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受信料 引上 國民 同意 얻으려면[현장에서/정성택]|동아일보

受信料 引上 國民 同意 얻으려면[현장에서/정성택]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2月 2日 03時 00分


코멘트
양승동 KBS 사장이 지난달 27일 이사회에 참석해 수신료 인상안을 설명하고 있다. 뉴스1
梁承東 KBS 社長이 지난달 27日 理事會에 參席해 受信料 引上案을 說明하고 있다. 뉴스1
정성택 문화부 기자
정성택 文化部 記者
受信料 引上을 推進 中인 KBS 內部에서 雜音이 이어지고 있다. 公營放送의 生命이라고 할 수 있는 公正性 問題를 두고 內部 告發이 이어지는가 하면, 職員으로 推定되는 이가 放漫한 人力 運用을 批判하는 國民을 向해 빈정거리는 글을 온라인에 올려 公憤을 사고 있다.

KBS勞動組合은 1日 金某 아나운서가 지난해 10∼12月 KBS1 라디오 週末 午後 2時 뉴스를 進行하면서 前 大統領首席祕書官이 連累됐다는 疑惑이 提起된 라임資産運用 詐欺事件 等 뉴스 20餘 件을 全體 또는 一部 削除하고 報道했다고 主張했다. 앞서 KBS勞組는 金 아나운서가 이용구 法務部 次官 關聯 記事를 任意로 編輯해 報道했다며 그를 檢察에 告發했다. 이에 KBS는 이날 “金 아나운서를 뉴스 等 모든 라디오 프로그램 進行 業務에서 排除하고 金 아나운서 等 關聯者들에 對한 監査를 進行하겠다. 뉴스 編輯 詩 原稿 擔當者와의 協議도 義務事項으로 明文化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31日엔 온라인 匿名 職場人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 “너네가 아무리 뭐라 해도 우리 會社 停年 保障되고 平均 年俸 1億이고 職員 折半은 每年 1億 以上 받고 있다”면서 “제발 밖에서 辱하지 말고 能力 되고 機會 되면 우리 社友님 되세요∼”라는 글이 올라왔다. KBS의 人力과 年俸 構造가 放漫하다는 批判에 對해 비아냥거린 것이다. 블라인드는 所屬 會社의 이메일로 認證을 받아야 하는 構造라 實際 職員이 아니면 該當 글을 쓸 수 없다. 視聽者들의 抗議가 거세지자 KBS는 1日 “KBS 構成員의 常識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內容의 글이 揭示돼 不快感을 드려 유감스럽고 送球하다”고 밝혔다.

KBS는 지난달 27日 受信料를 月 2500원에서 3840원으로 올리는 引上案을 理事會에 上程했다. 코로나19로 景氣 沈滯가 深刻한 狀況에서 受信料 引上은 不適切하다는 輿論이 크다. 더욱이 KBS의 受信料는 블라인드에 글 쓴 이의 表現대로 “電氣料金에 包含돼서 꼬박꼬박 내야 되는” 것이다. 國民들에게 拒否權도 選擇權도 없는 受信料를 引上하려면 最小限 公正性 論難부터 解決해야 한다는 指摘이 많다.

KBS의 經營 改善 努力이 不足하다는 指摘도 빼놓을 수 없다. KBS 職員 4700餘 名의 平均 年俸은 1億 원이 넘는다. 億臺 年俸者 中 無補職自家 1500餘 名이다. KBS는 無補職者도 職責이 없을 뿐이지 現場에서 일하고 있다고 解明한다. 그러나 이들이 年俸에 걸맞은 權限과 責任을 갖고 있는지는 따져볼 일이다.

지난해 KBS는 6700億 원이 넘는 受信料 輸入을 올렸다. 人件費로 나간 돈은 5200億 원 以上이다. 受信料와 거의 맞먹는 水準의 人件費 構造와 끊임없는 公正性 是非를 스스로 克服하지 않는다면 KBS의 受信料 引上 推進은 繼續 國民의 外面을 받을 것이다.

정성택 文化部 記者 neone@donga.com
#受信料 引上 #kbs #블라인드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