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第1次 니케아 公議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第1次 니케아 公議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니케아 公議會 이콘

니케아 公議會 ( 英語 : First Council of Nicaea , 라틴語 : Concilium Nicaenum Primum )는 325年 5月 20日 니케아 ( Nicaea , 現在 튀르키예 이즈니크 ) 콘스탄티누스 1歲 의 니케아 別宮에서 열린 基督敎 公議會 다. 復活節 三位一體 等 論議했으며, 니케아 神經 을 採擇하여 아리우스파 를 異端으로 淨罪하면서 普遍敎會 (公敎會)의 政治的 外延을 擴大했다.

使徒行傳 예루살렘 公議會 以後 基督敎 最初 公議會로 認定받고 있다. [1]

動機 [ 編輯 ]

콘스탄티누스 1歲 는 政治的으로는 하나지만, 神學的으로 갈라진 로마 帝國의 統一과 和合을 위하여 基督敎 의 團結이 重要했다. 그러나 當時의 敎會 內部에는 많은 敎理의 對立이 있어 收拾이 곤란하였기 때문에 [1] 이 對立을 끝내기 위해 비티니아의 니케아에서 主敎들을 召集하였다.

  • 整理되지 않은 基督敎의 敎理 體系化
  • 예수를 被造物이라고 主張하는 아리우스 와 反對者인 아타나시우스 와의 敎理 對立

參席者 [ 編輯 ]

필립 샤프 는 로마 帝國의 모든 主敎가 적어도 1,800名(그리스 屬州는 1,000名, 라틴 屬州는 800名)이며, 參席한 主敎들 外에 司祭들과 報祭들, 그리고 다른 隨行員들을 包含하면, 그 數는 大略 1,500名에서 2,000名 사이에 이르렀을 것으로 推定했다. [2] 公議會에 參席한 케사리兒의 에브歲비오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스 , 안티오키아의 에프스타티오스 는 各各 250名 [3] , 318名 [4] , 約 270名 [5] 으로 推算했다. 에바그리오스 [6] 이에로니모스 [7] . 壘피누스 [8] 또한 318名으로 記錄했으며, 테오道레토스 는 同一한 言及을 한다. [9] 소크라티스 는 300名 以上이라고 했다. [10]

公議會에는 壓倒的으로 많은 東方 敎會의 主敎들이 參席했다. 反面 西方 敎會에는 單 7名의 主敎가 參席했는 데, 이들은 코르도바의 호시우스 , 디종의 니카시우스 , 카르타고의 카이실리아누스 , 스트리度의 돔누스, 밀라노의 유스토機우스, 칼라브리아의 마르쿠스이며, 年老한 로마의 실베스테르 를 代身해 비투스와 빈첸十우스가 代理로 派遣되었다. [2]

參席한 大主敎는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로스 안티오키아의 에프스타티오스 였으며 [11] , 두드러진 主敎들은 니코메디아의 에브歲비오스 케사리兒의 에브歲비오스 , 예루살렘의 마카리오스 [11] , 아르메니아의 아리스타케스 , 니시비스의 야코보스 [9] , 라리사의 아힐리오스 , 스피리돈 , 고트족의 테오필로스 , 江그라의 이파티오스 , 네오케사리兒의 파울로스 [9] , 니케아의 테오그니스 , 사르디카의 프로토게네스, 페르시아의 요한, 피티우스의 스타土筆리오스, 프톨레마이의 歲쿤두스 等 이었다. 알렉산드로스 大主敎와 함께 同行한 報祭 中에는 後날에 알렉산드리아의 總大主敎가 되는 아타나시오스 도 있었다. [11] 비잔티온의 主敎 메트로파네스 의 代理者로 알렉산드로스 가 參席했다고도 한다. [12] 또한 傳說에 따르면, 니콜라오스 는 니케아 公議會에 參席해야 한다. [13]

콘스탄티누스 大帝는 參席하는 主敎들에게 公共 輸送 手段과 輸送을 위한 말들을 支給했다. [14]

公議會는 코르도바의 호시우스가 主宰했다. [15]

公議會의 進行 [ 編輯 ]

콘스탄티누스 大帝의 開幕演說로 始作된 公議會에서 論爭者들은 그들의 見解를 提示하도록 許諾되자, 곧이어 猛烈한 論爭이 이어졌다. 會議 內容은 主로 아리우스 論爭, 卽 아버지인 하나님과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와의 關係가 어떠냐는 것이었다. 意思內容(議事內容)은 아버지와 아들을 다르게 보는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 와 아리우스파 主敎들, 아버지와 아들을 同質 로 보는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더 와 正統派 主敎들, 아버지와 아들을 類似 하다고 보는 카이사레이兒의 에우세비우스 와 오리게네스注意 中道派 主敎들로 나뉘어 論議되었는데, 難航을 거듭한 結果 아버지와 아들을 同質(호모禹시오스)로 보는 니케아 新潮(오늘날의 니케아 新潮와는 多少 다름)가 採擇되어 아버지와 아들을 痢疾로 보는 아리우스파의 指導者 아리우스를 異端으로 定罪하고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에게 黜敎의 警告를 주었다. [1]

니케아 新潮 [ 編輯 ]

니케아 公議會에서는 아래와 같은 告白門을 信仰告白門 으로 決定했다. 니케아 信條는 콘스탄티노폴리스 公議會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新潮 로 改正되었다.

  1. 한 분이신 하느님 아버지, 全能하시고, 類型하고 無形한 萬物의 創造主를 믿습니다.
  2. 그리고 한 분이신 主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외아들이시며,
    聲部에게서 나시어, 곧 아버지의 本質에서 나셨고,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이시며, 빛으로부터 나신 빛이시고,
    참 하느님에게서 나신 참 하느님이시니, 創造되지 않고 나시어, 聖父와 一切이시며,
    그분으로 말미암아 萬物이, 하늘이나 땅에 있는 것들이 創造되었음을 믿습니다.
  3. 그분은 우리 人間을 위하여, 우리의 救援을 위하여 내려오셔서,
    肉身을 取하시어, 사람이 되셨으며,
  4. 苦難을 받으시고, 사흘 만에 살아나시어, 하늘로 올라가셨으며,
  5. 산 이와 죽은 이들을 審判하러 오실 것을 믿습니다.
  6. 그리고 聖靈을 믿습니다.

公議會 規範 [ 編輯 ]

니케아 公議會에서 決定한 20個의 敎會 規範이다. [16] 다음은 그 要約이 飜譯된 것이다.

  1. 거세 를 當한 者는 聖職者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스스로를 去勢하는 者는 받아들여지지 않아야 한다.
  2. 異敎에서 온 者들은 卽時 司祭職 에 올라가지 못할 것이다. 일정한 時間의 豫備 期間 없이는 새 信者에게는 아무런 利點이 없다. 그러나 敍品을 받은 後에 그가 以前에 罪를 지은 것이 밝혀지면, 그 사람을 聖職에서 追放 것이다.
  3. 어머니, 누이, 그리고 疑心할 餘地가 없는 사람들 外에는 누구도 그의 집에 女子를 머물게 할 수 없다.
  4. 主敎의 任命은 그 大敎區의 모든 主敎 或은 적어도 세 名의 主敎의 同意를 받아야 하며, 나머지 主敎의 同意 書信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主敎의 任命은 大主敎의 認准을 받아야 한다.
  5. 主敎에 依해 波紋 된 者는 無氣力이나 不和, 또는 이와 類似한 原因의 結果가 아닌 限, 다른 主敎에 依해서 復歸될 수가 없다. 그리고 이 事項이 適切하게 遂行될 수 있도록, 每年 모든 管區에서 主敎會議 는 두 番, 四旬대재 前科 가을 前에 열려야 한다.
  6. 알렉산드리아의 主敎 이집트 , 리비아 , 펜타폴리스 에 對한 管轄權을 갖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로마 主敎 도 로마에 從屬된 곳의 管轄權을 갖는다. 안티오키아의 主敎 와 나머지도 그러하다. 누구든지 수도 大主敎의 判斷과 反對로 主敎가 된다면, 그는 主敎가 되지 못한다. 多數의 投票로 敎會法에 따른다면, 萬一 세 사람이 反對해도, 그들의 反對는 效力이 없다.
  7. 아일리아의 主敎 가 靈光받고, 수도 大主敎의 權利가 穩全히 保存되도록 하자.
  8. 카타리 라 불리는 者들이 오면, 그들이 먼저 기꺼이 再婚한 사람들과 친교하며, 墮落한 이들을 容恕하겠다고 告白하게 하자. 그리고 이 條件에 符合하고 偶然히 性品 을 받은 者들은 그 性品을 잇도록 해야 하며, 따라서 主敎는 如前히 主敎여야 한다. 누구든지 카타리파 가운데 主敎인 사람은 시골 主敎 (Chorepiscopus)가 되거나 司祭와 主敎의 榮光을 누리게 하자. 한 敎會에 두 名의 主敎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9. 審査 없이 敍品을 받은 사람은 나중에 罪가 있음이 밝혀지면 免職된다.
  10. 누구든지 意識的이건 無意識的이건 墮落한 이는 敍品을 받은 자이든 敍品을 베푼 자이든 免職되어야 한다.
  11. 不得已하게 墮落한 者는 비록 免罪함이 合當치 아니하여도 一部 免罪가 주어질 것이며 열두 해 동안 悔改 해야 한다.
  12. 暴力을 견디고 抵抗한 것이 드러났다가, 나중에 악에 屈服하여 다시 軍隊로 돌아가는 者는 10年 동안 波紋을 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境遇에서 그들이 懺悔 하는 方式을 徹底히 調査받아야 한다. 그리고 懺悔하는 사람이 그 實踐에 熱誠을 보인다면, 主敎는 그가 冷淡하거나 無關心했던 것보다 더 寬大하게 對해야 한다.
  13. 安息을 앞둔 者는 領聖體 를 받는다. 그러나 그 사람이 健康해지면, 祈禱에 參與하는 사람에 屬해야 하며, 이들과만 함께 해야 한다.
  14. 豫備信者들 中 누구든지 3年 동안 墮落한 사람이 있다면, 듣는 者가 되어야 하며, 그 後에는 豫備信者들과 함께 祈禱해야 한다.
  15. 어떤 主敎나 私製, 報祭度 都市에서 都市로 갈 수가 없다. 萬一 이를 試圖할려고 할 境遇, 그는 敍品을 받은 都市로 보내져야 한다.
  16. 自身의 敎會를 버리고 떠난 長老나 副題는 다른 敎會에 들여질 수 없으며, 그들의 敎區로 돌려 보내져야 한다. 그러나 어느 主敎가 다른 敎會에 屬한 사람에게 그가 屬한 主敎의 承認 없이 敍品을 준다면, 그 序品이 取消되야 한다.
  17. 누구든지 高利貸金 을 받거나 150%를 받으면 敎會의 이 法令에 따라서, 쫒겨나고 免職되어야 한다.
  18. 補劑는 自身의 區域 안에 머물러야 한다. 補劑는 司祭에게 聖體聖血成事 를 베풀거나, 司祭 앞에서 聖體聖血 을 領할 수 없고, 그들과 同席을 하지 않아야 한다. 이 모든 것은 敎會 規範과 올바른 秩序에 違背되기 때문이다.
  19. 파울로스主義者 들은 다시 洗禮를 받아야 한다.
  20. 週日 五旬節 에는 무릎 꿇지 말고 서서 祈禱해야 한다.

公議會 結果 [ 編輯 ]

그러나 이 會議로 敎理 論爭이 解決된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 後에 더욱 激化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會議에 있어서 皇帝의 權力이 敎會 內의 問題에 介入하는 惡例(惡例)를 남긴 것은 注目할 만하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니케아 公會議, 《글로벌 世界 大百科》
  2. Schaff, Philip .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III, § 120. The Council of Nicaea, 325.”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3. Eusebius . Schaff, Philip , 編輯. “Vita Constantini, iii.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4. Athanasius . Schaff, Philip , 編輯. “Synodal Letter to the Bishops of Africa”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5. Theodoret . Schaff, Philip , 編輯. “The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odoret”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6. Evagrius Scholasticus, 《Ecclesiastical History》, Vol 2, XVIII.
  7. Jerome, 《Chronicle》.
  8. Rufinus, Ecclesiastical History, book 10,.
  9. Theodoret . Schaff, Philip , 編輯. “Theodoret, The Ecclesiastical History, I, VI.”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10. Socrates . Schaff, Philip , 編輯. “Socrates Scholasticus, The Ecclesiastical History, book I, VIII.”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11. Sozomen. “Sozomen, Ecclesiastical History, I, XVII.”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12. Smith, Isaac G. Wace, Henry; Piercy, William C., 編輯.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lexander, St., bishop of Byzantium.” . 《Wikisource》. John Murra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13. “Saint Nicholas” (英語). 2024年 2月 20日 . 2024年 3月 5日에 確認함 .  
  14. Eusebius . Schaff, Philip , 編輯. “Vita Constantini, iii.6”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8日에 確認함 .  
  15. “Nicaea, Council of” . Volume 19.  
  16. Percival, Henry R. Schaff, Philip; Wace, Henry, 編輯. “The Canons of the 318 Holy Fathers Assembled in the City of Nice, in Bithynia.”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4年 2月 9日에 確認함 .  

參考 資料 [ 編輯 ]

  • 알리스터 맥그래스, 그들은 어떻게 異端이 되었는가? p. 223
  • 간추린 敎會史, 世宗文化史, p.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