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너구리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너구리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너구리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哺乳岡
목: 食肉目
과: 個科
속: 너구리속
種: 너구리
學名
Nyctereutes procyonoides
( Gray , 1834) [1] [2]
香名
너구리의 分布

土着種(靑色), 導入種(赤色)
保全狀態


最小關心(LC): 絶滅威脅 條件 滿足하지 않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5]

너구리 ( 學名 Nyctereutes procyonoides 니크테레우테스 프로키오노이데스 [ * ] )는 東아시아 에 自生하는 個科 너구리속 에 屬하는 哺乳動物 이다. 너구리속 의 動物 中 現在까지 生存하고 있는 두 種中 한種이며, 가장 가까운 動物은 日本너구리 다. 아메리카너구리 (라쿤)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系統的으로는 서로 멀다.

西洋에서는 潛在的으로 危險한 侵入種 으로 여겨진다. [6]

이름 [ 編輯 ]

‘너구리’의 옛 形態가 記錄된 가장 오래된 文獻은 訓民正音解例 (1446)로 用字例에 ‘러ㅇㅜㄹ’이 記錄되어 있다. 이 ‘러ㅇㅜㄹ’의 語源은 알기 어렵다. 그 以後 《 訓蒙字會 》(1527)에 ‘너ㅇ우리’(訓蒙字會 上:18), 《 新增類合 》(1576)에 ‘너구리’(新增類合 上:13)가 登場한다. ‘너ㅇ우리’는 15世紀에 보이는 ‘러ㅇㅜㄹ’에 接尾辭 ‘-李’가 結合된 語形으로 推定된다. 그리고 ‘너구리’는 ‘너ㅇ우리’에서 母音間 子音 ‘ㆁ’의 ‘ㄱ’으로의 變化, 卽 鼻子音(鼻子音, 콧소리)의 九紫淫畫(口子音化, 입소리되기)를 겪은 語形으로 看做된다. 16世紀의 ‘너구리’는 18世紀에는 母音이 달라진 ‘너고리’(同文類解 下:39)로도 暫時 나타난다. 그러나 近代國語 以後의 一般的인 語形은 ‘너구리’였다. 19世紀 末의 <國漢會語 59>(1895), 20世紀 初의 <朝鮮語辭典163>(1920) 等에도 ‘너구리’가 標題語로 登場한다. 結局 現代國語의 ‘너구리’는 ‘러ㅇㅜㄹ>너ㅇ우리>너구리’의 過程을 거쳐 왔음을 알 수 있다.

英語의 너구리 이름 라쿤毒(raccoon dog)은 "라쿤個"라는 뜻으로, 北美 地域에 棲息하는 라쿤 과 겉보기에 비슷해서 붙은 이름이지만 라쿤과 너구리는 遺傳的으로 別로 가깝지 않다. 亦是 너구리가 自生하지 않고 最近에 外來種으로 들어간 스웨덴 에서는 모르드勳드(mardhund)라 하는데 " 담비 個"라는 뜻이다. [6]

學名 "니크테레우테스 프로키오노이데스"는 "밤에(누크트) 돌아다니는(에레우테스) 라쿤( 프로키온 ) 비슷한 것(오이데스)"이라는 뜻이다.

생김새 [ 編輯 ]

너구리의 頭蓋骨 .

너구리 頭蓋骨은 南美 地域의 女優類, 特히 게잡이女優 를 닮았다. 하지만 遺傳學的 硏究 結果 서로 큰 關聯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7] 너구리 頭蓋骨은 작지만 다부지고 若干 길쭉하다. 입은 좁다. 突起가 잘 發達했으며,

雜食性인 탓인지 너구리는 個課動物 치고 犬齒 가 작은 便이며 열六치 도 弱하다. 구치 는 平平하고 창자 가 다른 개科에 비해 1.5-2倍 길다. 몸통은 길고 다리는 짧다. 伸張은 45-71 cm다. 꼬리는 12-18 cm로, 腎臟의 3分의 1 以下에 不過해 짧아서 重足根骨 關節 位까지만 내려오고 땅에 끌리지 않는다. 귀도 작으며 털가죽 사이로 살짝만 튀어나와 있다.

體重은 季節에 따라 달라진다. 3月에는 3 kg 程度다. 8月에서 9月 初에 걸쳐서는 수컷 體重이 平均 6.5-7 kg으로 불어나고 間或 最大 9-10 kg에 達하는 個體도 나온다. [4] 日本과 러시아에서 硏究된 個體들이 中國에서 硏究된 것보다 平均的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8]

겨울털은 길고 두텁다. 속털이 빽빽하게 나고, 성긴 겉털은 길이가 120 mm 程度다. 이 겨울털 德에 너구리는 零下 20-25 °C의 低溫을 견딜 수 있다. 털 色은 흙色 또는 灰褐色이며 겉털은 검다. 꼬리가 몸통보다 어둡다. 등에는 검은 줄무늬가 있는데 어깨 部位에서 무늬가 넓어져서 十字架 같은 模樣을 만든다. 배는 黃褐色이고 가슴은 暗褐色 또는 검은色이다. 주둥이는 짧은 털로 덮여 있고, 눈 쪽으로 갈수록 얼굴털이 길어진다. 뺨에는 긴 동모 가 있다. 여름털이 겨울털보다 밝으며 붉은끼 도는 淡黃色을 띤다. [4]

日本과 [9] 中國에서는 [10] 드물게 흰 털이 發見되기도 한다

生態 [ 編輯 ]

攝食 [ 編輯 ]

너구리는 雜食性 으로, 昆蟲 , 齧齒類 , 兩棲類 , 鳥類 , 魚類 , 爬蟲類 , 軟體動物 , 膚肉 , 植物 가리지 않고 먹는다. [11] [12] [13] 齧齒類의 境遇 늪地帶에서는 물밭쥐 , 아스트라한 같은 平地에서는 저빌 이 주된 먹이가 된다. 兩棲類 中에서는 개구리 를 가장 잘 먹으며, 步로네시 에서는 무당개구리 , 우크라이나 에서는 쟁기發개구리 를 먹는다는 報告가 있다. 너구리는 엄청난 量의 唾液 을 分泌하여 두꺼비 毒을 稀釋시켜 두꺼비도 잡아먹는다. [14] 鳥類의 境遇 기러기 참새目 연작류를 노린다. 侵入種으로 들어간 西洋에서는 기러기를 가장 흔하게 사냥한다고 하며, 우수리강 流域에서는 을 主로 사냥한다.

魚類의 境遇 物價로 떠밀려 온 것을 주워 먹거나 작게 고여 있는 물에 갇힌 물고기를 사냥한다. 産卵期에는 거의 물고기를 잡지 않으며, 봄 解凍期에 主로 물고기를 잡는다. 南쪽 棲息地에서는 어린 땅거북과 그 알을 먹기도 한다. 땃쥐 , 고슴도치 같은 小型 蟲食性 哺乳類도 사냥감이며, 두더지類도 드물지만 사냥한다. 우수리강 流域에서는 두더지 가 주된 먹이다. 植物性 먹이는 알뿌리 , 땅속줄기 , 귀리 , 序曲 , 옥수수 , 堅果 , 長과 , 葡萄 , 멜론 , 수박 , 호박 , 토마토 等 너무 많아서 헤아릴 수도 없다. [4] 日本에서는 발톱을 使用해 [15] 나무를 타고 올라가 열매를 따먹는다는 觀測事例가 있다. [7] [16]

너구리는 季節에 따라 食性을 바꾼다. 늦가을과 겨울에는 主로 齧齒類, 膚肉, 糞便 같은 것을 主로 먹고 봄에는 과일, 昆蟲, 兩棲類를 主로 먹는다. 여름에는 齧齒類는 덜 먹고 새와 과일, 穀類, 菜蔬를 主로 먹는다. [4]

天敵과 競爭 [ 編輯 ]

너구리의 가장 큰 天敵은 늑대 다. 늑대는 봄과 여름에 많은 數의 너구리를 죽이며, 가을에도 죽였다는 報告가 있다. 타타르스탄 에서는 너구리의 死亡原因 中 늑대에게 잡아먹힌 것이 55.6%를 차지하며, 러시아 西北部에서는 64%까지 올라간다. 승냥이 도 가끔씩 너구리를 잡아먹는다. 또 붉은여우 와는 크기가 비슷해서 둘이 피튀기게 싸움을 하고 오소리 의 굴을 빼앗아 쓰기도 한다.

또 너구리를 사냥하는 猛禽類 로는 검독수리 , 흰꼬리수리 , 보라매 , 수리부엉이 等이 있다. [4]

行動 [ 編輯 ]

生殖 [ 編輯 ]

交尾期는 地域에 따라 2月 初에서 4月 末 사이에 始作한다. 너구리는 單婚 性 動物로, 大槪 가을에 짝을 이룬다. 다만 飼育 狀態의 수컷이 한番에 네다섯 마리의 암컷과 交尾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수컷들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다투지만 이 싸움으로 致命傷을 입는 일은 없다. [4] 흘레는 밤 또는 새벽녁에 이루어지며 6-9分이 걸린다. [17] 發情期 는 짧게는 數 時間, 길게는 6日間 持續된다. 암컷은 20-24日마다 發情期에 들며, 妊娠 中에도 發情한다.

妊娠은 61-70日間 持續되며 4月-5月에 새끼를 낳는다. 한 배에 普通 6-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한 배에 15-16마리를 낳은 例外的인 事例도 있다. 慶山보다 楚山에서 새끼를 적게 낳는 傾向이 있다. 새끼를 기르는 데 수컷도 能動的으로 參與한다. [4] 수컷의 役割이 매우 重要해 보이는데, 1928年 妊娠한 암컷들만 輸入했을 때는 매우 制限的인 成功만 거두었지만 1929年부터 암수 한 雙을 輸入해온 結果 現在 유럽의 너구리 個體群이 形成된 것이 이를 傍證한다. [18]

너구리의 새끼.

태어난 새끼는 體重이 60-110 g이며 눈을 뜰 수 없다. 짧고 빽빽한 부드러운 검은 솜털로 덮여 있으며 겉털은 없다. 生後 9-10日째에 눈을 뜨고 14-16一次에 이빨이 난다. 겉털은 生後 10日 以後부터 어깨와 엉덩이에서부터 난다. 生後 2週가 지나면 色이 옅어지고 눈 周圍만 검게 남는다. 45-60日間 어미의 젖이 分泌되지만, 生後 3週-1個月 때부터 새끼는 먹이를 가져다 주면 먹기 始作한다. 새끼는 生後 4.5個月이 되면 다 자라고 8月에서 9月 사이에 父母에게서 獨立하여 父母가 그런 것처럼 새로운 雙을 이룬다. 性的으로 成熟하는 것은 生後 8-10個月 부터다. 壽命은 明確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野生에서 6-7살 個體가 發見된 바 있으며, 飼育 狀態에서 11年까지 山 個體가 있다. [4]

동면 [ 編輯 ]

너구리는 個課動物 中 唯一하게 동면 을 한다. 初겨울에 너구리의 皮下脂肪은 18-23%, 內臟脂肪은 3-5% 늘어난다. 이만큼 살을 찌우지 못한 個體는 大槪 겨울을 살아남지 못한다. 冬眠 中에 新陳代謝는 25% 減少한다. 沿海州 나 유럽에서는 늘 冬眠하는 것이 아니라 눈보라가 酷毒할 때만 選擇的으로 冬眠한다. 12月이 되어 눈이 15?20 cm 程度 쌓이면 너구리의 行動 半徑은 굴을 中心으로 半徑 150-200 m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다 2月부터 암컷이 交尾를 받아들일 수 있고 또 먹이가 豐富해지면서 다시 活動性이 올라간다. [4]

發聲 [ 編輯 ]

여우와 마찬가지로 너구리는 짖지 않으며, 길게 끌리는 구슬프게 낑낑대는 소리를 낸다. 飼育되는 個體들은 배가 고프면 우는 듯한 소리를 낸다는 報告가 있다. [19] 암컷을 두고 다투는 수컷들은 悲鳴을 지르거나 으르렁大氣도 한다. [4] 日本너구리는 個보다 높은 톤의, 어느 面에선 고양이 와 비슷한 소리를 낸다고 알려져 있다. [7]

亞種 [ 編輯 ]

2005年 基準으로, [20] MSW3 에서는 너구리의 5個 亞種을 認定하고 있다.

亞種 命名者 說明 棲息地 動物耳鳴
中國너구리
(Chinese raccoon dog)
N. p. procyonoides
( 承命亞種 )

Gray , 1834 中國 東部 kalininensis (Sorokin, 1958)
sinensis (Brass, 1904)
stegmanni (Matschie, 1907)
韓國너구리
(Korean raccoon dog)
N. p. koreensis

Mori , 1922 韓半島
雲南너구리
(Yunnan raccoon dog)
N. p. orestes
Thomas , 1923 中國 東南部, 베트남 北部
우수리너구리
(Ussuri raccoon dog)
N. p. ussuriensis

Matschie , 1907 承命亞種에 비해 크기가 크고 털이 길고 稠密하다. [4] 蘇聯 西部에 導入된 뒤 유럽 全域으로 퍼졌다. 러시아, 中國 北部, 韓半島, 유럽 amurensis (Matschie, 1907)
日本너구리
(Japanese raccoon dog)
N. p. viverrinus

Beard, 1904 頭蓋骨과 이빨이 우수리너구리에 비해 작다. [7] 너구리 中 毛皮가 가장 부드럽다. [21]

學界에서 染色體 , 行動, 體重의 差異 때문에 日本너구리를 다른 너구리 아종들과는 別個의 種으로 區分해야 하지 않느냐는 意見이 있다. [22] 遺傳的으로도 日本너구리는 固有한 mtDNA 序列과 8個의 로버트슨 典座 를 가진 別個 種으로 確認되었다. 2001年 9月 國際自然保全聯盟 의 個課動物 生物學 및 保存 會談에서는 日本너구리를 別個의 種으로 分類하는 것을 棄却시켰지만, 如前히 게놈 을 根據로 한 論爭은 進行 中이다. [23]

Japan albus (Hornaday, 1904)

棲息地 擴張과 西洋 侵入 [ 編輯 ]

잠든 너구리.

1928年에서 1958年까지 1萬 마리의 우수리너구리가 蘇聯 의 76個 行政區域에 導入되었다. 毛皮 産業을 振興하기 위해서였다. 처음으로 導入된 곳은 러시아 極東 地域의 沿海州 였는데, 東海 의 섬들을 통해서 들어왔다. 1934年까지 너구리는 알타이 , 캅카스 北部, 아르메니아 , 키르기스 , 타타르스탄 , 트베르 , 펜자 , 오렌부르크 에까지 導入되었다. 이듬해에는 레닌그라드스키 , 무르만스크 , 노보시비르스크 , 바시코르토스탄 까지 導入되었다.

이르쿠츠크 , 노보시비르스크, 者바이칼스키 , 알타이에 導入된 너구리들은 酷毒한 추위와 不足한 먹이 때문에 잘 되지 못했다. 또한 캅카스와 中央아시아, 몰도바 地域의 山岳地域에도 너구리들은 適應하지 못했다. 그러나 발트 3國 과 유럽러시아(特히 트베르 , 노브고로드 , 프스코프 , 스몰렌스크 一帶), 중앙러시아( 모스크바 , 야로슬라블 , 볼로그다 , 니즈니노브고로드 , 블라디미르 , 리아잔 等), 黑土 地帶( 보로네즈 , 탐보프 , 쿠르스크 ), 볼가江 下流, 그리고 북캅카스와 다게스탄 의 平坦한 地域들에서는 成功的으로 定着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폴타바 , 케르손 , 루한스크 一帶에 큰 數의 너구리 個體群이 만들어졌다. [4]

1948年, 35마리의 너구리가 라트비아 에 導入되었다. 그 뒤 個體數가 빠르게 불어나 1960年 라트비아에서 公式 推算하기로 4,210 마리의 너구리가 사냥되었다. [24]

이제 너구리는 에스토니아 , 핀란드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全域에 널려 있으며, 멀리는 불가리아 , [25] 세르비아 , 프랑스 , 폴란드 , 체코 , [26] 벨라루스 , 루마니아 , 몰도바 , 헝가리 , 벨기에 , [27] 네덜란드 , [28] 룩셈부르크 , 이탈리아 , [7] 스위스 , [29] 獨逸 , [30] 노르웨이 , 덴마크 , 스웨덴 에서도 發見되었다. [6]

덴마크에서는 2015年까지 너구리 繁殖 제로를 目標로 삼고 있다. [31] 하지만 2018年 들어 너구리는 윌欄半島 에 完全히 눌러앉았고, 앞으로의 防除는 발트海 의 덴마크領 섬들로 퍼지는 것을 막는 데 注力하기로 했다. [32]

疾病 [ 編輯 ]

너구리는 32種의 寄生蟲 의 宿主다. 흡충 이 8種, 船蟲 이 17種, 寸蟲 이 7種 等이다. 身體 外部의 吸血寄生蟲도 벼룩 Chaetopsylla trichosa , C. globiceps , Paraceras melis , Ctenocephalides felis , C. canis , Pulex irritans , 진드기가 Dermacentor pictus , Ixodes ricinus , I. persulcatus , I. crenulatus , and Acarus siro 等이 있다. [4] 너구리가 유럽으로 流入되면서 너구리에 寄生하는 진드기들이 퍼뜨리는 진드기媒介腦炎 바이러스도 함께 들어왔다. [33]

볼가江 下流, 보로네즈 , 리투아니아 에서는 너구리가 狂犬病 을 옮긴 事例가 있으며, 우크라이나 타타르스탄 에서는 바베시아熱源忠症 이 너구리들 사이에 大規模 發病하기도 했다. 북캅카스의 너구리들에게서는 個紅疫 이 發見되었다. 蘇聯 國有農場에서 飼育되던 너구리들이 앓은 것으로 記錄된 疾病으로는 파라티푸스 , 炭疽 , 結核 等이 있었다. 흡윤개선 도 걸릴 수 있지만, 여우에서 그렇듯이 生命에 큰 支障은 주지 않는다. [4]

너구리는 흰코사향고양이 와 함께 重症急性呼吸器症候群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의 自然 宿主 로 疑心되었다. 하지만 遺傳子 分析 結果 박쥐 가 有力한 宿主로 밝혀졌다. [34] SARS 流行에 있어 너구리는 中間宿主였거나 偶然히 感染된 個體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35]

人間과의 關係 [ 編輯 ]

너구리는 適應을 잘하여 都市에 나타나기도 한다.

系統分類 [ 編輯 ]

다음은 個課의 系統 分類이다. [36] [37] [38]

個科
灰色여우속

섬女優

灰色女優

큰귀여우

너구리

여우속

검은꼬리모래여우

케이프女優

페넥여우

아프간女優

스위프트女優

키트女優

北極여우

붉은여우

흰꼬리모래여우

코사크女優

벵골女優

덤불個

갈기늑대

게잡이女優

작은귀개

포클랜드늑대

티베트모래女優

南아메리카여우속

灰白色女優

다윈女優

팜파스女優

南아메리카灰色女優

페루沙漠여우

안데스女優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아프리카들개

승냥이

황금자칼

에티오피아늑대

아프리카黃金늑대

코요테

灰色늑대

(灰色늑대의 亞種)

붉은늑대 (코요테와 灰色늑대의 混種?)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井光子 「イヌ科の分類」『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2 (食肉目)』今泉吉典監修、東京動物園協?、1991年、124-149頁。
  2. 國立生物資源館 . “너구리” . 《韓半島의 生物多樣性》. 大韓民國 環境部 .  
  3. Nyctereutes procyonoides (ASM Mammal Diversity Database #1005961) fetched 13/03/2023. Mammal Diversity Database . 2023. https://www.mammaldiversity.org/explore.html#genus=Nyctereutes&species=procyonoides&id=1005961
  4. Heptner, V.G.; Naumov, N.P., 編輯. (1998). “Sirenia and Carnivora (Sea cows; Wolves, and Bears)”. Mammals of the Soviet Union II . USA: Science Publishers, Inc. Part 1a. ISBN   1-886106-81-9 .  
  5. “Nyctereutes procyonoides” . 《 滅種 危機 種의 IUCN 赤色 目錄 . 2008板》 (英語). 國際自然保全聯盟(IUCN) . 2008 . 2009年 3月 22日에 確認함 .  
  6. Sweden says open season on raccoon dogs . UPI.com (2009-09-04). Retrieved on 2011-01-27.
  7. Kauhala, K.; Saeki, M. (2004). “Raccoon Dog” (PDF) . Canid Species Accounts. Pridobljeno: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19 February 2009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15 April 2009에 確認함 .  
  8. Ward, Oscar C.; Wurstert-Hill, Doris H. “Mammalian Species: Nyctereutes procyonoides (PDF) . Smith.edu. 24 September 2015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9 April 2015에 確認함 .  
  9. “Rare white raccoon dog caught” . 《Japan Times》. 18 October 2013.  
  10. Yan, S.Q.; Bai, C.Y.; Qi, S.M.; Li, M.L.; Si, S.; Li, Y.M.; Sun, J.H. (2015). “Cloning and association analysis of KIT and EDNRB polymorphisms with dominant white coat color in the Chines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procyonoides)”. Genet. Mol. Res. 14 : 6549?6554. doi : 10.4238/2015.June.12.8 . PMID   26125860 .  
  11. Sutor, A., Kauhala, K., & Ansorge, H. (2010). Diet of th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 a canid with an opportunistic foraging strategy. Acta Theriologica , 55(2), 165-176.
  12. Kauhala, K., Kaunisto, M., & Helle, E. (1993). Diet of th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in Finland. Zeitschrift fur saugetierkunde, 58(3), 129-136.
  13. Sasaki, H., & Kawabata, M. (1994). Food habits of th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viverrinus in a mountainous area of Japan. Journal of the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 19(1), 1-8.
  14. Alderton, David. (1998). Foxes, Wolves, and Wild Dogs of the World , p. 119. London: Blandford.
  15. “WAZA : World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 《Waza.org》. 2015年 4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4月 9日에 確認함 .  
  16. Ikeda, Hiroshi (August 1986). “Old, new tricks: Asia's raccoon, a venerable member of the canid family is pushing into new frontiers”. 《Natural History》 95 (8): 40, 44.  
  17. Valtonen, Maija H., E. J. Rajakoski, and J. I. Makela. " Reproductive features in the female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 Journal of Reproduction and Fertility 51.2 (1977): 517-NP.
  18. Alderton, David. Foxes, Wolves, and Wild Dogs of the World. London: Blandford, 1998. p121.
  19. Charles Hamilton Smith & William Jardine (1839). The natural history of dogs : canidae or genus canis of authors ; including also the genera hyaena and proteles (PDF) . Edinburgh: W.H. Lizars . 2015年 4月 9日에 確認함 .  
  20.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食肉目] .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英語) 3板. 존스 홉킨스 大學校 出版社. 532?628쪽. ISBN   978-0-8018-8221-0 . OCLC   62265494 .  
  21. Bachrach, Max. (1953). Fur: a practical treatise , 3rd ed. New York: Prentice-Hall.
  22. Kauhala, Kaarina (1994). “The Raccoon Dog: a successful canid” . Canid News 2 : 37?40. 2008年 6月 2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8月 19日에 確認함 .  
  23. Nie, Wenhui; Jinhuan Wang; Polina Perelman; Alexander S. Graphodatsky; Fengtang Yang (November 2003). “Comparative chromosome painting defines the karyotypic relationships among the domestic dog, Chinese raccoon dog and Japanese raccoon dog” . Comparative chromosome painting defines the karyotypic relationships among the domestic dog, Chinese raccoon dog and Japanese raccoon dog 11 (8): 735?740. doi : 10.1023/B:CHRO.0000005760.03266.29 . 2020年 1月 3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5月 29日에 確認함 .  
  24. Miervaldis Bu?s, J?nis Vanags (1987). 〈Med?bu saimniec?ba〉. 《Latvijas Me?i》. Latvia.  
  25. Doycheva, V.; Angelov, I.; Popivanov, I.; Doychinova, T.; Shalamanov, D. (2015). “Състояние и перспективи за контрола на лайшманиозата (p.10)”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for control of leishmaniasis] (PDF) (불가리아語). Български медицински журнал (Bulgarian medical journal), Issue 9, No. 2. 2018年 11月 1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1月 31日에 確認함 .  
  26. Kenety, Brian (2012年 4月 2日). “Raccoon dogs invade Czech lands” . Lidovky . 2019年 8月 24日에 確認함 .  
  27. “Invasive species in Belgium: Nyctereutes procyonoides” . 《Invasive Alien Species in Belgium - Belgian Biodiversity Platform》. Invasive Alien Species in Belgium. 2019 . 2019年 8月 22日에 確認함 .  
  28. Pieters, Janene (2016年 10月 7日). “Raccoon Dogs Spotted in Netherlands” . NL Times . 2019年 8月 22日에 確認함 .  
  29. F. Zimmermann (2004). “Monitoring der Raubtiere in der Schweiz 2004” (PDF) . 《KORA Bericht》. Coordinated research project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arnivores in Switzerland. 2011年 10月 3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1月 25日에 確認함 .  
  30. Drygala, F.; Stier, N.; Zoller, H.; Boegelsack, K.; Mix, H.M. & Roth, M. (2008). “Habitat use of the raccoon dog ( Nyctereutes procyonoides ) in north-eastern Germany”. Mammalian Biology ? Zeitschrift fur Saugetierkunde 73 (5): 371?378. doi : 10.1016/j.mambio.2007.09.005 .   (Title: sic , per journal website.)
  31. “Marhund (Nyctereutes procyonoides) - Lille rovdyr - stor trussel” [Raccoon dog - Small predator - large threat] (덴마크語). The Danish Nature Agency. 2015年 6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32. “Elskovsyge skadedyr klar til at invadere Fyn” (덴마크語). TV2 Fyn . 2018年 2月 23日 . 2019年 7月 27日에 確認함 .  
  33. [1] [ 깨진 링크 ]
  34. Paules, Catherine I.; Marston, Hillary D.; Fauci, Anthony S. (2020年 1月 23日). “Coronavirus Infections -- More than Just the Common Cold” . JAMA . doi : 10.1001/jama.2020.0757 . 2020年 1月 24日에 確認함 .  
  35. Chan, P.K.; Chan, M.C. (2013年 8月 5日). “Tracing the SARS-coronavirus” . J Thorac Dis . doi : 10.3978/j.issn.2072-1439.2013.06.19 . 2020年 1月 24日에 確認함 .  
  36. Lindblad-Toh, Kerstin; Wade, Claire M; Mikkelsen, Tarjei S.; Karlsson, Elinor K.; Jaffe, David B.; Kamal, Michael; Clamp, Michele; Chang, Jean L.; Kulbokas, Edward J.; Zody, Michael C.; Mauceli, Evan; Xie, Xiaohui; Breen, Matthew; Wayne, Robert K.; Ostrander, Elaine A.; Ponting, Chris P.; Galibert, Francis; Smith, Douglas R.; Dejong, Pieter J.; Kirkness, Ewen; Alvarez, Pablo; Biagi, Tara; Brockman, William; Butler, Jonathan; Chin, Chee-Wye; Cook, April; Cuff, James; Daly, Mark J.; Decaprio, David; 外. (2005).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Nature》 438 (7069): 803 in 803?19. doi : 10.1038/nature04338 . PMID   16341006 .  
  37. Nyakatura, K.; 外. (2012).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 《BMC Biology》 10 (12). doi : 10.1186/1741-7007-10-12 .  
  38. Koepfli, Klaus-Peter; Pollinger, John; Godinho, Raquel; Robinson, Jacqueline; Lea, Amanda; Hendricks, Sarah; Schweizer, Rena M.; Thalmann, Olaf; Silva, Pedro; Fan, Zhenxin; Yurchenko, Andrey A.; Dobrynin, Pavel; Makunin, Alexey; Cahill, James A.; Shapiro, Beth; Alvares, Francisco; Brito, Jose C.; Geffen, Eli; Leonard, Jennifer A.; Helgen, Kristofer M.; Johnson, Warren E.; o'Brien, Stephen J.; Van Valkenburgh, Blaire; Wayne, Robert K. (2015).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Current Biology》 25 (16): 2158?65. doi : 10.1016/j.cub.2015.06.060 . PMID   26234211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