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北漢山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北漢山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北漢山國立公園 에서 넘어옴)

北漢山
北韓産(北漢山)/三角山(三角山)/부아악(負兒嶽)/橫惡(橫嶽)
北韓産 仁壽峯(810.5m)
最高點
高度 835.6 m (2,741 ft)
지리
북한산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북한산
北漢山
北漢山의 位置
位置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서울特別市 江北區 · 道峰區 · 恩平區 · 城北區 · 鍾路區
京畿道 高陽市 德陽區 · 楊州市 · 議政府市
父母 山脈 廣州山脈
三角山
(三角山)
대한민국 大韓民國 名勝
種目 名勝 第10號
( 2003年 10月 31日 指定)
面積 274,143m 2 (指定區域)
所有 國有
管理 京畿 高陽市長, 서울 江北區廳長
住所 京畿 高陽市 덕양구 북한동 산1-1,
서울市 강북구 우이동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北漢山 (北漢山)은 서울特別市 江北區 · 道峰區 · 恩平區 · 城北區 · 鍾路區 京畿道 高陽市 德陽區 · 楊州市 · 議政府市 의 境界에 있는 높이 835.6m(2013年 6月 國土地理情報院 地圖)의 으로, 이름은 朝鮮 後期時代때 漢城 의 北쪽이라는 뜻에서 由來되었다.(의문? 高句麗(高駒驪)의 ‘北漢山群(北漢山郡)’은 어디에서 나온 이름이며, 新羅(新羅)의 ‘북한산주(北漢山州)’는...?)

北漢山은 1億 7千萬年前에 形成되었으며, 最初로는 馬韓 의 땅으로 三國時代 百濟 에서는 閑散(漢山) 이라 불렸고 仁壽峯은 부아악(負兒嶽) 이라 불렸으며 時調 沸流 온조 兄弟가 올랐다는 記錄이 남아있다. 31年 以後 橫惡(橫嶽) 이라고도 불렸다. 475年 高句麗 가 이곳을 征伐하여 北漢山群(北漢山郡) 이라 稱한다. 新羅가 이곳을 征伐하고(553년) 난 後 557年에 一時的으로 '북한산주(北漢山州)'를 設置하였다. 이때 北漢山 新羅 眞興王 巡狩碑 가 세워졌다.

南北國時代 新羅 에서는 부아산(負兒山) 이라고도 불렀고, 993年 以後 때 부아鳳(現 仁壽峯 810.5m), 重峯(現 白雲臺 835.6m), 국망봉(現 萬景臺 800.6m, 國土地理情報院) 세 봉우리가 모여 있어 三角(三角)처럼 보여 三角山(三角山) 으로 불려왔다. 朝鮮 時代에 들어와서 高麗時代에 側性韓 중흥산성 을 步收縮하여 北漢山城 을 築城(1711年)한 以後 漢城 의 北쪽이라는 意味에서 北韓産(北漢山) 이란 山名을 別稱으로 使用해 오다가, 日帝强占期 以後로 漸次 北韓産(北漢山) 이란 山名을 正式으로 使用하게 되었다.

1983年 에 大韓民國의 國立公園 北漢山 으로 指定되었고, 2010年 에는 北漢山 둘레길 코스가 開放되었다.

槪要 [ 編輯 ]

北漢山國立公園은 世界的으로 드문 都心 속의 自然公園으로, 秀麗한 自然景觀을 穩全히 保全하고 있고, 快適한 探訪 서비스를 提供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5番째 國立公園으로 指定되었으며, 그 面積은 서울特別市와 京畿道에 걸쳐 約 78.5km 2 , 우이령을 中心으로 南쪽의 北漢山 地域과 北쪽의 道峯山 地域으로 區分된다.

公園全體가 都市地域으로 둘러싸여 都市地域에 對한 綠地로서의 役割을 遂行하고 있다. 首都圈 住民들의 自然休息處로 愛用되어 年平均 探訪客이 500萬 名에 이르고 있어 '單位面積 當 가장 많은 探訪客이 찾는 國立公園'이다. [1]

北漢山國立公園은 巨大한 花崗巖으로 이루어진 主要 암봉 사이로 數十 個의 맑고 깨끗한 溪谷이 形成되어 山과 물의 아름다운 調和를 빚어내고 있으며 1億 7千萬 年前에 形成되었다, 그 속에 1,300餘 種의 動植物이 棲息하고 있다.

또한 肅宗 37年(1711年)에 築成한 北漢山城 과 高麗때 創建한 중흥사(重興寺)· 朝鮮 中宗 때 신월 禪師가 創建한 華溪寺 (華溪寺)· 新羅의 考察 僧伽寺(僧伽寺)· 津寬寺(津寬寺)· 망월사 等의 遺跡地가 있다. [2]

1,300餘 種의 動·植物이 棲息하고 있고 北漢山城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維持 를 비롯한 수많은 文化 遺跡이 있어 1983年 4月 2日 韓國 에서 15番째 國立公園으로 指定되었다.

面積은 서울特別市와 京畿道에 걸쳐 約 79.916km 2 이다. 우이령을 中心으로 南쪽의 北漢山 地域과 北쪽의 道峯山 地域으로 區分된다.

行政區域上으로는 강북구 및 道峰區(21.43km 2 )·성북구(4.75km 2 )·종로구(4.16km 2 )·은평구(9.42km 2 ) 等의 서울地域(39.76km 2 )과 議政府市(9.23km 2 )·高陽市(14.93km 2 )·楊州市(14.58km 2 ) 等 京畿地域(38.74km 2 )을 合하여 總 78.5km 2 에 이른다

형제봉, 보현봉, 칼바위 등이 보이는 남쪽 북한산 자락의 가을 풍경
형제봉, 보현봉, 칼바위 等이 보이는 南쪽 北韓産 자락의 가을 風景
형제봉, 보현봉, 칼바위 등이 보이는 남쪽 북한산 자락의 겨울 풍경
형제봉, 보현봉, 칼바위 等이 보이는 南쪽 北韓産 자락의 겨울 風景

頂上인 白雲臺 最頂上點에 오르면 氣象 條件이 良好한 훌륭한 眺望이 觀測되며 130km 距離인 雪嶽山 大靑峯 (서리산 봉우리 右側 옆으로)과 140km 距離인 점봉산은 勿論 旌善 加里旺山 (龍門山 左側 옆으로) 까지 眺望이 可能하며 어지간한 날엔 100km距離인 雉岳山 (龍門山 右側 옆으로)도 眺望이 可能하다. 또한 北녘 땅 開城 市內는 勿論 멀리 滅惡山脈까지도 眺望이 된다.

지리 [ 編輯 ]

地形的으로 볼 때 北에서 南으로 이어지는 山脈으로 이루어졌으며 우이령을 境界로 하여 北쪽으로는 道峯山 地域, 南쪽으로는 北漢山 地域으로 크게 나뉜다. 이 中 北韓産 地域은 最高峯인 白雲臺를 頂點으로 主稜線이 南北으로 길게 뻗어 北으로는 상장봉, 南으로는 보현봉에 이른다.

特히 北漢山國立公園 全體의 中心에 仁壽峯, 白雲臺, 萬景臺와 露積峯 一帶의 암봉軍이 높이 솟아 있다.

北韓産 봉우리 [ 編輯 ]

北漢山 白雲臺

現在 높이는 2013年 6月 國土地理情報院 1:25,000 地圖上 古都이며 文獻에 나와 있는 資料이다.

白雲臺 (白雲臺) 835.6 : 仁壽峯 (仁壽峰) 810.5 : 만경봉 (萬景峰) 800.6 : 露積峯 (露積峰) 715.5 : 용암봉 (龍巖峰) : 日出峯 (日出峰) 617 : 월출봉 (月出峰) 600 : 基龍鳳 (起龍峰) 588 : 反龍鳳 (盤龍峰) 583 : 時丹鳳 (柴丹峰) 607 : 德長棒 (德藏峰) 586 : 福德鳳 (福德峰) 594 : 석가봉 (釋迦峰) 598 : 성덕봉 (聖德峰) 631 : 火龍鳳 (化龍峰) 644 : 잠龍鳳 (潛龍峰) 701 : 文繡峯 (文殊峰) 727 : 보현봉 (普賢峰) 714 : 716峯(舊 羅漢峯 : 715.5m 三角測量地點) : 羅漢峯(舊 나월봉(蘿月峰) 688 : 나월봉(舊 환희鳳 (歡喜峰) 657 : 蒸炊鳳 (甑炊峰) 593 : 溶血鳳 (龍穴峰) 581 : 湧出鳳 (龍出峰) 571 : 의상봉 (彌勒峰) 501.5 : 원효봉 (元曉峰) 510.3 : 廉初俸 (廉?峰) 662.2 : 時자봉 (侍者峰) 775 : 기린봉 (麒麟峰) 472.1 : 將軍峯 (將軍峰) 431 : 等안峯 (登岸峰) 463 : 귀암봉 (龜巖峰) 520 : 상원봉 (上元峰) 684 : 休암봉 (?巖峰) 594 : 형제봉(462.2m),족두리鳳(367.3m), 鷹峯(332.9m) 等이 있다.

봉우리 名稱의 由來 [ 編輯 ]

元曉稜線 6峯(元曉 染草 侍者 백운 만경 鎔巖) [ 編輯 ]

元曉稜線
訓鍊都監이 擔當
  • 원효봉(元曉峰,510.3) : 北漢山城 築城以後 元曉大師와 義湘大師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붙인 봉우리
  • 廉初俸(廉?峰,662.2) : 날카롭고 가파른 봉우리란 뜻으로 北漢山城을 收縮한 後에 붙여짐. 高麗時代에는 '영취봉(靈鷲峰)'이라 函
  • 時자봉(侍者峰,775.0) : 白雲臺를 모시고 있는 봉우리란 뜻으로, 頂上에 元曉稜線에서 가장 危險하다는 말바위가 있다.
  • 白雲臺(白雲臺,835.6) : 高麗時代 重峯(中峰)이라 부름. 朝鮮時代때 太祖 李成桂의 潛丘時에 "백운(白雲)"에서 由來.
  • 仁壽峯(仁壽峰,810.5) : 高麗時代 부아鳳(負兒峰)이라 부름. 朝鮮時代때 仁者樂山 人者수(仁者樂山 仁者壽)에서 由來.
  • 萬景臺(萬景臺,800.6) : 高麗時代 開城 天摩山에 국망봉이라는 이름에서 由來, 나중에 만경봉으로 變更
  • 용암봉(龍巖峰, ) : 高麗時代 迷路峯이라 부름. 龍模樣의 바위가 있음
  • 露積峯(露積峰,715.5) : 高麗時代 적石棒(積石峰)이라고 부르다 後에 이슬이 쌓이는 봉우리란 뜻의 露積峯으로 變更
이슬이 쌓이는 것을 避하기 위해 穀食(穀食)을 한데에 쌓아 둔 것을 <勞績(露積)가리> 라 한다

衣裳稜線 鳳(衣裳 湧出 溶血 蒸炊 蘿月 羅漢 文殊) [ 編輯 ]

衣裳稜線
御營廳이 擔當
  • 의상봉(義相峰,501.5) : 新羅時代 義湘大師가 數도 했다는 傳說이 傳해져 붙여 짐
  • 湧出鳳(龍出峰,571) : 용이 솟아 오르듯 뾰족하여 이름 붙임
  • 溶血鳳(龍穴峰,581) : 北漢山城을 築成한 後에 봉우리 이름을 붙일 때 龍에 關한 이름이 많이 붙여짐
  • 蒸炊鳳(甑炊峰,593) : 增俸(甑峰:시루봉)에서 變하여, 시루가 불타는 봉우리(甑炊峰)란 뜻
  • 나월봉(蘿月峰,688) : 高麗時代 開城 天摩山 나월봉에서 由來. 생긴 봉우리가 달模樣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짐
  • 羅漢峯(羅漢峰,715.5) : 문수사 天然洞窟의 五百羅漢에서 由來 (보현봉과 文繡峯에 連이어 佛敎用語에서 由來
  • 文繡峯(文殊峰,727) : 봉우리 아래에 位置한 문수사에서 由來(문수사 : 高麗 睿宗 坦然(坦然)李 세움)
  • 보현봉(普賢峰,722) : 普賢菩薩에서 나온 것으로 文繡峯과 나란히 하고 있음

山城主稜線 10峯(日出 月出 기룡 蟠龍 詩壇 덕장 福德 성덕 畫龍 潛龍) [ 編輯 ]

主稜線
禁衛營 擔當 (北漢山城 祝聖(1711年)以後 主로 "龍"字를 붙여 鳳이름을 만듬)
  • 日出峯(日出峰) 617 : 월출봉 (月出峰) 600 : 해와 달을 나란히 이름 붙임
  • 基龍鳳(起龍峰) 588 : 反龍鳳 (盤龍峰) 583 : 용이 起牀하는 모습과 웅트림 트고 있는 形象을 描寫한 봉우리
  • 時丹鳳(柴丹峰) 607 : 해돋이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해몰이(紫霞:자하)와 反對
  • 德長棒(德藏峰) 586 : 福德鳳 (福德峰) 594 : 모든 봉우리가 邑(人事)을 하는 形象이란 뜻의 봉우리. 가운데 大同門(舊 소동문)이 있다.
  • 석가봉(釋迦峰) 598 : 現 칼바위 稜線. 佛敎用語와 關聯된 봉우리 이름 석가봉은 문수사에서 由來됨
  • 성덕봉(聖德峰) 631 : 佛敎用語와 關聯된 봉우리 이름.
  • 火龍鳳(化龍峰) 644 : 잠龍鳳 (潛龍峰) 701 : 北漢山城 築城 以後 龍과 關聯된 봉우리 이름. 가운데 대성문(舊 大同門)이 있다.

山城 안 봉우리 (6峯) [ 編輯 ]

  • 기린봉 (麒麟峰) 472.1 : 山의 形勢가 麒麟을 닮았다 하여 기린봉이라 부른다. 頂上에 북장대가 있었다.
  • 將軍峯 (將軍峰) 431 : 高麗末 崔瑩將軍이 머물던 곳이라 하여 將軍峯이라 일컬음. 중흥사 西쪽(왼쪽)에 있다.
  • 等안峯 (登岸峰) 463 : 중흥사 後面에 있다.
  • 귀암봉 (龜巖峰) 520 : 거북이 바위가 있다고 하여 귀암봉이라 일컬음. 太古臺(現 천해대)가 있고 아래에 太古史, 옆(傍)에 봉성암이 있다.
  • 상원봉 (上元峰) 684 : 아래에 行宮(行宮)이 있다. 賃金이 머무르는 봉우리란 뜻의 상원봉이라 부른다.
  • 休암봉 (?巖峰) 594 : 올빼미 바위가 있다고 하여 휴암봉이라 부름. 休암봉 아래에 부왕사(扶旺寺)가 있다.

酸性 밖 봉우리 [ 編輯 ]

  • 족두리鳳(鷲峰, 367.3) : 예전엔 守理峯(鷲峰:취봉)이라 부름. 멀리서 보면 마치 족두리 같다고 하여 最近에 붙여짐
  • 香爐峯(香爐峰, 527.4) : 湯춘大姓 方向에서 바라보면 香爐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짐. 향림사 뒤에 있어 향림사 后蜂이라 불림
  • 관봉(冠峰) : 갓바위라 하여 관봉이라 函. 불암(佛巖:부처바위)라고도 函. 향림사 위에 있어 향림사 後代라 부름.
  • 비봉(碑峰,560.3) : 新羅 眞興王이 부아악(高麗時代 三角山, 現 北韓産)을 國境으로 삼는다는 巡狩碑(巡狩碑)가 있음
  • 勝가봉(僧伽峰) : 僧伽寺에서 由來 됨(승가사 : 新羅 景德王 15年에 受胎스님이 創建함)
  • 私募바위 : 紗帽冠帶의 私募(絲帽)에서 由來
    私募바위
  • 석가봉(釋迦峰, 598) : 문수사에서 由來. 釋迦牟尼 文殊菩薩 普賢菩薩 3佛像을 의미함. 現在 칼바위稜線으로 부르고 있음
  • 형제봉(兄弟峰,462.2 三角測定地點) : 두봉우리의 높이가 엇 비슷하고 연이어 있다하여 붙여짐
  • 영봉(靈峰,604) : 山을 타다 떠난 목숨을 기리는 곳, 卽, 영(靈)李 머무는 봉우리
  • 令狀鳳(545m) : 網雲峰(望雲峰) 또는 염장鳳이라고도 부름
  • 沙器膜鳳(555m) : 沙器膜 稜線 가운데 위에 있음. 頂上에 山불監視카메라가 設置됨
  • 숨은봉(768m) : 1970年 高麗大 OB 山岳會가 숨隱僻(Hidden Face) 巖壁코스를 開發하여 숨은벽이라 命名. 그 頂上을 숨은봉이라 한다.
  • 파랑새鳳(710m) : 파랑새稜線 頂上에 있음, 將軍峯이라고도 부름. 파랑새稜線은 파랑새 山岳會에서 코스를 開發하여 命名.
  • 이 外에도 시루봉, 상장봉, 문필봉, 鷹峯(332.9m)等이 있다.

北漢山 溪谷 [ 編輯 ]

  • 장춘동 溪谷 (長春洞) : 水門 에서 보리社까지
  • 옥류동 溪谷 (玉流洞) : 보리社에서 만경봉 아래까지
  • 청계동 溪谷 (淸溪洞) : 보리社에서 法勇士 앞까지
  • 老赤銅 溪谷 (露積洞) : 法勇士에서 勞績社 아래까지(진국교)
  • 영천동 溪谷 (靈泉洞) : 眞國校에서 露積峯 永川窟까지
  • 백운동 溪谷 (白雲洞) : 眞國校에서 龍學士 갈림길까지 / 朝鮮 時代 에는 巖盤에 '백운동門'이라고 글字를 새김
  • 중흥동 溪谷 (重興洞) : 龍學士 갈림길에서 중흥사 앞까지
  • 虯龍桐 溪谷 (叫龍洞) : 중흥동 溪谷 위에서 월출봉 아래에 있음
  • 용계동 溪谷 (龍溪洞) : 중흥동 溪谷 위에서 日出峯 아래에 있음
  • 용암동 溪谷 (龍巖洞) : 중흥동 溪谷 위에서 용암봉 아래에 있음
  • 銀煽動 溪谷 (隱仙洞) : 중흥동 溪谷 위에서 만경봉 아래에 있음
  • 潛龍桐 溪谷 (潛龍洞) : 潛龍峯에서 중흥동까지(대남문에서 중흥사앞까지)
  • 용유동 溪谷 (龍遊洞) : 蒸炊鳳 아래에서 法勇士 갈림길까지
  • 紫霞洞 溪谷 (紫霞洞) : 유선대 아래에 있음. 학현에서 發源 / "저녁노을이 지는 溪谷"이라는 뜻.
  • 不왕동 溪谷 (扶旺洞) : 부왕사(扶旺寺)에서 龍學士 갈림길까지. 現在는 靑河東이라 부름
  • 不왕동 溪谷 (扶王洞) : 父王동암門(扶王洞暗門)에서 삼천사까지
  • 청수동 溪谷 (淸水洞) : 청수동暗門(淸水洞暗門:現 家事當暗門)에서 白花蛇(中骨)까지
  • 청수동 溪谷 (靑藪洞) : 釋迦縣(現 보국문)에서 정릉천 까지 / 現在는 '청수장'이라는 遊園地로 變貌
  • 淸潭洞 溪谷 (淸潭洞) : 現 사기막골 溪谷. 출렁다리에서 창릉천까지

北漢山 橋梁 [ 編輯 ]

  • 白雲橋(白雲橋) - 보리社 앞에 있다(현 새마을校)
  • 靑雲橋(靑雲橋) - 法勇士 앞에 있다(현 法용교)
  • 강선교(降仙橋) - 勞績社 아래 있다(현 眞國交)
  • 鳳凰校(鳳凰橋) - 여기淡 아래 있다 (없어짐)
  • 환宣敎(喚仙橋) - 反龍潭 아래 父王棟入口에 있다 (現 돌다리)
  • 言룡교(偃龍橋) - 航海루[현 산영루] 아래에 있다 (없어짐)

北漢山 墩臺 [ 編輯 ]

  • 의상대(義相臺) - 의상봉 아래에 있다.
  • 元曉對(元曉臺) - 원효봉 아래에 있다.
  • 邀招대(瑤草臺) - 元曉對 아래에 있다.
  • 太古臺(太古臺) - 귀암봉 아래에 있다. (現 千해대)
  • 所要臺(逍遙臺) - 東將臺 옆쪽에 있다. (時丹鳳 옆쪽, 591.8m)
  • 法王臺(法王臺) - 보국사 南쪽에 있다.
  • 곡룡대(曲龍臺) - 보광사 왼쪽에 있다.
  • 유선대(遊仙臺) - 부왕사 앞쪽에 있다. (休암봉 아래)

北漢山 施設 [ 編輯 ]

北漢山 둘레길 [ 編輯 ]

最近에 智異山 둘레길, 濟州道 올레길, 변산 마실길 等 다양한 類型의 걷기 探訪 코스가 생겨남에 따라 北韓産 國立公園 內에도 이와 같은 外部 探訪需要에 발맞추어 다양한 國立公園 探訪인프라 構築의 必要性이 擡頭됨에 따라 北韓産 低地帶 자락을 連結하는 北韓産둘레길을 造成하여 2010年 8月 末에 이中 北韓産(서울市 區間)을 開放하게 되었다.

갤러리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國立公園 管理公團” . 2010年 7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9月 14日에 確認함 .  
  2. 글로벌 稅契對百科 》〈 北韓産 國立公園

外部 링크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