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中世 後期의 敎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中世 後期의 敎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中世 後期의 都市 의 出現은 敎育活動 變換의 轉機를 마련하였으며, 中世 大學 出現에 큰 影響을 미쳤다.

中世 後期의 敎育은 10世紀 頃부터 14世紀 京義 르네상스 期까지 西部 유럽 에서 있었던 敎育活動을 意味한다.

暗黑 時代의 終結 [ 編輯 ]

카롤루스 大帝 의 敎育에 對한 業績은 時間이 흐르면서 그 影響力이 弱化되기는 했지만, 11-12世紀의 르네상스 期까지 유럽 世界에서 學術 活動이 持續되게 하는 데는 充分했다. 勿論, 이 時期에도 學問이 衰退해간다는 指摘이 種種 提起되기도 했지만, 그 衰退의 程度는 카롤루스 大帝 以前 時期의 것보다 廣範圍하指導 않았고 深刻하지도 않았다. [1] 中世 電氣와 달리 敎會와 修道院 에서 學問 活動이 活潑히 進行되었고, 學問的 求心點이 여러 곳으로 分散되어 全般的인 學術水準이 維持되어 갔다. 10世紀 들어 오토 1歲 가 카롤루스 大帝의 業績을 再現하려는 政策을 펼치면서, 오토 1世의 동생 브루노(Bruno the Great)의 學問的 熱意에 依해 敎育과 學問의 再全盛期가 到來하였다. [2]

브루노에 對해 當代의 史學者들은 ‘브루노는 오랫동안 忘却되어 있던 7 自由敎科 의 命脈을 復興했다.’라고 쓰고 있다. 高位 官僚이자 學者였던 브루노는 이탈리아 에서 著名한 學者들을 宮廷學校에 招聘하였으며, 여러 文獻을 全國에서 蒐集해 宮廷學校附設圖書館을 整備하였다. 또한 브루노는 全國의 高位 聖職者들에게 敎育指導事業을 펼칠 것을 勸奬함으로써 學問을 全國的으로 傳播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奬勵와 함께 修道院 에 對한 莫强한 支援도 再開하여 아일랜드 出身 宣敎師 들이 라이케나우 修道院(Reichenau Abbey)과 性 骨 修道院(Abbey of Saint Gall)을 設立할 수 있도록 助力하였다. 이 두 修道院은 꾸준히 成長하여 中世 後期에 最高의 學術水準을 자랑하는 機關으로 成長하였다. [1] [3]

그러나 위와 같은 事實들을 보더라도, 中世 後期 初盤에는 敎育이 危險한 處地에 있었던 것만은 분명한 事實이다. 카롤루스 大帝 以後 프랑크 王國 은 政治的 混亂으로 인해 프랑스 , 獨逸 , 이탈리아 로 分裂될 危機에 놓여있었다. 이러한 內部的 混亂에 더하여, 異民族이 세 方向에서 프랑크 王國을 壓迫하고 있었다. 8-11世紀에 걸쳐 노르만族 유럽 西海岸 全域과 英國 制度를 焦土化했다. 비슷한 時期에 이슬람敎 도들이 지브롤터 海峽 을 거쳐 스페인 全域을 掌握하였고 中西部 유럽까지 이슬람敎徒가 進出하는 것은 時間問題인 듯 보였다. 以後 이슬람敎徒들은 이탈리아 를 猛烈히 攻擊했으며, 結局 시칠리아 섬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異民族들의 跋扈는 933年 獨逸의 皇帝 하인리히 1歲 에게 大파될 때까지 繼續되었다. [4]

이러한 亂世에 文化가 凋落하는 것은 當然한 일이었다. 異民族들의 侵略으로 인한 影響은 廣範圍하여 侵略의 直接的 被害를 면한 地域에서도 文化가 衰落의 길을 걸었다. 異民族의 侵入을 거의 받지 않은 地域에서는 修道院 에 틀魚粕人 極少數를 除外하고는 生業의 困難으로 因해 學問과 敎育에 關心을 둘 餘力이 없었다. 이와 같은 形便에서 敎會의 基金이나 自發的인 授業料로 運營되던 수많은 學校는 門을 닫게 되었다. 한便, 이와 같은 混亂期에 잉글랜드 地方의 學校들이 沒落을 면한 것은 鍼藥으로부터 比較的 被害를 덜 받았고, 앨프레드 大王 이 侵略을 沮止한 後 곧바로 戰後復舊政策을 펼쳤기 때문이다.

異民族에 依한 大混亂은 11世紀에 가서 노르만族 基督敎 로 改宗하여 유럽 世界에 編入되면서 收拾되었다. 異民族들이 물러가자 以前의 繁榮은 빠른 速度로 다시 찾아왔고, 文明된 狀態가 前에 없이 確固해졌다. 暗黑時代가 지나가고 眞正한 中世 의 文化時代가 到來하여 道德ㆍ知的 覺醒이 擴散되기 始作하였다.

中世 後記 文明의 再建은 國家와 敎會가 共同으로 努力했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카롤루스 大帝 가 政治와 敎育의 改革을 통해 ‘ 유럽 ’이라는 하나 된 共同體 意識을 심어 놓은 것도 中世 後期 文明 再建에 적지 않은 貢獻을 하였다. 中世 後期의 文明은 中世 前期와 比較해 볼 때 대단히 다른 것이었다. 유럽 西部에서의 삶은 異民族들의 侵入을 轉機로 하여 飛躍的으로 改善되었다. 노르만族 의 開拓精神과 새로운 文物에 빠르게 適應하는 氣質은 유럽人에게 剛健한 精神力을 가져다주었다. 무어族 은 當時 유럽人들보다 進步的인 讀者 學問을 固守하였는데, 이것이 旣存 基督敎 世界에 學問的 覺醒을 던져주었다. 마자르族 의 無慈悲한 行爲는 城郭 都市 가 考案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것은 西歐 世界의 社會構造 自體를 변화시킨 重大한 事件이었다. 城郭都市들은 以後 領主로부터 獨立하여 獨自的인 權力機關을 構成하였다. [5]

中世 後期에 들어 都市 가 出現하기 以前까지는 個人의 삶을 規制하는 統治機關이 自由民에게는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어 個人의 私益追求나 人權 이 全的인 放置狀態에 있었다. 이러한 個人은 自身이 願하는 바를 成就할 機會 自體를 갖지 못한 狀態였기 때문에 人間的 自由를 누리지 못했다. 世俗的인 面에서나 宗敎的인 面에서나 權威를 行使할 地位에 있는 少數만이 機會를 누리며 自由를 누릴 수 있었다. 都市의 出現과 成長은 이러한 社會的 構造를 根本的으로 바꾸어 놓았다. 都市 內部의 市民들은 自治를 獲得해 나가며, 都市 內에서 機會와 自由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市民들은 行政事務를 處理하기 위해 市廳과 같은 公共機關을 組織했고, 그들의 權益을 保護하기 위해 議會를 構成했다. 商工業者들은 自身들을 利益을 守護하고 紛爭을 調停하기 위해 길드 를 結成하였다. 自律性의 保障으로 市民들은 宗敎機關과 國家機關의 統治가 賦課하는 성가신 制約에서 漸次 벗어나게 되면서 더 많은 機會를 保障받았던 것이다.

새로운 市民들은 公民權 運動은 敎育界에도 影響을 미쳤다. 먼저, 學校 數가 急激히 增加했다. 都市 로 수많은 市民들이 몰려들면서 敎育에 對한 需要가 發生했다. 結果的으로, 都市가 出現한 後 얼마 지나지 않아 大部分의 都市에는 學校가 設立되게 되었다. 이러한 學校들은 以前 時期의 學校와 마찬가지로 聖職者 가 運營하고 敎育을 擔當하였으며, 學士 過程도 移轉 時期의 것과 類似했다. 外見上 敎會에서 設立한 學校와 다를 바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都市의 學校들은 市民들의 關心을 받았고, 市民들이 그러한 學校의 維持와 運營을 志願했기 때문에 學校의 槪念이 變化할 轉機를 마련하였다. 結局 都市의 學校들은 聖職者의 統制에 있으면서도 漸漸 더 世俗的인 性格을 갖게 되었다. 中世 末期에 이르러서는 一部 都市學校들이 敎會의 影響力을 完全히 벗어나 私立敎育機關으로 獨立하기도 하였다.

中世 都市 의 發達이 敎育에 미친 效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分野는 文法學校나 성가學校가 아닌 수투티아 게네랄레 (SUTUDIA GENERALE)라고 불린 學校이다. 이 學校는 以後 大學校(UNIVERSITAS)라고 불리게 되는 새로운 形態의 高等 敎育 機關이다. 大學校가 登場한 年度를 正確히 指摘하는 것은 不可能하다. 最初의 大學校가 登場한 것은 相當히 오랜 期間에 걸친 事件이기 때문이다.

12世紀 初盤 유럽 의 몇몇 都市 에서는 醫學 , 法律學 , 神學 等 특수한 分野의 學問을 敎育하는 學校가 名聲을 얻었고, 이러한 學校에는 유럽 全域에서 學生들이 몰려들었다. 이 都市들 中 一部는 이름난 人士를 敎員으로 두고 있기도 하였고, 다른 一部는 地理的으로 유리한 立地에 있기도 하였다. 이러한 形態의 學校들은 敎員과 學生들의 安全을 保障하는 行政機構를 갖춘 恒久的 組織으로 發展하였고, 世俗權力과 宗敎權力으로부터 自治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러한 學校가 所在한 都市로 有名한 곳은 볼로냐 , 파리 , 옥스퍼드 等이 있었다. 이 都市에 所在한 學校들은 ‘母胎大學[Greate Mother Universities]’로서 以後 設立된 수많은 大學校의 모델이 되었다.

가장 자유로웠던 都市 가 있었던 南部 유럽 에서 大學校가 가장 빠른 速度로 擴散된 事實로 미루어보아, 都市 自治權의 成長과 大學校의 設立이 緊密한 關係에 있다는 點을 알 수 있다. 이탈리아 에는 12世紀 初盤에만 9個의 大學校가 自生的으로 發生하였고, 以後 200餘 年間 10餘個의 大學校가 都市의 努力으로 設立되었다. 스페인 도 이탈리아만큼으로 都市가 成長한 地域이어서 中世에만 12個의 大學校 [6] 가 設立되었는데, 스페인의 大學校는 王室의 支援에 依해 設立된 學校가 많았다. 프랑스 南部 地域의 都市들은 이탈리아나 스페인만큼 發展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오래前부터 있었던 두 個의 수투디아 게네랄레가 大學校로 發展하였고, 以後 이탈리아의 影響을 받아 6個校가 더 設立되었다. [7]

이러한 유럽 南部 의 事情에 비하여, 封建 制度 가 뿌리 박혀서 都市가 크게 成長하지 못한 유럽 北部 에서는 大學校의 設立과 發展이 훨씬 느렸다. 그래서 프랑스 北部에는 權力機關에 依해 大學校가 設立되었다. 神學 乙 主要學問으로 하는 파리 大學校 , 法律學 을 主力學問으로 내세우는 오를레앙 大學校와 盎齊 大學校가 그러한 類型이다. 다만, 샤르트르 地域에 있던 由緖 깊은 수투디아 게네랄레는 파리 大學校에 壓倒되어 大學校로 發展하지 못하였고 사라졌다. 英國 의 事情도 유럽 北部와 비슷하여, 여러 大學校가 設立되지 못하고 옥스퍼드 大學校 케임브리지 大學校 以外에는 다른 大學校를 設立하지 못하였다. 獨逸 네덜란드 地方에는 15世紀에 이르기까지 大學校가 單 한 個도 設立되지 못했으며, 스코틀랜드 地域에서도 15世紀 들어서야 最初의 大學校가 設立되었다. 이와 같이 1500年을 基準으로 하여 유럽에 存在했던 大學校는 總 79個校에 이르렀다. [7]

中世 大學 [ 編輯 ]

1300年頃 中世 大學 의 醫學部에 在學했던 學生이 所持했던 自然 科學 , 哲學 , 數學 敎材

起源 [ 編輯 ]

一般的으로 大學校의 起源은 中世 基督敎 世界에 基盤을 둔 高等敎育機關에서부터 始作된 것으로 여겨진다. 大學校의 出現 以前에 유럽에서의 高等敎育은 數百 年間 敎會에 附屬된 大聖堂學校와 修道院學校에서 司祭와 修道士와 같은 聖職者들에 依해 이루어졌다 [8] [9] . 이러한 古典的 性格의 高等敎育機關은 6世紀까지 그 年限이 올라간다 [10] .

12-13世紀 유럽 의 成長과 都市化의 進展에 따라 專門的인 聖職者에 對한 需要가 높아져갔다. 12世紀까지 유럽에서 知性活動의 中心은 修道院 이었는데, 修道院에서는 예전 聖書 에 偏重된 知性活動이 이루어져 學術的 知性活動이 活性化되어 있지는 못했다. 그레고리오 改革 敎會法 成事 의 硏究에 對한 規定에 依하여, 많은 敎會에서 聖職者 들에게 敎會法을 敎育하기 위한 敎會附設學校를 設立하였다. 이러한 敎會附設學校에서는 敎會法 뿐만 아니라 敎會行政과 敎會의 運營, 說敎와 神學的 論辯을 進行하는 데 必要한 論理學과 雄辯術, 敎會財政을 運營하고 企劃하기 위한 會計學 等도 敎育하였다. 敎會에서의 배움은 敎會封建制 鞏固化를 위한 手段이 되었으며, 敎會 內의 敎師는 敎會封建制度에서 특별한 地位와 特權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敎會學校에 入學하려는 學生이 增加하면서 敎員 1人當 配定된 學生數가 폭증하게 되었다. 더욱이 敎會學校가 小都市에 있는 境遇에는, 他地에서 敎會學校에 留學 온 學生과 地域住民間의 緊張이 增加하게 되었다. 이러한 理由들로 인해 結局 여러 敎會學校들은 파리 볼로냐 와 같은 大都市로 統合되어 移轉하게 되었다.

最初의 大學校들{ 볼로냐 大學校 ( 1088年 ), 파리 大學校 (11世紀 中葉 敎育始作, 1150年 確立), 옥스퍼드 大學校 ( 1096年 敎育始作, 1167年 確立), 모데나 大學校( 1175年 ), 팔렌시아 大學校( 1208年 ), 케임브리지 大學校 ( 1209年 ), 살라망카 大學校(1218年), 몽펠리에 大學校(1220年), 파도바 大學校 ( 1222年 ), 툴루즈 大學校( 1229年 ), 오를레앙 大學校( 1235年 ), 시에나 大學校( 1240年 ), 코임브라 大學校 ( 1288年 )}은 敎員과 學生의 史跡 組合이 그 起源이다. 이러한 組合들은 自身들이 所在한 都市 當局과 領主들로부터 保護를 받기를 願했다. 이 組合들은 國王이나 敎皇 에게 世俗的인 特權을 附與받을 수 있도록 要請하였다. 이러한 類型의 첫 番째 特權은 프리드리히 1歲 가 『學者의 特權(AUTHENTICA HABITA)』(1158年)이라는 憲章을 볼로냐 大學校의 學生들에게 附與한 것이다. 敎皇 알렉산데르 3歲 는 敎會學校들이 敎員資格을 附與하는 代價로 授業料나 手數料를 徵收하는 것을 禁止하였으며, 敎師의 資格을 適切히 갖춘 者에게는 當然敵으로 敎員資格을 附與하도록 하였다 [11] . 해스팅스 래쉬돌(Hastings Rashdall)은 大學校 組合이 內部的으로 構成된 組織을 外部의 攻擊으로부터 保護하는 役割을 했다고 主張한다. 이와 같은 獨立 大學校 形態들은 宮廷官僚나 組合이 自體的으로 保有한 財産으로 大學機關이 運營되었던 이탈리아 스페인 에서는 볼 수 없는 形態였다.

S. F. 에라투스(S. F. Elatus)와 조지 幕디시(George Makdisi)와 같은 一部 學者들은 마드라사 [12] 유럽 의 中世 大學이 一直線上에 있다고 보고, 유럽에서 出現한 最初의 大學校들이 알안달루스 와 시칠리아 土豪國(Emirate of Sicily)의 影響을 받은 것 [13] [14] 이라고 主張한다. 그러나 조지 幕디시 [15] , 逃避 허프(Toby Huff), 노르만 다니엘(Norman Daniel)과 같은 學者들은 그러한 主張에 疑問을 提起하고, 마드라사와 유럽의 中世 大學 間에 나타나는 學校構造, 學事行政, 敎授方法論, 敎育課程, 法律的 地位의 差異가 移行될 證據가 貧弱하다고 指摘한다 [16] [17] . 特히 조지 幕시디와 같은 學者는 中世 大學이 마드라사의 副産物이라는 데 剛하게 反對하며, 中世 大學이 中世 유럽의 學問的 中心으로서 學問 傳播의 求心點 이었고, 以後 約 千 年間 이슬람 世界의 마드라사의 進步에 影響을 미쳤다는 假說을 提起하고 있다 [18] .

成熟期 [ 編輯 ]

現代的인 大學校의 前身은 피에르 아벨라르 의 指導下에 있었던 파리 大學校 로 볼 수 있다. 아벨라르와 그 追從者들은 파리 市民과 파리 大聖堂 附設學校 學生들, 學校 授業과 敎材를 檢閱하는 敎會機關 間의 緊張한 事態에서 벗어나기 위해 中世 에 存在했던 길드 를 본 따 自足할 能力을 가진 恒久的인 高等 敎育 機關으로서의 禹니베스시타스(UNIVERSITAS)를 組織하였다. 파리 大學校는 敎皇 그레고리오 9歲 의 『學問의 아버지(Parens Scientiarum)』라는 敎書에 依해 모든 權力으로부터 獨立된 最初의 大學機關이 되었다.

파리 大學校 의 完全한 獨立은 革命的인 事變이었다. 파리 大學校를 時點으로 以前부터 存在했던 스투디움 게네랄레 [19] 와 우니베르시타스 [20] 들이 敎皇 과 皇帝의 特許를 得하기 始作하였고, 이로써 自治權을 얻었게 되었다. 1233年 의 敎皇 敎書에서는 툴루즈 에서 敎師免許를 득한 者는 어디서나 특별한 試驗 없이 敎師 資格을 保障받게 되었는데, 이러한 敎師免許 特權이 各 大學에 附與되게 되면서, 大學 自治의 象徵으로 되었다. 1292年 敎皇 니콜라오 4歲 로부터 파리 大學校와 볼로냐 大學校 가 大學校로는 最初로 그러한 敎師免許 特權을 附與받았다.

13世紀에 접어들어, 아빠스 , 大主敎 , 樞機卿 과 같은 敎會機關의 最高位職의 折半가까이를 敎員資格(master degree)를 가진 者가 차지하였다. 敎會機關의 中間管理職은 3分의 1以上이 敎員資格 所持者의 몫이었다. 더욱이 中世 末期의 가장 偉大한 神學者인 性 토마스 아퀴나스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는 大學校 卒業者였다.

中世 大學은 비잔티움 帝國 아랍 世界의 學者들에 依해 아리스토텔레스 의 學術的 業績이 再照明되는 가운데 成長해갔다. 實際로 유럽 의 中世 大學들은 아리스토텔레스와 다른 自然哲學者들의 著述을 重要한 敎科課程으로 다루었으며, 結果的으로 近現代의 大學보다 中世 大學에서 自然科學 이 敎科課程 中에 차지하는 比重이 훨씬 컸다.

르네상스 期에 들어 人文主義 運動에 依해 古代 哲學者들에 對한 人氣가 사그라지어 大學校 의 位相이 下降하기 始作했지만, 大學校는 아리스토텔레스 와 다른 哲學者의 科學과 哲學에 관계된 著述들을 繼續 傳承시켜 16-17世紀의 科學 革命 의 밑바탕을 다지는 役割을 하였다.

中世 大學의 特徵 [ 編輯 ]

初期의 中世 大學들은 矯正[campus]을 갖고 있지 않았다. 講義는 敎會나 住宅과 같이 講義가 可能한 곳이라면 어디서든 열렸다. 卽, 初期 中世 大學은 物理的인 空間이 아니라 우니베르시타스라는 組合으로 聯合된 個人들의 集合이었다. 그러나 곧 케임브리지 大學校 같은 一部 大學校들이 講義를 위해서 住宅이나 房을 사거나 빌리기 始作하였다.

中世 大學은 敎員의 給料를 負擔하는 主體에 따라 크게 3가지 類型으로 分類된다. 첫 番째 類型은 敎員을 學生組合이 雇用하고 學生組合이 敎員의 給料를 支給하는 볼로냐 大學校 와 같은 類型이다. 두 番째 類型은 敎會 機關이 敎員을 雇用하고 給料를 負擔하는 파리 大學校 類型이다. 마지막 類型은 王(中央政府)이나 地方政府에 依해 大學校의 運營이 支援되는 形態였다. 마지막 類型은 1530年代 末 英國 에서 施行된 敎會ㆍ 修道院 財産 沒收 및 解體 政策(Dissolution of the Monasteries)과 英國內에서의 英國 聖公會 의 成立에 依한 財政確保로 나타난 類型이다. 이러한 構造的 差異는 學士課程과 運營의 差異를 낳았다. 볼로냐 大學校에서는 學生들이 自治組織을 構成하여 大學校를 運營하였고, 이 大學校의 敎員들은 다른 大學校의 敎員들에 비하여 學生組合으로부터 많은 壓力과 不利益을 받았다. 파리 大學校에서는 敎員들이 學校 運營의 主體가 되었다. 敎員이 學校 運營의 主體가 되는 것은 유럽 世界에서 파리 大學校가 最初였다. 파리 大學校의 有名 科目은 神學 이었는데, 이 때문인지 파리 大學校에서의 敎員資格附與權限은 大學校 外部人 敎區의 敎會法務官에게 있었다.

中世 大學에서의 敎育 年限은 學士 學位 過程이 6年이었고, 碩士 博士 學位 過程이 都合 12年 過程으로 되어 있었다. 學事 學位 過程은 7自由敎科 를 敎育하는 敎養學部에서 進行되었으며, 幾何學 , 地理學 , 天文學 , 音樂學 , 文法學 , 論理學 , 修辭學 을 敎科目으로 두었다. 中世에 敎養學部에서 가장 重要한 科目으로 여겨졌던 것은 論理學이었다.

敎養學部의 學士 學位는 上位 學部로 進學할 資格을 갖추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上位 學部에는 碩士 博士 學位 過程으로 法學 部, 醫學 部, 神學 富가 있었는데, 이 中 신학부에서 學位를 받는 것이 가장 어렵지만, ‘學問의 꽃’이라 하여 가장 權威 있는 學部로 여겨졌다.

中世 大學에서의 講義는 主題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徹底히 敎材 中心으로 이루어졌다. 卽, 아리스토텔레스 의 著書나 聖經 內容 自體에 對한 講義가 이루어졌던 것이다. 大部分의 大學校에서 講座의 受講은 不隨意的이었다. 學士課程이 固定되어 있어 모든 사람이 똑같은 過程을 통해 똑같은 講座를 受講해야 했다.

中等敎育 [ 編輯 ]

1400年代 後半의 學校의 모습

中世 後期의 學問的 熱意가 大學校 를 中心으로 이어졌지만, 大學校 以下 級 學校에서도 學問的 熱意를 찾아볼 수 있었다. 사는 사람이 드문 山間僻地를 除外하면, 西유럽 거의 모든 地域에는 正規 文法學校가 設立되어 있어서 高等學問을 배우고자 하지 않는 以上 다른 地域으로 가서 敎育을 받을 必要가 없게 되었다. 이러한 文法學校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배우는 것 以外에 文字言語와 繪畫言語로서의 라틴語 를 배울 수 있었고, 修辭學 論理學 과 같이 當代에 些少한 敎科로 여겨지던 것까지 배울 수 있었다. 文法學校가 없는 小都市와 작은 마을의 境遇에는 제프리 草書 가 《餘修道院長 이야기(The Prioresses Tale)》에서 言及한 읽기學校나 노래學校가 있었다. 다음은 《餘修道院長 이야기》의 一部이다.

해마다 어른들이
높은 敎理와 學說을 배우던
바로 그 學校에서
이제는 코흘리개 아이들이
말과 노래와 글字를 배우도다.

中世 의 學生들이 學校에서 배운 敎科의 水準은 比較的 俊秀한 水準이었다. 中世 後期의 사람들이 쓴 글이나 그들이 遂行한 計算 業務들의 記錄들은 中世 以後 3蓋世機 동안의 記錄의 水準보다 훨씬 높다.

中世 後期 狀況이 이러했던 點에는 敎會가 敎育에 많은 關心을 기울인 것이 奏效했다. 12世紀 敎會法 은 大衆敎育이 敎會의 機能에 屬한다는 點을 明示하고 있다. 1189年 第3次 라테란 公議會 에서는 敎會가 聖職者 뿐만 아니라 一般學生에게 敎育을 無償으로 提供해야 한다는 것을 決定하였다. 그 決定 內容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의 敎會는 자애로운 어머니와 같아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肉體를 維持하는 데에 必要한 物件과 靈魂을 이롭게 하는 데에 必要한 物件을 모두 提供함으로써 父母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가난한 사람들이 글을 읽고 生活을 營爲해 나갈 機會를 박탈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모든 社員에 適切한 建物을 지어 敎員으로 하여금 그 社員의 聖職者들과 가난한 사람들을 無償으로 가르치도록 하여, 가르치는 사람이나 배우는 사람에게 다 같이 負擔을 덜어주고 배움의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그 밖의 敎會나 修道院에서도 過去에 이 目的을 위한 措置가 있었다가 廢止된 境遇가 있다면, 이제 그것을 다시 부활시켜야 한다.

위와 같은 決定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中世 에 寺院, 大學校 附設敎會, 修道院 等에 附設된 中等學校는 中世 以後 유럽 敎育에서 重要한 役割을 하였다. 12世紀에 들어 修道院의 勢力이 强大해짐에 따라, 수많은 敎會와 寺院들은 修道院의 影響 아래 들어가게 되었으며, 그러한 敎會와 寺院의 附設學校度 修道院의 影響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變化는 敎育 提供 主體가 私製 에서 修道士 로 넘어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學校의 運營과 管理(敎育行政)은 修道院의 所管으로 되었지만, 敎員의 絶對 多數는 敎會의 一般 聖職者 들이었던 것이다.

이 時期 가장 重要한 變化는 寺院 에서의 世俗 敎育 分野에서 나타났다. 大學校 에서 神學 이 專門的인 學問으로 發展해감에 따라, 修道院 附設學校에서는 文法 敎科가 여러 敎科로 分化되고 旣存의 文法學校나 성가學校에서 神學學校가 附設되기 始作했다. 이와 同時에 學校에서 敎育하는 日課 敎會法 을 解釋하여 執行하는 일이 獨立되었다. 從來의 學校長의 位相이 ‘學校’의 章에서 ‘寺院學校’의 張으로 格上된 것이다. 이는 學校長이 社員의 執行部에 參與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校長은 實質的인 敎育에 服務하지 않으면서, 敎員의 任免權을 갖게 되었다.

寺院 大學校 의 附設學校만으로는 當代의 敎育的 需要를 堪當할 수 없었다. 이 時期에는 學校가 暴發的으로 增加했으며, 이러한 새로운 學校들은 大略 4가지 類型으로 分類된다.

  • 後期 大學校 附設學校

이 類型의 學校는 13世紀 中盤에서 宗敎改革 에 이르는 期間 동안 設立된 學校이다. 이 類型의 初期 學校에서는 旣存의 大學校 附設學校에서처럼 敎會의 일이 學習보다 더 重視되고 있었지만, 漸次 時間이 지날수록 學習이 敎會의 일보다 重要하게 되었다. 윈체스터 大學校 附設學校, 이튼 學校 等이 이러한 類型에 屬한다.

  • 病院 附屬學校

이 類型의 學校는 英國 에서 貧民 救護所(almshouse) 政策이 施行되면서 登場하였다. 貧民 救護所는 寄附金을 받아 運營되었으며, 疾病의 治療도 하고 있었다. 病院 附屬學校는 이러한 貧民 救護所에 收容되어 있는 가난한 學生들을 敎育하기 위해 設立된 것이었다. 가장 有名한 病院 附屬學校는 런던의 블루 코트 學校(Blue Coat School)이다.

  • 길드學校

商人과 手工業者들의 組合인 길드는 獨自的으로 私製 를 두어 組合員이나 길드 의 宗敎的 行事를 進行하였다. 이러한 길드에 所屬된 司祭들은 自身의 職務 時間 外에 組合員의 子女나 地域住民들을 對象으로 敎育을 提供하고, 講義料를 받았다. 以後 이 司祭들은 學校를 運營하기 始作했고, 이것이 길드學校가 되었다. 셰익스피어 라틴語 그리스어 를 배웠다는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 文法學校가 이러한 種類의 學校였다.

  • 年譜學校

이 種類의 學校는 設立背景이 길드 學校와 비슷하다. 年譜란 葬禮式場에서 葬禮를 進行하는 私製 에게 支給할 給與를 모은 基金이었는데, 葬禮式 醬의 司祭에게 恒常 일이 있는 것이 아니어서, 勤務 時間 外에 學校에서 敎育을 提供하고 講義料를 받는 것이 一般的인 慣例였다. 卽, 年譜學校는 이러한 慣例에 依해 생겨난 學校였다.

위와 같은 類型의 새로운 學校들은 大學校 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敎育이 敎會의 統制를 벗어나서 非宗敎的인 形態로 獨立하는 傾向을 보였다. 勿論, 이러한 分離가 完全한 形態였던 것은 아니다. 甚至於 길드 學校와 같이 宗敎機關으로부터 完全히 獨立되어 있는 境遇에도, 敎員은 언제나 聖職者 였다. 그러나 15世紀에 접어들면서, 그러한 分離가 確實해지기 始作했다. 15世紀의 요크 寺院 附設 文法學校(York Cathedral Grammar School)의 校長이 모두 一般人으로 選出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轉換的 本보기가 登場한 直後, 學校長을 一般人으로 두고자 하는 學校가 增加하게 되었다.

敎會와 敎育의 分離는 獨逸 스코틀랜드 에 나타난 市立學校(Town School; Municipal School)에서 克明하게 나타났다. 市立學校는 學校의 運營과 관계된 모든 事項이 市 行政府 傘下에 있었다. 그런데 이 時期의 市 行政府는 榮州 와 敎會로부터 獨立해 나가고 있었기 때문에, 都市 내 敎會機關의 承認 없이 市 行政府가 獨自的으로 敎員을 任免할 수 있었다. 1464年 에는 敎員의 任命이 完全히 世俗的인 權力에 依해 이루어진 事例가 나타나게 되었다. 스코틀랜드의 피블즈 學校(Peebles School)李 그러한 學校로서, 이 學校의 寄附者들이 윌리엄 블라클로크(Sir William Blaklok)를 校長 候補者로 市 當局에 推薦했고, 市 當局은 그들의 要請을 받아들여 敎會의 干涉 없이 임명하였다.

그러나 1509年 에는 敎育領域에서의 世俗權力을 牽制하기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했다. 여러 寺院學校長들이 로마 敎皇 에게 自身들의 敎育에 對한 旣得權을 保障해 줄 것을 要請한 것이다. 敎皇은 그 社員學校長들의 請願을 認定했지만, 寺院學校長의 權威 墜落을 막을 수는 없었다. 1538年 한 都市의 文法學校 校長 자리가 公席으로 되었을 때, 市 議會는 獨自的으로 校長 候補者를 指名한 後 그 都市의 寺院長에게 通報했다. 이에 寺院腸이 反撥하며 다른 사람을 校長으로 임명했지만, 市 議會는 自身들의 意見을 貫徹하였다. 이는 敎育의 權威가 敎會에서 世俗으로 移讓되는 重大한 嚆矢였다.

參考 文獻 [ 編輯 ]

  • 《敎育學的 事由를 여는 敎育의 哲學과 歷史》 : 정영근 外 3人 저, 문음사, 1999
  • 《敎育學的 事由를 여는 敎育의 哲學과 歷史(增補改訂版)》 : 정영근 外 3人 저, 문음사, 2010
  • 《敎育史槪說》 : P. 몬로 저, 교육과학사, 1994
  • 《西洋敎育社》 : 윌리엄 보이드 저, 교육과학사, 1994
  • 《西洋敎育社 硏究》 : 성기산 저, 문음사, 1993
  • 《中世의 知識人들》 : 자크 르 코프 저, 최애리 驛, 東文選, 1999

各州 [ 編輯 ]

  1. 《Intellectuels au Moyen Age》, Le Goff, Jacques저, Edition du Seuil, 1985., 37페이지.
  2. 《西洋敎育社》, 윌리엄 보이드 저, 이홍우 外 2人 驛, 교육과학사, 2008., 173페이지.
  3. 「中世 修道院 運動의 靈性에 關한 硏究 : 書房首都원을 中心으로」, 유승란, 한세대學校 碩士學位 論文, 2001.
  4. 《A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James Bowen 저, Routledge, 2003., II卷 10페이지.
  5. 「中世都市의 意義와 性格」, 이성호, 원우論集-延世大學校 大學院 원우회 收錄論文, 15輯 1號.
  6. 13世紀에 3個校, 14世紀에 5個校, 15世紀에 4個校
  7. 《西洋敎育社》, 윌리엄 보이드 저, 이홍우 外 2人 驛, 교육과학사, 2008., 177페이지.
  8. Ruegg, Walter: "Foreword. The University as a European Institution", in: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 1: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XIX?XX
  9. Verger 1999
  10. Riche, Pierre (1978):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ISBN   0-87249-376-8 , pp. 126-7, 282-98
  11. Kemal Guruz, Quality Assurance in a Globalize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n Historical Perspective, Istanbul, 2007, p. 5
  12. 이슬람 世界의 最高 敎育機關
  13. Alatas, S. F. (2006), "From Jami`ah to University: Multiculturalism and Christian?Muslim Dialogue", Current Sociology 54 (1): 112?132 [123?4]
  14. Makdisi, George (April?June 1989), "Scholasticism and Humanism in Classical Islam and the Christian West",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09 (2): 175?182 [175?77]
  15. George Makdisi: "Madrasa and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in: Studia Islamica, Vol. 32 (1970), S. 255-264 (264
  16. The scholarship on these differences is summarized in Toby Huff, Rise of early modern science, 2nd ed. p. 149-159; p. 179-189.
  17. Norman Daniel: Review of "The Rise of Colleges. Institutions of Learning in Islam and the West by George Makdisi",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Vol. 104, No. 3 (Jul. - Sep., 1984), pp. 586-588 (587).
  18. George Makdisi: "Madrasa and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in: Studia Islamica, Vol. 32 (1970), S. 255-264 (264)
  19. 大學校
  20. 學生과 敎員의 組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