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 民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南道民謠 에서 넘어옴)

韓國 民謠 (韓國民謠)는 예로부터 韓國 民衆 들 사이에서 불려오는 노래를 말한다.

槪要 [ 編輯 ]

作詞者와 作曲家가 따로 없이 언제부터인가 불려오기 始作하여, 民衆들의 입과 입을 거쳐 내려오는 동안에 그들의 思想·生活·感情에서 우러나온 社說들이 담기고 土俗的인 가락으로 불리게 되었다. 韓國民謠는 大槪 같은 가락의 社說을 1節, 2절하고 바꿔 부르는 章節形式(章節形式)이 많고, 흔히 後斂이 붙는다. 韓國民謠는 傳播(轉播) 程度와 音樂的 洗練度에 따라 土俗民謠(土俗民謠)와 唱民謠(唱民謠)로 區分할 수 있고, 불리는 地方에 따라 南道民謠·經書民謠(京西民謠) 等 地方的으로 分類할 수 있다.

專門性에 따른 區分 [ 編輯 ]

土俗 民謠 [ 編輯 ]

土俗民謠 (土俗民謠)는 어느 局限된 地方에서 불리는 매우 素朴한 民謠로, 社說이나 가락이 極히 素朴하고 鄕土的이다. 特히 地域的인 差異가 甚하여 고개 하나 내 하나 건너도 가락이 달라지는 것이 特徵이다. 大槪 勞動謠(勞動謠)·婦女요(婦女謠)·童謠(童謠) 等에 많은데 例를 들면 慶尙道 모내기·全羅道 김매기·濟州島 海女노래·慶尙道 메나리·各 脂肪 喪輿소리 等을 들 수 있다.

通俗 民謠 [ 編輯 ]

通俗民謠 (通俗民謠)民謠는 流行民謠, 또는 藝術民謠라고도 불리며, 그 起源은 土俗民謠에 있으나 專門 소리꾼들에 依하여 音樂的으로 세련되고 다채롭게 發展하여 大衆에게 널리 알려진 民謠를 말한다. 唱民謠의 社說은 옛 始球(詩句)나 中國 枯死(故事)를 引用하거나 常套的인 內容이 많고, 가락은 章節(章節)마다 달리 變奏되는 것이 많다. 例를 들면 全羅道 六字배기 ·平安道 愁心歌 ·京畿道 倡夫타령 ·南道의 성주풀이 等이다.

地方에 따른 區分 [ 編輯 ]

韓國의 唱民謠는 地方마다 가락이 다르므로 가락의 差異에 依해서 民謠가 分類된다. 크게 나누면 經書도 民謠(京西道民謠)와 南道民謠(南道民謠)로 나뉘고, 經書도 民謠는 京畿 民謠와 西道 民謠로 나뉜다. 濟州島는 따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다시 行政區域과 비슷하게 各 道 民謠로 細分하기도 한다.

京畿道 民謠 [ 編輯 ]

서울을 中心으로 京畿道와 그 周邊에서 불리는 民謠. 長湍은 굿거리·自進타령·세마치 等이 쓰인다. 가락은 全音 5音階로 되었고 比較的 音의 偏重이 적다. 솔(Sol)로 마치는 倡夫타령型(倡夫打令型), 라(La)로 마치는 漢江水타령, 도(Do)로 마치는 景福宮타령型이 있다. 京畿民謠는 大槪 흥겹고 구성지고 輕快하다. 民謠의 種類로는 노랫가락·倡夫타령·離別歌·靑春歌·도라지타령·사발歌·베틀歌·五峯山타령·오돌또기·楊柳歌·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陽山道·漢江水타령·景福宮타령·開城난봉歌·늴리리야·군밤타령·는실타령·건드렁타령·아리랑·긴아리랑·靑春歌·노들江邊 等이며, 代表的인 것은 倡夫타령과 방아타령이다.

忠淸道 民謠 [ 編輯 ]

忠淸道에서 불리는 唱民謠는 京畿道 民謠를 부르거나 全羅道 或은 江原道 民謠를 부르기 때문에 忠淸道 唱民謠가 따로 없다. 京畿흥타령이 첫마루 社說에 天安三거리라는 地名이 나온다 하여 忠淸道 民謠로 알려진 것 같다.

平安道 民謠 [ 編輯 ]

平安道에서 불리는 民謠는 社說이 길고 後斂이 없어서 雜歌와 같이 된 것이 많고(예: 愁心歌, 배따라기), 自由리듬이나 不規則장단으로 된 것이 많다(예: 愁心歌, 배따라기, 긴아리랑). 한便 짧은 社說에 固定장단으로 된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도드리 장단이 쓰인다. 가락은 愁心歌型(愁心歌型)으로 되었다. 널리 알려진 平安道 民謠는 愁心歌·배따라기·자진배따라기가 있다.

黃海道 民謠 [ 編輯 ]

黃海道에서 불리는 民謠들은 중모리 장단, 빠른 것은 自進굿거리 장단으로 친다. 가락은 愁心歌型이 많으나 목 構成이 다르고 어떤 것은 景氣도 景福宮타령이나 漢江水타령과 비슷한 데가 보이기도 한다. 平安道 民謠처럼 悽絶하지 않고, 보다 밝고 抒情的이며, 한便 구성진 가락도 보인다. 山念佛·자진念佛·긴난봉歌·자진난봉歌·沙里院난봉歌·病身난봉歌·夢金浦타령·數千난봉歌 等이 있다. 山念佛, 긴난봉歌가 代表的이라 하겠다.

江原道 民謠 [ 編輯 ]

江原道에서 불리는 民謠 中에서 널리 알려진 것은 江原道 民謠·旌善아리랑·한五百年 等이다. 이 세 民謠들은 모두 아리랑과 關係가 있는 民謠인 것으로 봐서, 角度에 흩어진 아리랑 民謠들의 原形이 江原道 民謠에 나왔다고 하겠다. 江原道 民謠에는 5泊 장단(江原道아리랑)·세마치(旌善아리랑)·중모리(한五百年)가 있지만, 어느 것이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가락은 이른바 메나리調 로 되었고, 느린가락은 퍽 哀切한 느낌을 준다.

咸鏡道 民謠 [ 編輯 ]

咸鏡道에서 불리는 民謠 中에서 널리 알려진 것은 신고산타령·哀怨聲·宮綃댕기 等이다. 咸鏡道 民謠 가락은 江原道 民謠 가락과 비슷하다. 江原道 民謠는 느린가락으로, 哀切한 가락이 많으나, 咸鏡道 民謠는 比較的 빨라서 哀切한 中에도 거세게 들린다. 장단은 볶는타령(신고산타령) 或은 잦은 굿거리(哀怨聲)가 쓰인다. 旋律은 江原道 메나리調와 비슷하나 音 組織과 시김새가 좀 다르다

慶尙道 民謠 [ 編輯 ]

慶尙道 地方에서 불리는 土俗民謠는 江原道와 같이 느린 것도 있으나(메나리, 樵夫歌) 大槪는 빠른 가락이 많다. 세마치(密陽아리랑)·굿거리(骨牌타령)·굿거리(쾌지나칭칭) 等이 쓰인다. 가락은 江原道와 같이 메나리調 로 되었으나, 빠른 가락으로 된 것들은 슬픈 느낌보다 오히려 씩씩하고 꿋꿋하다. 慶尙道 地方에서 널리 알려진 唱民謠는 密陽아리랑·蔚山아가씨·쾌지나칭칭·뱃노래·튀전타령·骨牌타령·담바구타령 等이 있다. 土俗民謠로 메나리, 樵夫歌 따위가 알려졌고, 近來에는 이 地方 土俗民謠가 開發되어 보리打作·尙州모내기·統營개타령 따위가 알려졌다. 성주풀이는 慶尙道 民謠로 치나 根源은 다른 데에 있는 것 같다.

全羅道 民謠 [ 編輯 ]

全羅道에서 불리는 民謠들은 土俗民謠와 唱民謠가 가락이 다른 것이 많다. 唱民謠들은 旋律이 거의가 이른바 六字배기型인데, 土俗民謠는 六字배기型이 아닌 것들이 많이 있어서 注目을 끈다. 唱民謠의 장단들은 중모리(흥타령·긴農夫歌), 중중모리-굿거리(개구리타령·自進農夫)가 가장 많다고 하며, 진양(六字배기)과 자진모리(까투리타령)도 있다. 느린 가락으로 된 民謠는 슬픈 느낌을 준다. 빠른 가락으로 된 民謠는 구성지고 멋스럽다.

濟州島 民謠 [ 編輯 ]

濟州島에서는 수많은 民謠가 不利되 大部分이 土俗民謠이다. 濟州島에서 불리는 唱民謠 中에서 널리 알려진 것은 오돌또기와 이야홍타령이다. 濟州道 土俗民謠는 自由리듬이 많고, 굿거리 장단과 같은 固定 리듬도 있다. 가락은 大槪 레로 마치는 것이 많다.

地域에 따른 區分 [ 編輯 ]

京畿民謠 [ 編輯 ]

서울, 京畿, 忠淸 地域에서 불리던 民謠를 京畿民謠라 하며, 大體로 音色이 맑고 부드러우며 抒情的이다. 京畿民謠에서 使用되는 토리는 경토리이다. 솔, 라, 도, 레, 美의 5音 音階를 使用한다. 대표곡으로 아리랑 , 天安三거리 , 군밤타령 , 景福宮 타령 , 倡夫타령 等이 있다.

西道民謠 [ 編輯 ]

黃海道, 平安道에서 불리던 民謠를 西道 民謠라 한다. 콧소리를 섞어 부르며, 哀愁的이고 感傷的이다. 愁心歌토리이며 레, 美, 솔, 라, 度의 5音 音階를 使用한다. 山念佛, 긴아리, 자진아리, 愁心歌 , 싸름 等이 代表曲이다.

東部民謠 [ 編輯 ]

咸鏡道, 江原道, 慶尙道 地域에서 불리던 民謠를 東部民謠 라 한다. 東部民謠의 特徵은 '咸鏡道와 江原道'는 恨歎調, 歎息調가 많고, '慶尙道'는 輕快하며 빠른 曲調의 曲이 많다. 메나리토리 를 使用한다. 美, 솔, 라, 도, 레의 5音 音階를 使用한다. 密陽아리랑 , 쾌지나칭칭나네 , 한五百年 , 江原道아리랑 , 旌善아리랑 等이 代表的이다.

南道民謠 [ 編輯 ]

南道 地域의 民謠를 가리키며, 굵은 목을 使用하여 굵게 떨거나, 꺾는 音 等의 시김새를 使用한다. 六字배기 토리이다. 美, 라, 市의 3音 音階를 使用한다. 대표곡으로 새타령 , 六字배기 , 자진六字배기 , 農夫가 , 珍島아리랑 等이 있다.

濟州島 民謠 [ 編輯 ]

濟州島 方言을 使用하여 異國的인 느낌이다. 特定 토리는 없다. 대표곡으로 이어도사나 , 이야홍타령 , 오돌또기 , 너靈나영 等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