介入 憂慮로 積極的인 行動에 나서지 못하였다. 그러던 1860年 1月 카보우르 가 宰相職에 復歸하였고 3月에는 國民投票를 통해 敎皇領을 除外한 토스카나 大公國, 파르마, 모데나 公國은 사르데냐가 차지하게 된다.

한便, 第1次 이탈리아 獨立戰爭 以後 獨逸圈에서는 1815年 빈 會議 로 形成된 獨逸 聯邦 自體에 對한 論難이 再點火된다. 獨逸 聯邦의 軍事, 相互援助, 오스트리아 帝國 所有의 非(非)獨逸 地域에 對한 獨逸 聯邦의 責任 問題가 擡頭되었으며 獨逸 內部의 輿論이 두 個로 갈라지게 된다.

북독일의 自由主義者들은 오스트리아 帝國 에 對한 反感을 품었고 프로이센 王國 主導의 統一을 主唱하였다. 反面 南獨逸의 自由主義者들은 오스트리아 帝國이 主導하는 對獨逸의 統一을 主唱하였다. 立場의 差異는 있을지언정, 獨逸에서 統一에 對한 熱望은 높아져만 갔던 것이다. 그러던 1862年 9月 22日, 프로이센의 國王 빌헬름 1歲 와 議會 間의 軍事 改革에 關한 對立 解決을 위하여 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 의 宰相에 就任하였다. 그는 29日 議會에 出席하여 財政委員會에서 軍事改革의 必要性과 憲政紛爭의 解決을 力說하며 鐵血 政策 을 闡明하였다. 비스마르크는 이 두 問題를 解決하는 過程에서 " 獨逸 問題 "에 直面하게 되었다. 프로이센의 憲政紛爭과 獨逸 聯邦 의 構成 問題는 不可分의 關係였다. 卽, 오스트리아와의 全面戰을 통해서만 紛爭과 問題의 解決이 可能하였던 것이다.

그러던 비스마르크에게 機會가 찾아오게 되었다. 엘베 公國으로 불리던 슐레스비히 公國 홀슈타인 公國 에서 問題가 發生하게 된 것이다. 量 公國의 共委는 中世 以來로 덴마크 國王 이 兼任하고 있었는데, 빈 會議 에 따라 獨逸 聯邦이 再編되면서 홀슈타인 公國 이 獨逸 聯邦으로 編入되었다. 슐레스비히의 아이더 江 以北에서는 덴마크人이 株 民族을 構成하고 있었으나 以南에서는 獨逸人이 株 民族이었으며, 홀슈타인은 獨逸人으로만 構成되었다. 이처럼 二重的이며 不安한 位置에 있던 두 公國은 1848年 2月 全 유럽에서 일어났던 革命을 틈탄 덴마크 王國 프레데리크 7歲 에 依해 덴마크로의 完全한 倂合의 危機를 맞이한다. 프로이센의 支援 下에 量 公國은 倂合에 抵抗하였고 1852年 5月 맺어진 런던 條約으로 紛爭은 一段落되는 듯했다. 허나 1852年 11月 프레데리크 7歲 가 死亡하고 卽位한 크리스티안 9歲 는 다시 한番 量 公國의 合倂을 推進하였다.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 兩國은 이에 公國들의 問題는 自身들이 合意下에 處理할 豫定이니 덴마크에 合倂을 撤回하라는 最後通牒을 보냈으나, 덴마크가 拒絶하며 1864年 2月 1日 덴마크와의 戰爭이 勃發하였다.

英國과 프랑스가 合意에 나섰지만, 덴마크가 公國의 分割에 끝까지 反對하여 協商은 失敗하였고, 結局 10月 빈 條約이 締結되어 두 公國은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 넘겨졌다. 以後 街슈타인 協定 에 따라 슐레스비히 公國 은 프로이센이, 홀슈타인 公國 은 오스트리아가 차지하게 된다. 또한 홀슈타인 南部의 라右엔부르크 公國은 프로이센령이 되었다. 이로 인하여 프로이센의 월경지가 오스트리아 內部에 存在하게 되는 問題가 생겨났으며 프로이센이 主導하는 북독일에 限定한 獨逸 統一에도 오스트리아가 걸림돌이 되어버렸다.

結局 북독일만의 統一에서도 오스트리아가 妨害物로 作用하자 프로이센-오스트리아 戰爭 이 일어나게 되었고,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 帝國을 7週만에 壓倒하여 戰爭을 빠른 時日 內로 終結시켰다. 프로이센은 戰爭의 勝利로 하노버 王國 , 헤센 선제후국 , 슐레스비히 公國 , 홀슈타인 公國, 프랑크푸르트 自由詩 를 合倂하였으며 합스부르크가 는 이 戰爭에서의 敗北로 獨逸 聯邦의 盟主 자리를 프로이센 王國 에게 넘겨주게 된다. 또한 이탈리아에게는 롬바르디아-베네치아 王國 을 割讓하였다. 오스트리아 帝國 獨逸語圈 에서의 主導的 位置를 프로이센 王國 이 차지하는 것을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連이은 領土 및 影響力 喪失과 더불어 帝國 內에서 오스트리아는 自身들이 帝國 內에서 發揮하던 影響力과 權威의 墜落을 經驗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時代的 背景 下에 大妥協이 締結되었다.

앞서 言及하였던 時代的 背景 外에도 합스부르크가 의 統治로 因한 헝가리人들의 不滿, 그리고 오스트리아 帝國 內에서의 國民主義者 民族主義者 의 得勢가 大妥協의 締結 原因으로 꼽힌다. 이 中 헝가리人들의 합스부르크 家門의 統治에 對한 不滿은 漸次的으로 高調되어 1848年에서 1849年까지 展開된 헝가리 革命 으로 暴發하였고 오스트리아 當局은 이를 武力으로 彈壓하였다. 헝가리 革命은 오스트리아 當局의 鎭壓으로 無爲로 돌아갔으나, 오스트리아 當局으로 하여금 헝가리人들에 對한 統治 方式 變化의 必要性을 切感하게 만들었다. 합스부르크가 는 더 以上의 强勁策으로는 帝國의 維持가 不可能하다고 判斷, 帝國 內에서 오스트리아人 다음으로 그 數가 많았던 헝가리人들과의 大妥協 으로 오스트리아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 君主國 으로 再編되었으며, 헝가리 王國은 1848年 헝가리 革命 以後 잃어버렸던 自治權을 되찾아올 수 있었다.

1850年代 後半, 헝가리 革命을 支持하였던 많은 數의 헝가리人들은 합스부르크가의 支配를 받아들이는 代身 1713年 局社原則 下에서 헝가리 王國 이 完全한 自治權을 가지고 있는 한 外交와 國防의 業務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兩國이 共同으로 遂行해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쾨니히그레츠 戰鬪 에서 大敗한 以後, 오스트리아 帝國 政府는 헝가리와 帝國의 統治를 兩分해야 한다는 事實을 諦念하고 받아들였다. 새롭게 就任한 外務部 長官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폰 보이스트는 膠着狀態에 빠져버린 헝가리人들과의 協商을 終結하고자 하였다. 帝國을 保護하기 위하여 프란츠 요제프 1歲 皇帝는 데惡 페렌츠가 이끄는 헝가리人 貴族들과의 協商에 들어갔다. 1867年 3月 20日 , 헝가리 革命으로 閉鎖되었다가 페스트 에 다시 設立된 헝기리 議會는 帝國을 再編하기 위한 새로운 立法案을 3月 30日 까지 통과시키기 위하여 議論에 着手하였다. 그러나 論議는 길어졌고, 論議 途中에 헝가리의 指導者들은 6月 8日 에 帝國 再編을 위한 새로운 立法案이 헝가리 議會에서 通過되기 위해서는 오스트리아의 皇帝가 性 이슈트半 王冠令 (헝가리)의 國王으로써 卽位해야 한다고 通報받있다. 이에 7月 28日 , 프란츠 요제프 1歲 皇帝는 헝가리의 國王으로 卽位하였고 同時에 公式的으로 이中帝國을 탄생시킬 새로운 法律을 承認하고 公表하였다.

國名 [ 編輯 ]

이 나라의 名稱은 짧게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君主國 ( 獨逸語 : Osterreichisch-Ungarische Monarchie 외스터라이히쉬-웅가리쉬 모나르히 [ * ] , 헝가리語 : Osztrak?Magyar Monarchia 오스트라크-머저르 某너르히어 [ * ] )이었고, 正式的인 名稱은 帝國會議에 대표된 王國들과 領土 및 神聖 헝가리의 性 이슈트半 王冠令 ( 獨逸語 : 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onigreiche und Lander und die Lander der heiligen ungarischen Stephanskrone 디 임 라이히스라트 페어트레테넨 쾨니크라이헤 운트 렌더 운트 디 렌더 데어 하일리겐 웅가리셴 슈테판스크로네 [ * ] , 헝가리語 : A birodalmi tanacsban kepviselt kiralysagok es orszagok es a magyar szent korona orszagai )이었다. 國際的으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가장 많이 通用되었다. 오스트리아人들은 k. u. k라는 이름 亦是 많이 使用하였는데, 이는 帝國이자 王國이라는 뜻이다. ( 獨逸語 : Kaiserlich und Koniglich 카이저이히 운트 쾨니그리히 [ * ] )

다음은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通用되었던 言語들로 帝國의 名稱을 表記한 目錄이다.

救助 [ 編輯 ]

1905年 撮影된 프란츠 요제프 1歲 皇帝의 모습

1867年의 大妥協이 맺어짐으로써 합스부르크 君主國 오스트리아 帝國 ("帝國 議會에 대표된 領土들", 시스라이타니아 )과 헝가리 王國 (" 性 이슈트半 王冠令 ", 트란스라이타니아 ) 兩國間의 聯邦國으로 變貌하였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同一한 君主를 各各 오스트리아 帝國 의 皇帝인 同時에 헝가리 王國의 國王으로써 섬겼다. 國際的인 外交와 國防에 關한 事務는 兩國間의 協議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兩國은 關稅 同盟 을 맺었다.

시스라이타니아 內에 存在하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王國 트란스라이타니아 內에 存在하던 크로아티아 와 같은 地域들은 自治 地球 로써 地域民들에 依한 自律的 統治가 可能하였고, 個別的이며 獨特한 政府 形態를 가지고 있었다. ( 갈리치아-로도메리아 王國 文書와, 크로아티아-헝가리 妥協 文書 參照.)

오스트리아 帝國와 헝가리 王國間의 그 差異가 甚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兩國에서 共通으로 使用할 수 있는 市民權은 없었다. 卽, 오스트리아-헝가리의 國民들은 오스트리아 市民權者이거나 헝가리 市民權者였다. 오스트리아 帝國과 헝가리 王國 은 個別的인 旅券 을 發給하였고, 市民權의 境遇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共通 與圈 亦是 없었다. 덧붙여,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王國에서는 오스트리아 帝國의 與圈도 헝가리 王國의 與圈도 使用되지 않았다. 代身, 오스트리아-헝가리는 크로아티아어 프랑스語 로 作成된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王國의 自體的인 旅券을 發給했고, 與圈에는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王國과 달마티아 王國 國葬 이 그려져 있었다.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王國은 앞서 言及했듯이 自律的 統治가 可能하였고 이에 말미암아 王國은 歸化와 市民權에 關한 行政的 自治權 을 가지고 있었다.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兩國이 共同으로 管掌하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共同통치령 에서 어떤 旅券을 使用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헝가리 王國은 1804年 오스트리아 帝國 이 誕生한 以後에도 恒常 別途의 議會를 維持했다. 헝가리 王國의 行政府와 政府는 1848年 헝가리 革命 前까지 大部分 오스트리아 帝國 의 政府 構造에 影響을 받지 않았다. 卽 오스트리아와는 完全히 別個의 形態를 가진 政府 構造를 形成하였다. 헝가리의 統治는 프레스부르크 에 있었고 以後 부다페스트 로 이동한 헝가리 中位委員會와 에 있는 헝가리 王立 議會 再上部에 依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헝가리 政府와 헝가리 議會는 1848年 헝가리 革命 以後 閉鎖되었고, 1867年 大妥協 以後에 回復되었다.

오스트리아 帝國과 헝가리 王國이 共通의 通話 를 使用했음에도 不拘하고, 오스트리아 帝國과 헝가리 王國은 國家 財政을 各自 獨立的으로 運用하였다. 1527年 오스트리아와의 同君聯合 이 始作된 以後로도 헝가리 王國의 政府는 繼續 오스트리아의 政府와는 分離되었고 그 結果 財政的 獨立性과 自律性을 保存할 수 있었다. 그러나 1848年 헝가리 革命 以後, 헝가리 政府의 豫算은 오스트리아 政府의 豫算과 統合되어 運用되었고, 1867年 의 大妥協 以後에 이르러서야 헝가리 政府는 以前과 같이 獨立的인 豫算을 確保할 수 있었다. 1527年 부터 1851年 까지 헝가리 王國은 합스부르크 君主國 의 다른 地域과는 다르게 獨自的인 稅關을 運用·統制하였다. 1867年 以後에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는 關稅 協定을 맺었고, 每 10年마다의 週期的인 再協商을 통하여 이 協定은 持續되었다. 外交的 側面에서, 오스트리아 帝國과 헝가리 王國은 서로 獨立的으로 外國과의 通商條約을 締結했다.

은 이中帝國의 事實上의 首都였다. 시스라이타니아에서 全體 人口의 約 57%을 차지하였고 트란스라이타니아에 비해 經濟 資源의 比重이 더 컸다.

政府 [ 編輯 ]

오스트리아 헝가리 帝國의 政府는 크게 3部로 나눌 수 있다: [17]

  1. 共同의 外交部, 國防部, 共同 政策 實行과 陸?海軍 豫算을 擔當하였던 合同 金融 政策部
  2. 오스트리아 (시스라이타니아) 政府 (帝國 會議에 대표된 領土들)
  3. 헝가리 (트란스라이타니아) 政府 (性 이슈트半 王冠令)

共同 政府 [ 編輯 ]

閣僚委員會 ( 獨逸語 : Ministerrat fur Gemeinsame Angelegenheiten 미니슈테라트 퓔 게魔人者메 앙겔레겐下이텐 [ * ] )가 이끄는 共同 政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陸軍 오스트리아-헝가리 海軍 의 統帥權을 가졌으며, 外交 政策과 關稅 同盟에 對한 權限도 있었다. 共同 政府는 3個의 帝國과 王國(k.u.k) 合同 部處로 構成되었다.

  • k.u.k 內務部 및 外交部
  • k.u.k 國防部 및 戰爭部
  • 想起한 두 部處의 財政만을 擔當하는 k.u.k 財務部

想起에 言及한 3個 部處의 長官 外에 헝가리의 總理, 시스라이타니아의 總理 및 各 地域의 對共들 및 오스트리아-헝가리의 皇帝도 閣僚委員會에 包含되었다. 以外에 總參謀長도 主로 參席했다. 閣僚委員會의 會議에는 皇帝가 參席한 때를 除外하고는 大槪 內務部 및 外交部 長官이 議長을 맡았다. 이 閣僚委員會 外에도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議會는 各各 60名의 議員들로 構成된 代表團을 選出했고, 이들은 各各 따로 만나 兩國 政府 共通의 行政 影響力이 있는 閣僚會議의 支出에 對해 투표했다. 그러나 皇帝에게 外交와 軍事 政策의 最終 決定權이 있었기 때문에 長官들은 最終的으로 皇帝를 謁見하여 決定을 내렸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共同 部處와 各國의 部處 間의 重疊되는 業務로 인하여 摩擦과 肥效率性이 招來되었다. 特히 오스트리아-헝가리의 陸軍과 海軍이 部處의 重疊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共同 政府가 全體的인 軍事的 方向과 큰 틀을 決定했지만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政府가 各各 募兵과 普及, 訓鍊을 擔當했다. 各 政府는 共通的인 政府에 對하여 剛한 影響力을 가질 수 있었다. 事實,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兩國은 自國의 利益을 圖謀하기 위하여 共同 政府의 活動을 妨害할 準備가 되어 있었다.

1867年 以後 半世紀 동안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兩國은 共有된 外部 關稅 協定과 共同 財政에 對한 各 政府의 財政 分配에 對한 反復的인 論爭을 일으켰다. 이러한 問題는 1867年 大妥協에 依해 發生하였는데, 大妥協으로 共同 豫算 中 70% 오스트리아에, 30%는 헝가리에게 割當되었고 이렇게 定해진 豫算 分割案은 10年마다 再協商을 통하여 그 分割 比率이 更新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協定을 다시 改正할 때마다 政治的인 混亂이 있었다. 1907年, 헝가리人의 豫算 占有率은 36.4%까지 上昇했다. 結局 이러한 論爭은 長期化된 構造的 危機로 1900年代 初에 絶頂에 達했다. 1900年代 初 헝가리 軍部에서 어떤 言語를 指揮 體系의 言語로 할 것인가에 對한 異見으로 構造的인 危機가 觸發되었고, 1906年 4月 부다페스트에서 헝가리 民族主義 聯政이 執權하게 되면서 問題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共同 協定의 更新은 1907年 10月에 있었고 1917年 11月에 豫定되어 있었으나, 1917年의 協商은 이中帝國이 1次 大戰에서 敗戰하여 解體되면서 일어날 수 없었다.

行政 區域 [ 編輯 ]

오스트리아 帝國이 支配하였던 部分을 시스라이타니아 ( 獨逸語 : Cisleithanien 치스라이타니엔 [ * ] ) 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시스라이타니아 地域의 大部分이 라이타江 ( 獨逸語 : Leitha 라이타 [ * ] , 헝가리語 : Lajta 러이터 [ * ] ) 안쪽(東쪽)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 地域은 오스트리아 本土 外에도 여러 領土로 構成되었는데, 1915年 以前에는 시스라이타니아 地域을 부르는 公式 名稱이 없었으나, 1915年 以後로는 帝國 會議에 대표된 王國들과 領土들 이란 公式 名稱을 使用되었다. 帝國 會議( 獨逸語 : Reichsrat 라이히스라트 [ * ] )는 시스라이타니아의 議會 役割을 하였다.

오스트리아 帝國이 支配하였던 部分 外에 헝가리 王國이 支配하였던 領土를 트란스라이타니아 ( 獨逸語 : Transleithanien 트란스라이타니엔 [ * ] )라고 부르는데 트란스라이타니아度 헝가리 王國 外의 領土들이 많았고 公式的으로는 ‘ 神聖 헝가리의 性 이슈트半 王冠令 ’이라 불렸다. 여기서 性 이슈트半은 헝가리 王國 의 첫 基督敎도 王이자 成人 으로 推戴받은 性 이슈트半 大王 ( 헝가리語 : Szent Istvan kiraly 센트 이슈트半 키라이 [ * ] )을 말한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構成國

行政區域도 및 構成國 目錄 [ 編輯 ]

시스라이타니아의 構成國
番號 國家 수도
1 보헤미아 王國

獨逸語: 뵈멘 王國 (Konigreich Bohmen)

프라하
2 부코비나 公國

獨逸語: 부코비나 公國 (Herzogtum Bukowina)

체르니憂恥
3 케른텐 公國

獨逸語: 케른텐 公國 (Herzogtum Karnten)

클라겐푸르트
4 크라인 公國

獨逸語: 크라인 公國 (Herzogtum Krain)

류블라냐
5 달마티아 王國

獨逸語: 達磨티엔 王國 (Konigreich Dalmatien)

자다르
6 갈리치아-로도메리아 王國

獨逸語: 갈리치엔 운트 路鼗메리엔 王國 (Konigreich Galizien und Lodomerien)

리비우
6-1 크라쿠프 大公國

獨逸語: 크라카우 大公國 (Großherzogtum Krakau)

크라쿠프
7 오스트리아 沿岸 地帶

獨逸語: 外스터라이히 沿岸 地帶 (Osterreichisches Kustenland)

트리에스테
7-1 트리에스테 帝國直轄 都市

獨逸語: 트리에스트 帝國直轄 都市 (Reichsunmittelbare Stadt Triest)

트리에스테
7-2 高리치아-그라디스카 後白菊

獨逸語: 괴르츠 운트 그라디스카 後白菊 (Gefurstete Grafschaft Gorz und Gradisca)

高리치아
7-3 이스트리아 邊境伯國

獨逸語: 이스트리엔 邊境伯國 (Markgrafschaft Istrien)

포레치
8 下오스트리아 大公國

獨逸語: 니더外스터라이히 大公國 (Erzherzogtum Niederosterreich)

9 모라바 邊境伯國

獨逸語: 메렌 邊境伯國 (Markgrafschaft Mahren)

브르노
10 잘츠부르크 公國

獨逸語: 잘츠부르크 公國 (Herzogtum Salzburg)

잘츠부르크
11 喪失레시아-下실레시아 公國

獨逸語: 喪失레시아-下실레시아 公國 (Herzogtum Ober- und Niederschlesien)

오파바
12 슈타이어마르크 公國

獨逸語: 슈타이어마르크 公國 (Herzogtum Steiermark)

그라츠
13 티롤 後白菊

獨逸語: 티롤 後白菊 (Gefurstete Grafschaft Tirol)

인스부르크
14 上오스트리아 大公國

獨逸語: 오버外스터라이히 大公國 (Erzherzogtum Oberosterreich)

린츠
15 포어아를베르크 州

獨逸語: 포어아를베르크 州 (Land Vorarlberg)

브레겐츠
트란스라이타니아의 構成國
番號 國家 수도
16 헝가리 王國

헝가리語: 머저르 王國 (Magyar Kiralysag)

부다페스트
17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王國

헝가리語: 호르바트-슬라本 王國 (Horvat-Szlavon Kiralysag)

자그레브
1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共同통치령

獨逸語: 보스니엔 운트 헤르체고비나 共同통치령 (Kondominium Bosnien und Herzegowina)

헝가리語: 보스니아 에스 헤르體고비너이 共同통치령 (Bosznia es Hercegovinai Condominium)

사라예보

歷代 카이저 [18] [ 編輯 ]

1867年 前부터는 오스트리아 帝國때의 카이저

軍事 [ 編輯 ]

오스트리아-헝가리 軍隊는 近代化에 反對하는 테첸 의 工作人 알브레흐트 對共 (1817?1895)의 指揮를 받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의 軍事 體制는 兩國에서 모두 類似했으며, 1868年 以後 市民들의 武器 保有의 普遍的, 個人的 義務의 原則에 따라 이어졌다. 그 軍隊는 오스트리아 란트베어 와 헝가리 魂베드와 같은 特殊 部隊와, 別途의 國家 機關으로 構成된 聯合軍, 그리고 國民軍으로 構成되어 있었다. 前述한 바와 같이, 共通軍은 合同軍事部 長官 直屬이었고, 特殊軍은 各 國防部 直屬이었다. 陸軍의 年間 募集人數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議會가 議決한 軍事 法案에 依해 決定되었고, 全體 人口 調査에 따르면 一般的으로 人口를 基準으로 決定되었다. 1905年에는 103,100名에 達했고, 오스트리아는 59,211名을, 헝가리는 43,889名을 徵兵하였다. 그 外에 오스트리아 란트베어에는 年間 10,000名이, 헝가리 魂베드에는 12,500名이 配置되었다. 服務 期間은 2年(騎兵 3年), 豫備軍이 7年 또는 8年, 란트베어가 2年이었다. 現役 軍隊에 徵集되지 않은 兵士들의 境遇, 같은 期間 동안 다양한 特別 豫備軍에서 服務했다.

共通의 戰爭部 長官은 오스트리아 랜드베어와 헝가리 魂베드를 除外한 모든 軍政의 首班으로서, 두 國家의 國防部에 獻呈되었다. 그러나 軍隊의 最高 指揮權은 名目上 全軍에 對한 모든 措置를 取할 수 있는 權力을 가진 君主에게 주어졌다. 實際로 皇帝의 조카인 알브레흐트 對共은 그의 首席 軍事 拷問이었고 政策 決定을 내렸다.

오스트리아-헝가리 海軍은 主로 海岸 防禦軍이었으며, 다뉴브江의 偵察 小艦隊度 包含되어 있었고, 戰爭部 海軍省에 依해 管理되었다.

徵兵制 를 採擇하여, 男子들은 兵役의 義務를 遂行해야 했다.

第1次 世界 大戰 期間 동안 兵力의 90%가 損失을 입었으며(이 中 大部分이 砲로), 이는 參戰國 中 가장 많은 數値이다. 120萬 名이 戰死하였고, 360萬 名이 負傷을 當했다

文化 [ 編輯 ]

오스트리아는 19世紀까지 神聖 로마 帝國 의 帝位를 獨占하며 오랜 歲月 동안 獨逸語圈 文化의 中心地였으나, 오토 폰 비스마르크 小獨逸主義 에 따라 오스트리아를 排除하고 統一獨逸帝國 을 樹立함에 따라 獨逸語圈 文化의 中心地 자리를 獨逸 帝國에게 내줬다.

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完全히 解體되어 여러 나라로 分裂됨에 따라 帝國의 文化的 遺産 亦是 國境에 따라 흩어지게 되었다. 旣存에 '오스트리아-헝가리 文化'라는 이름으로 묶여 있던 것들이 各國의 獨立된 文化로 分離되어 나갔다.

이러한 理由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文化는 英國, 프랑스, 獨逸 等에 비해 相對的으로 縮小 評價되어 있다. [19]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世紀 當時 유럽의 主要國家(유럽 大陸에서 面積은 2位, 人口는 3位)이자 列强으로서 1867年 ~1918年 存續하면서 수많은 文化的 遺産을 남겼다.

哲學 [ 編輯 ]

이 時期에 活動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出身 思想家 中 가장 代表的인 사람은 지그문트 프로이트 비트겐슈타인 이다. 프로이트는 精神分析學을 創始함으로써, 비트겐슈타인은 論理 哲學을 발전시킴으로써 後代 思想에 큰 影響을 미쳤다. 에드문트 후설 도 오스트리아 出身이며, 신칸트학파에 對抗하여 獨逸-오스트리아 學派를 세운 프란츠 브렌타노 도 오스트리아 사람이다.

經濟學 [ 編輯 ]

오스트리아 學派 를 세운 카를 멩거 , 오이겐 폰 뵘바베르크 , 프리드리히 폰 비저 가 活動했다.

建築學 [ 編輯 ]

建築家 오토 바그너 가 代表的이다. 그는 유럽 近代 建築의 새로운 分野를 開拓하였다.

音樂 [ 編輯 ]

作曲家 구스타프 말러 가 活動하였다.

美術 [ 編輯 ]

'입맞춤' 等이 代表作인 畫家 구스타프 클림트 가 이 나라 出身으로서, 빈 아르누보 運動을 이끌었다.

文學 [ 編輯 ]

프란츠 카프카 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프라하 出身이다.

科學 [ 編輯 ]

오스트리아의 病理學者인 란트슈타이너 에 依해 ABO式 血液型과 Rh因子가 發見되었다. 그는 1930年에 노벨賞을 受賞하게 된다.

民族 [ 編輯 ]

1910年 基準 오스트리아-헝가리의 民族 分布圖.
    獨逸人     마자르人     루마니아人     우크라이나人
    체코人     슬로벤인     슬로바크人     이탈리아人
    폴人       크로아트人 ? 세르브인  
1910年 戶口調査에서 集計된 使用言語 [20]
人口 言語 比重
獨逸語 12.006.521 23,36
헝가리語 10.056.315 19,57
체코語 6.442.133 12,54
폴란드語 4.976.804 9,68
세르보크로아트語 4.380.891 8,52
우크라이나語 3.997.831 7,78
루마니아語 3.224.147 6,27
슬로바키아語 1.967.970 3,83
슬로베니아語 1.255.620 2,44
이탈리아語 768.422 1,50
기타 2.313.569 4,51
51.390.223 100,00
1910年 戶口調査에서 集計된 各 地域別 最大 使用言語 [21]
地域 第1言語 第2言語
뵈멘 王國 체코語 (63,2 %) 獨逸語 (36,8 %)
달마티아 王國 크로아트語 (96,2 %) 이탈리아語 (2,8 %)
갈리치아 王國 폴란드語 (58,6 %) 우크라이나語 (40,2 %)
니더外스터라이히 獨逸語 (95,9 %) 체코語 (3,8 %)
오버外스터라이히 獨逸語 (99,7 %)
부코비나 公國 우크라이나語 (38,4 %) 루마니아語 (34,4 %),
獨逸語 (21,2 %),
폴란드語 (4,6 %)
케른텐 公國 獨逸語 (78,6 %) 슬로베니아語 (21,2 %)
크라인 公國 슬로베니아語 (94,4 %) 獨逸語 (5,4 %)
잘츠부르크 公國 獨逸語 (99,7 %)
슐레지엔 公國 獨逸語 (43,9 %) 폴란드語 (31,7 %),
체코語 (24,3 %)
슈타이어마르크 公國 獨逸語 (70,5 %) 슬로베니아語 (29,4 %)
메렌 邊境伯國 체코語 (71,8 %) 獨逸語 (27,6 %)
티롤 後白菊 獨逸語 (57,3 %) 이탈리아語 (42,1 %)
퀴스텐란트 슬로베니아語 (37,3 %) 이탈리아語 (34,5 %),
크로아트語 (24,4 %),
獨逸語 (2,5 %)
포어아를베르크 獨逸語 (95,4 %) 이탈리아語 (4,4 %)

宗敎 [ 編輯 ]

國校는 로마 가톨릭 이었다. 하지만 改新敎, 東方 正敎會, 유대敎, 이슬람敎 等 多樣하다.

宗敎 全體 오스트리아 帝國 헝가리 王國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로마 가톨릭 76.6% 90.9% 61.8% 22.9%
改新敎 8.9% 2.1% 19.0% 0%
東方正敎會 8.7% 2.3% 14.3% 43.5%
유대敎 4.4% 4.7% 4.9% 0.6%
이슬람敎 1.3% 없음 없음 32.7%

國旗 및 局長 [ 編輯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國旗로는 합스부르크 王家 의 旗를 使用했다. 합스부르크 王家의 氣를 國旗로 使用하기 始作한 것은 18世紀부터이며, 帝國이 解體될 때까지 使用하였다. 海軍旗 는 패턴이 現在의 國旗와 같으나 가운데에 文章이 들어있는 旗를 使用하였다. 公式的인 國旗는 없었으나 通常的으로 합스부르크 王家의 기나,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國旗가 합쳐진 國旗를 使用했다.

國紀 [ 編輯 ]

黃芪 [ 編輯 ]

1915年 移轉 [ 編輯 ]

1915年 以後 [ 編輯 ]

軍紀 [ 編輯 ]

將軍 및 提督의 氣 [ 編輯 ]

將軍의 基 [ 編輯 ]

提督의 氣 [ 編輯 ]

國葬 [ 編輯 ]

1915年 移轉 [ 編輯 ]

1915年 以後 [ 編輯 ]

陸海軍 揮帳 [ 編輯 ]

對外 關係 [ 編輯 ]

對한 關係 [ 編輯 ]

흥선 大院君 이 물러나기 前까지의 朝鮮 은 西洋과의 修交를 强勁하게 拒否하였다. 그러나 1876年에 맺어진 江華島 條約 으로 朝鮮은 西洋 列强들과 修交하게 되었다. 1892年 6月 23日 에는 오스트리아와도 조오修好通商條約 (朝奧修好通商條約)을 맺으면서 兩國間의 正式 外交 關係가 始作되었다.

1897年 朝鮮이 大韓帝國 으로 바뀌면서 민영익 이 州 오스트리아-헝가리 大使로 任命되었으나, 身柄으로 赴任하지 못하고 1900年 6月 이진범 이 慘事로 赴任하였다.

以後 1905年 乙巳條約 으로 大韓帝國의 外交權을 日本 帝國 에 빼앗겨 兩國間의 關係가 斷絶되었다.

對 獨逸 關係 [ 編輯 ]

프로이센 과는 같은 民族이지만 競爭 關係였다. 그래서 프로이센과 戰爭을 했지만 지고 말았고, 1914年에 戰爭을 準備하던 獨逸 帝國과 三國 同盟 을 맺으며 關係가 回復됐다.

對 러시아 關係 [ 編輯 ]

러시아 帝國 과의 關係는 良好하여 1848年 헝가리 革命 이 勃發하자 러시아 帝國에 援軍을 要請하여 헝가리軍을 鎭壓했다. 하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854年 크림 戰爭 에서 러시아의 期待와 달리 非友好的이었으며, 港口를 찾아 발칸 半島로 南下하려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범슬라브주의를 旗幟로 든 러시아 帝國은 漸次 對立하게 된다.

臺 루마니아 關係 [ 編輯 ]

루마니아는 第1次 世界 大戰 中에 聯合國 에 加擔하여 한때 全 國土가 同盟國 에 유린당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聯合國 이 勝利하여 오스트리아로부터 트란실바니아 를 얻어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indivisibiliter와 inseparabiliter는 라틴語 府使(adverb)로 各各 "나눠질 수 없게"와 "떼어낼 수 없게"라는 意味를 가지고 있으며, ac은 라틴語 接續詞로 "~와(and)"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indivisibiliter는 "나누다"라는 뜻의 라틴語 凍死 divido(dividere-divisi-divisum)의 目的分詞型 divisum에서 派生된 單語이며 英語單語 divide(나누다), indivisible(나눌 수 없는) 等의 어원이기도 한다. inseparabiliter는 "分離하다"라는 뜻의 라틴語 凍死 separo(separare-separavi-separatum)에서 派生된 單語로, 英語 單語 separate(分離하다), inseparable(分離할 수 없는) 等의 어원이기도 한다.
  2. 認容 誤謬: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wien-vienna 라는 이름을 가진 註釋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3.   Headlam, James Wycliffe (1911). 〈 Austria-Hungary 〉. Chisholm, Hugh. 《 브리태니커 百科事典 3 11板. 케임브리지 大學校 出版部. 2?39쪽.  
  4. Fisher, Gilman. The Essentials of Geography for School Year 1888?1889 , p. 47 . New England Publishing Company (Boston), 1888. Retrieved 20 August 2014.
  5. 〈Austria-Races〉 . 《Ninth edition - Encyclopædia Britannica III . 118쪽.  
  6. From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1878), [5] although note that this "Romani" refers to the language of those described by the EB as "Gypsies"; the EB ' s "Rumani or Wallachian" refers to what is today known as Romanian; Rusyn and Ukrainian correspond to dialects of what the EB refers to as "Ruthenian"; and Yiddish was the common language of the Austrian Jews , although Hebrew was also known by many.
  7. Geographischer Atlas zur Vaterlandskunde, 1911, Tabelle 3.
  8. McCarthy, Justin (1880). 《A History of Our Own Times, from 1880 to the Diamond Jubilee》 . New York, United States of America: Harper & Brothers, Publishers. 475?476쪽.  
  9. Dallin, David (November 2006). 《The Rise of Russia in Asia》 . ISBN   978-1-4067-2919-1 .  
  10. Schulze, Max-Stephan. Engineering and Economic Growth: The Development of Austria?Hungary's Machine-Building Industry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p. 295. Peter Lang ( Frankfurt ), 1996.
  11. Publishers' Association, Booksellers Association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30). 《The Publisher, Volume 133》. 355쪽.  
  12. Contributors: Austria. Osterreichische konsularische Vertretungsbehorden im Ausland; Austrian Information Service, New York (1965). 《Austrian information》. 17쪽.  
  13. Cieger Andras. Kormany a merlegen ? a mult szazadban (헝가리語)
  14. Minahan, James. Miniature Empires: A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 p. 48 .
  15. "   Jayne, Kingsley Garland (1911). 〈 Bosnia and Herzegovina 〉. Chisholm, Hugh. 《 브리태니커 百科事典 4 11板. 케임브리지 大學校 出版部. 279?286쪽.  
  16. “Imperial Gazette ?1912” . IGGIO Islamische Glaubensgemeinschaft in Osterreich. 2011. 2014年 6月 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6月 4日에 確認함 .  
  17. Kann, A History of the Habsburg Empire: 1526?1918 (1974)
  18. 當時에는 獨逸 帝國이나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는 皇帝 代身 카이저 라는 呼稱을 使用했다.
  19. 오스트리아는 19世紀까지 神聖 로마 帝國의 帝位를 獨占하며~: Wiliam M. Johnston 지음, 《帝國의 終末 知性의 誕生: 합스부르크 帝國의 精神史와 文化史의 再發見》 (原題: The Austrian Mind: An Intellectual and Social History, 1848-1938 ), 글항아리, 2008, ISBN   978-89-546-0531-1 6쪽
  20. Geographischer Atlas zur Vaterlandskunde an den osterreichischen Mittelschulen, bearbeitet von Prof. Dr. Rudolf Rothaug, Kartographische Anstalt G. Freytag und Bendt, Wien 1911, Tabelle 2.
  21. Geographischer Atlas zur Vaterlandskunde, 1911, Tabelle 5.
內容主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