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뮤지엄허브

楊平 뮤지엄허브

周邊遺跡

老産사지[盧山飼地] 京畿道 記念物 第43號

노산사지 사진

老産社는 화서 先生이 태어난 집터이자 先生이 生前에 景慕하던 朱熹와 宋時烈의 位牌와 影幀을 모시던 祠堂 터이기도 하다. 화서 李杭魯 先生이 죽은 後 그의 影幀도 같이 모시고 있다. 100餘 坪에 이르던 祠堂은 韓國戰爭 當時 全燒하였고, 只今 있는 3칸의 작은 祠堂은 1954年 儒林(儒林)들이 이航路의 높은 德行과 學識을 기리기 위하여 前에 老産社가 있던 자리에 세운 것이다. 現在의 老産社는 境內 264㎡ 規模로 祠堂은 正面 3칸, 側面 1칸 半의 맞배지붕이다. 前面에 제월대와 廟庭碑 및 記念碑가 있다.

碧溪講堂[蘗溪講堂] 京畿道 記念物 第43號

벽계강당 사진

碧溪講堂은 李杭魯 先生이 生前에 講堂 建物을 構想하여 그린 設計圖대로 築造한 것으로 1999年에 建立하였다. 規模는 正面 5칸, 側面 3칸이며 長臺石 基壇 위에 잘 다듬은 原形 礎石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恐怖는 匿空系이며 지붕은 寒食기와를 올린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李杭魯 墓

元來의 墓는 生家에서 10里쯤 떨어진 정배리 通情骨 野山에 있었으나, 最近 老山寺(蘆山祠) 뒤 언덕으로 이장하였다. 墓 앞에는 床石과 墓碑, 香爐石, 童子石, 望柱石, 文人石 等의 石物이 配置되어 있다. 墓碑에는 李恒老의 墓로 夫人 高靈 朴氏도 함께 合掌하였음이 明示되어 있고, 碑文에는 李恒老의 行跡과 思想 等이 記錄되어 있다.

제월대[霽月臺]

벽계강당 사진

화서 李杭魯 先生이 56歲(1847) 때 새긴 글로 老産사지 앞 뜰에 位置하고 있다. 높이 30㎝, 너비 72㎝, 두께 35㎝ 規模의 작은 楕圓形 自然 巖石의 앞面에 篆書體(篆書體)로 “霽月臺”라 새겼고, 上部의 平平한 곳에 6列로 “莫遺微雲 點綴練光 極虛極明 以配太陽 丁未夏 華西銘”(조그만 구름이라도 보내어 맑은 빛을 얼룩지우지 말라. 至極히 맑고 至極히 밝으니 太陽과 짝하리라. 정미年 여름에 花序는 記錄한다)의 22字를 楷書體(楷書體)로 새겼다.

石門[石門]

벽계강당 사진

碧溪마을 妙高捧 동북편 속샛마을 앞 개울의 道路邊에 있는 바위絶壁에 새겨져 있는 李杭魯 先生의 親筆이다. 큰 바위를 판판하게 硏磨하여 篆書體(篆書體)로 “石門”이라 陽刻하였다. 各 글字의 크기는 26×36㎝이다.

名옥정[鳴玉亭]

벽계강당 사진

碧溪마을 東쪽에서 溪谷으로 내려가는 小路邊에 90×190㎝ 假量의 直四角形 바위 上部 平平한 곳에 글字마다 12×17㎝의 크기로 “名옥정”이라 화서 李杭魯 先生의 親筆이 陰刻되어 있다. 명옥情이란 ‘玉’을 울린다는 뜻으로 옛 선비들이 허리에 玉을 차고 다니므로 선비들이 모여 노는 바위라는 뜻으로 새긴 듯하다. 앞 市內의 물소리가 玉을 울리는 듯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는 主張도 있다.

分說淡[?雪潭]

벽계강당 사진

碧溪마을 東쪽에 있는 溪谷물 가운데에 位置하고 있는데 좁은 바위틈으로 흐르는 急流가 돌에 부딪쳐 내뿜는 光景이 마치 눈발이 날리는 것과 같아 篆書體(篆書體)로 “分說淡”을 화서 李杭魯 先生이 새겼다.

낙지癌[樂志巖]

名옥정 아래에 벽계천 가운데 있는 큰 바위에 화서 李杭魯 先生이 草書體(草書體)로 새겨놓은 것으로 自然의 참뜻을 즐긴다는 意味를 가진다.

欸乃聲中滿苦心[?乃聲中萬古心]

벽계강당 사진

宋나라 走者(朱子)의 무이구곡視(武夷九曲詩) 中 五穀(五曲)에서 나오는 文章으로 ‘뱃沙工 노래 소리에 萬古의 근심이 가득하네‘라는 뜻이다.

刷취암[鎖聚岩]

벽계강당 사진

글字마다 20×30㎝程度의 크기로 ‘푸른빛을 가둬둔다’는 뜻의 “刷취암”을 楷書體(楷書體)로 새겨놓았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