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테오토코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테오토코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테오토코스 , 또는 데오토코스 ( 그리스어 : Θεοτ?κο? , 라틴語 : Deipara, Dei genetrix [ * ] )는 예수 그리스도 의 神聖을 卽, 예수는 사람이 된 하느님이라는 그리스도論 을 强調하기 위한 目的으로, 聖母 마리아 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人性(人性)과 함께 神聖(神性)을 지닌 存在로 태어났다는 것을 意味하는 '神聖 出産'을 意味하는 基督敎 의 用語이다. 卽, 敎會에서 深刻한 問題를 일으켰던 初期 基督敎 靈智主義 假現說 네스토리우스 學派를 主張을 神學的으로 對應하기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 가 몸을 입은 人間이었으며, 同時에 神性을 지닌 存在라는 重要한 基督論 의 敎理 用語이다. 東方敎會 에서는 이를 마리아는 三位一體 하느님인 聖者, 예수를 낳은 '하느님인 예수의 어머니'가 된다는 敎理로 말한다.

語源과 飜譯 [ 編輯 ]

테오토코스라는 말은 코이네 그리스어 하느님 을 뜻하는 ‘테오스(Θε??)’와 出産이라는 뜻의 ‘土코스(τ?κο?)’라는 두 個의 單語를 합친 合成語이다. 글字 그대로 解釋하면 ‘하느님 出産’, 卽 '神聖(神性) 出産'이 된다. 紀元後 4世紀 西方敎會의 交付인 라틴交付였던 암브로시오 는 코이네 그리스어인 '테오토코스'를 라틴語로 ‘하느님의 어머니’를 뜻하는 ‘마테르 데이(Mater Dei)’로 飜譯하면서 西方敎會에서는 마리아의 다른 名稱이 되기 始作한다.

大韓民國의 境遇, 여러 基督敎 敎派에서는 大體로 원發音을 따라 '테오토코스'를 쓰거나, 意味를 飜譯하여 改新敎 에서는 神聖 出産 이라고도 하며, 韓國의 聖公會 天主敎會 에서는 라틴語 飜譯을 따라 天主의 母親 (聖母誦)이나 하느님의 어머니 로 飜譯하여 使用한다.

테오토코스의 歷史的 意味 [ 編輯 ]

神聖과 人性을 지닌 하느님으로서 예수 그리스도 [ 編輯 ]

테오토코스는 예수를 마리아가 直接 낳았으며, 그 誕生으로 物質的 人間의 몸과 거룩한 하나님의 靈을 지닌 存在로 태어났다는 意味이다. 이미 基督敎 初期부터 눈에 보였던 거룩한 靈的인 存在로 主張하던 靈智主義 에 對한 反論으로 마리아의 孕胎와 出産을 强調했다.

마리아 가 '神聖 出産'을 했다는 敎理는 初代敎會부터 있었던 두 가지 그리스도論, '높은' 그리스도論과 '낮은' 그리스도論의 對立에서 始作되었다. 救援의 側面에서 人間이었으며 人間을 잘 알고 人間에게 福音을 傳하며 하느님을 보인 者로서 예수를 하느님이 擇하여 養子로 삼아 메시야, 卽 그리스도가 되었다는 人間 側面, 人間에서 하느님이 된 "낮은" 그리스도論과 太初부터 하느님이었으나 人間의 몸으로 하느님의 아들로 派送되어 世上에 왔다는 하느님인 側面, 하느님에서 人間이 된 "높은" 그리스도論은 初代 敎會에 共存하던 그리스도論이었다. 漸次 이 두 그리스도論의 中心은 神聖과 人性이 예수에게 어떻게 나타났느냐라는 質問으로 發展하였고 對立했으나, 敎會는 하느님의 神聖을 强調하는 '높은' 그리스도論을 中心으로 敎理를 形成하였다. '낮은' 그리스도論은 福音을 傳하는 者 中에서 하느님의 選擇만 받게 되면 누구나 그리스도가 될 수 있다는 意味를 지니게 되어 거부되었다. 여기서 예수의 神聖 卽 神的 位格(υπστασι)을 强調하여, 神性을 지닌 채 人間으로 태어난 예수를 마리아가 出産했다는 "테오토코스"의 槪念이 發展했다. 이는 어느 누구도 神性을 지니고 태어나지 못하므로 그리스도는 오직 예수 한 분이라는 神學的 意味를 지닌다. 이 槪念에서 마리아는 絶對로 創造主 하느님 自體를 낳은이라는 意味가 아니다. 마리아에게서 三位一體 하느님의 聖父, 聖子, 聖靈 中 聖者, 卽 하느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가 出産하였다는 意味이다.

神聖 强調로서 테오토코스 [ 編輯 ]

테오토코스 敎義는 예수의 神聖과 人性 中 神聖을 强調하는 것을 主要 骨子로 하고 있다. 하지만 마리아는 예수의 人性만을 낳았기 때문에 '그리스도 出産'이라는 뜻의 ‘크리스토토코스(Χριστοτοκο?)’라는 呼稱을 使用해야 한다고 提唱한 콘스탄티노폴리스 大主敎 네스토리우스 와 테오토코스라는 用語를 固執하면서 예수 안의 神聖과 人性의 結合을 强調한 알렉산드리아 大主敎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間의 論爭이 생겼고, 이 背景에서는 사도 時期부터 이어졌던 '낮은' 그리스도論과 '높은' 그리스도論이 있었다.

結局, 紀元後 431年 召集된 에페소 公議會 에서 '높은' 그리스도論을 正統 敎理로 制定하면서, 네스토리우스의 主張인 '낮은' 그리스도論 影響下의 思想은 누구나 그리스도가 될 수 있다는 餘地를 지닌 危險한 敎義로 區分짓고 異端 으로 宣言되었다. 以後 에페소 神經 에는 마리아가 '神聖 出産'했다는 文句가 揷入되었다. 칼케돈 公議會 에서도 마리아가 '神聖 出産'했다고 告白한 칼케돈 神經 을 통해 다시 한 番 正統 敎理로 確立된다.

이 敎理는 예수가 그리스도로서 人性과 新星의 問題를 결정짓는 敎理로 確定되었고, 예수의 神聖이 絶對的임을 强調하는 敎義로 確立되었다. 5世紀 敎會에서 言及한 "테오토코스"는 聖母 마리아의 重要性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의 하느님 됨을 定義하는 敎義였으며, 예수는 태어날 때부터 肉身과 神性을 지닌 하느님의 아들이었음을 說明하는 敎義였다.

現代의 테오토코스 [ 編輯 ]

現代에 와서도 西方敎會 改新敎會 東方敎會 東方正敎會 등에서는 '테오토코스'는 基督論 用語로, 如前히 예수가 神性을 지닌 하느님의 아들인 唯一한 그리스도임을 强調하는 意味로 使用한다. 하지만 西方敎會人 天主敎會 에서는 聖母 마리아의 意味를 强調하는 敎義로 主로 使用한다. 聖誕 後에 성모마리아 大祝日을 지내는 것은 6世紀頃 東方敎會의 慣習에서 起源하지만, 7世紀부터 西方敎會度 이를 [성모마리아 聖誕]이라는 이름下에 본떴다. 1931年 에페소 公議會 1,500周年을 記念하여 敎皇 비오 11歲 10月 11日 을 天主의 聖母 마리아 大祝日로 定했다가, 第2次 바티칸 公議會의 前例改革으로 다시 1月 1日로 復元되었다. 이에 '테오토코스'가 天主敎會에 어떤 意味의 敎義임을 正確히 알 수 있다.

마리아論으로서 天主敎의 테오토코스 [ 編輯 ]


天主敎
마리아론

마리아론 槪要
마리아론 ? 上敬之禮 ? 마리아論의 歷史 ? 成人들의 마리아론 ? 敎皇들의 마리아론 ? 마리아 團體

聖母 信心
默珠 ? 스카풀라 ? 聖母 聖心 ? 聖母 칠락 ? 聖母 七苦 ? 첫 土曜日 信心

마리아 敎義와 敎理

하느님의 어머니 ? 平生 同情 ? 原罪 없는 孕胎 ? 聖母 昇天 ? 敎會의 어머니 ? 天上의 母后

聖母 信心의 表現
美術 ? 讚美歌 ? 音樂 ? 建築

聖母 發現
과달루페 ? ? 뤼뒤박
라살레트 ? 루르드 ? 퐁猛 ? 노크
바腦 ? 步랭 ? 파티마

마리아 祝日
12月 8日  原罪 없는 孕胎 ? 1月 1日  天主의 聖母 ? 3月 25日  聖母 領報 ? 8月 15日  聖母 昇天

v   ?   d   ?   e   ?   h

테오토코스 敎義에 天主敎는 '神聖 出産'이나 '하느님 出産'으로 오신 분, 卽 예수 그리스도의 神學的 意味보다는 '出産을 했던 女人'에 神學的 關心을 둔다. 勿論 聖母 마리아를 永遠不滅의 觀點에서 하느님의 어머니로서는 認定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리스도人들은 하느님을 모든 存在의 始發點이자 存在의 理由이며, 始作도 없고 끝도 없으며 따라서 아버지나 어머니와 같은 存在도 없다고 믿는다. 하느님에게는 오직 性 三位一體 로서의 各 위(位)만이 있을 뿐이다. 하느님은 世上의 모든 것을 다 만든 創造主로서 다른 모든 存在와는 完全히 別個의 存在로 區分된다. 이는 古代 그리스와 로마의 宗敎와 特히 對照的인 것으로서, 古代 그리스와 로마의 宗敎에서는 한 名의 女神이 수많은 다른 神들을 낳은 것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 多神主의 를 參照하라)

反面에 大部分의 그리스도人들은 聖者는 ‘永遠으로부터’ 聲部에게서 났지만( 三位一體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神經 參照), 또한 聖母 마리아를 통해 태어났다고 믿고 있다. 테오토코스는 三位一體 하느님의 제2위격인 聖者가 聖母 마리아의 協助(童貞女 孕胎)를 통해 本來부터 지니고 있던 神聖(神性)에 더해 人性(人性)을 取함으로써 하느님이자 사람으로 태어나는 것이 可能하게 되었다는 것을 담고 있다.

431年 召集된 에페소 公議會 에서 敎父들은 마리아를 테오토코스(하느님을 낳은 女人)가 아니라 크리스토토코스(그리스도를 낳은 女人)라고 부르는 主張을 斷罪한다고 宣言하였다. 卽 마리아의 아들 예수는 하느님이면서 사람이며, 神聖과 人性을 모두 지닌 하나의 人格體이기 때문에 마리아는 곧 테오토코스라는 것이다. 當時 알렉산드리아 의 大主敎였던 치릴로 는 이에 對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어떤 이들이 거룩하신 童貞女께서 果然 하느님의 어머니라고 불릴 수 있는가 하고 疑心하는 것을 볼 때 나는 매우 놀랐습니다. 우리 主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느님이시라면 왜 그분을 낳아 주신 거룩하신 童貞女를 하느님의 어머니라고 할 수 없겠습니까?” (이집트 搜査들에게 보낸 첫째 書簡 77張 13節) 이와 같은 主張에 따라 가톨릭교회에서는 테오토코스 敎義의 重點을 聖母 마리아가 어떤 位置에 있는 人物인지에 對해서라기보다는 예수 그리스도가 어떤 位置에 있는지에 더 焦點을 맞추고 있다.

한便, 正敎會에서는 救援의 攝理에 있어서 마리아의 테오토코스로서의 正體性과 役割, 位置는 絶對的으로 必要한 것이기 때문에 믿을 敎理로 公式的으로 採擇하여 받아들였다. 테오토코스와 더불어 마리아에 對한 믿을 敎理로 받아들여진 또 다른 가르침은 마리아의 平生 同情性이다. 이와 같은 가르침은 모두 예수 그리스도의 正體性과 깊이 聯關되어 있다. 이와는 對照的으로, 예수의 人性과 直接的인 聯關이 되어 있지 않은 다른 마리아의 敎義(假令 마리아의 誕生 聖殿 奉獻 , 平生 同情 , 聖母 安息 等)에 對해서는 亦是 믿어 疑心치 않으며 따라서 가르치고는 있지만(교회의 前例와 初代 敎會의 敎父들의 著書에 言及됨) 公式的으로 믿을 敎理로 宣布하지는 않고 있다. 또한 洗禮를 받는 前提條件에도 包含시키지 않았다.

初期 基督敎에서의 테오토코스 言及 [ 編輯 ]

西紀 3世紀頃부터 여러 初期 基督敎 時代의 交付 들은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라고 부르기 始作했다.

오리게네스 (254年 죽음)는 種種 聖母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라고 言及한 草創期 著述家 가운데 한 사람으로 言及되는 境遇가 많지만(소크라테스의 敎會史에는 吳레게네스의 로마 信者들에게 보낸 書簡에 對한 註釋이 認容됨), 그 眞僞與否에 對해서는 아직 不確實하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 는 250年頃 사모사他意 바오로 에게 보낸 書簡에서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라고 言及하였다.

330年頃에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 가, 370年頃에는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오 가, 400年頃에는 요한 크리소스토모 히포의 아우구스티노 가 모두 테오토코스라는 用語를 使用하였다. 特히 尼寺의 그레고리오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오 는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라고 부르는 것이 正統 信仰의 基準이 된다고까지 主張했다.

436年頃에는 키루스의 테오道레트 가 聖母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라고 呼稱하였다.

에페소 公議會 [ 編輯 ]

테오토코스라는 用語의 使用이 公式的으로 許諾되어 宣布된 것은 431年 에페소 에서 開催된 第3次 世界 公議會人 에페소 公議會 에서였다. 當時 콘스탄티노폴리스 의 總大主敎 네스토리우스 는 마리아를 크리스토토코스 , 卽 ‘그리스도의 어머니’라고 불러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네스토리우스 는 降生한 그리스도 안에 分離된 두 個의 位格, 卽 神格과 人格이 있다고 생각했다. 또 마리아는 神聖을 낳은 것이 아니라 神聖과 結合된 人間을 낳았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의 神聖과 人性의 模糊함을 避하기 위해 테오土코스 代身 크리스토토코스라는 呼稱을 使用해야 한다고 主張했던 것이다.

이러한 네스토리우스의 主張에 對해 알렉산드리아의 치릴로 總大主敎 를 中心으로 한 反對派는 예수를 마리아의 아들로서 人性을 지닌 存在이면서 또한 하느님이기도 하다는 두 가지 屬性을 지닌 存在로 理解하였다. 그들은 비록 마리아가 그리스도의 인성만 낳기는 하였지만, 그리스도의 人性과 神聖은 決코 떼어놓을 수 없을 程度로 密接히 結合되어 있으며, 따라서 네스토리우스의 主張은 그러한 그리스도라는 하나의 位格 안에 神聖과 人性이라는 두 가지 本性이 完全하게 結合되었는 것을 否認하는 것이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였다. 結局 에페소 公議會에서는 치릴로의 主張을 받아들여 테오토코스라는 呼稱을 마리아에게 公式的으로 使用하기로 最終的으로 決意를 하였으며, 네스토리우스의 主張( 네스토리우스注意 )을 異端 으로 斷罪하였다.

“먼저는 世上에 태어난 사람치고 어느 누구도 童貞女에게서 태어난 사람은 없었는데, 나중에 하느님의 말씀이 그러한 사람으로 태어나게 되었다. 그런데 胎中에서 肉體와 結合되어 肉體의 法則을 따라 誕生된 하느님의 말씀은 肉體에 固有하고 肉體에 屬하는 出産 法則을 要求하고 있다고 말하게 된다. 그래서 交付들이 거룩한 童貞女를 하느님의 어머니라 하기를 躊躇하지 않았던 것이다.” (DS 251)

테오토코스 論爭과 關聯해서 當時 치릴로가 네스토리우스에게 自身의 主張을 說明하는 書簡을 보냈는데, 이는 나중에 에페소 公議會의 文獻에 包含되었다. 그의 書簡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거룩한 敎父들은 거룩하신 童貞女를 테오토코스라 부르기를 躊躇하지 않았다. 勿論 말씀 또는 그분의 神聖의 起源이 거룩하신 童貞女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아니라, 거룩하신 童貞女를 통해 人性을 받아 肉身을 갖고 태어나셨기 때문에 테오토코스라고 부르는 것이다. 理性的으로 말씀 안에서는 神聖과 人性은 서로 깊이 一致되어 있다.” (치릴로가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낸 둘째 書簡)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