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뜩잖은 官職[이준식의 漢詩 한 수]〈249〉|東亞日報

마뜩잖은 官職[이준식의 漢詩 한 수]〈249〉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1日 23時 18分


코멘트
下西魏(河西尉)를 맡지 않은 건, 凄凉하게 허리를 굽혀야 하기 때문이었지.
늙은이라 奔走히 오가는 게 걱정스러웠는데, 律賦(率府)의 일은 그런대로 한가롭지.
술 즐기려면 적은 祿俸이나마 꼭 있어야 하고, 거리낌없이 노래하려면 이 調整에 기댈 수밖에.
故鄕으로 돌아갈 꿈 사그라진 只今, 고개 돌려 狂風을 마주하네.

(不作河西尉, 凄凉爲折腰. 老夫?趨走, 率府且逍遙. 耽酒須微祿, 狂歌托聖朝. 故山歸興盡, 回首向風飇.)

―‘官職을 定한 後 재미 삼아 보내다(관정후희증·官定後戱贈)’두보(杜甫·712∼770)





官職을 向한 杜甫의 執念은 切迫했다. 두 次例 過去에 失敗한 後 玄宗에게 自身의 才能을 어필하는 文章을 세 次例나 올렸고, 그마저도 如意치 않자 勢道家나 그 側近에게 自身을 薦擧하는 詩를 줄기차게 보냈다. 自己 才能을 誇示함과 同時에 相對를 치켜세우는 稱頌 爲主로 內容을 채우려다 보니 한량없이 긴 長詩가 되기 일쑤였다. 無數히 올린 自薦(自薦)의 詩가 奏效했던지 마침내 坐像 位犬소(韋見素)가 그를 河西 顯位(縣尉)로 薦擧했다.

하나 詩人은 이를 拒絶하고 代身 律賦의 主潮參軍(?曹??) 자리를 받아들였다. 왜 그랬을까. 現位는 上官 接待하느라 굽신거려야 하고 늙은 몸으로 一線에서 바삐 움직여야 하는 데 비해 主潮參軍은 武器庫나 官衙 出入門을 管理하는, ‘그런대로 閑暇로운’ 職責이었기 때문이다. 當時 그의 나이 마흔넷. 늙음을 내세운 건 아무래도 억지 구실인 듯하다. 白面書生의 物情 모르는 트집 같기도 하고, 要職을 얻을까 하는 높은 期待値에 對한 失望感人 듯도 싶다. 時制에 ‘재미 삼아 보내다’라고 한 건 바로 이런 複合的인 審査를 自嘲的으로 내뱉은 反語가 아닌가 싶다. 이런 鬱寂함을 달래기 위해서였을까. 自虐이라도 하듯 詩人은 只今 狂風에 自身을 내맡기고 있다.

이준식 成均館大 名譽敎授
#官職 #杜甫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