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가 더 목마를까[서광원의 自然과 삶]〈56〉|東亞日報

누가 더 목마를까[서광원의 自然과 삶]〈56〉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6月 23日 03時 00分


코멘트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서광원 人間自然生命力硏究所長
우리는 沙漠이라고 하면 딱 한 가지만 떠올린다. 그 무엇도 살 수 없는, 뜨거운 太陽 아래의 荒凉한 모래벌판. 하지만 꼭 그런 것도 아니다. 生命體들의 適應力이란 참 놀라워서, 이런 곳에서도 그 나름대로 잘 살아가는 生命體들이 있다. 살기 쉽진 않지만 바로 그렇기에 天敵이 거의 없는 이런 沙漠을 自身의 領域으로 만든 駱駝처럼 말이다.

말이 나온 김에 問題 하나를 내보겠다. 動物園에 있는 駱駝와 沙漠에 사는 駱駝 中, 어느 쪽이 더 渴症을 많이 느낄까? ‘當然히’ 이글거리는 太陽에 시달려야 하는 沙漠의 駱駝가 아니겠는가 싶겠지만, 아니다. 같은 條件이라면 動物園 낙타들이 相對的으로 더 渴症을 느낀다. ‘當然한’ 理由가 있다.

駱駝는 沙漠에 適應하기 위해 여느 生命體들과는 다른 生存 方式을 導入했다. 우리는 우리가 攝取한 地方을 온몸 골고루, 特히 배와 허리 附近에 貯藏하지만, 駱駝는 우리와 달리 地方을 한곳에 모아 保管한다. ‘保管 倉庫’를 따로 둔 것이다. 駱駝 하면 생각나는 等의 혹이 그곳이다.

이 ‘保管 倉庫’는 營養分뿐만 아니라 물까지 供給하는데, 地方 1g에서 0.8∼1.07g 程度의 물을 만들어 내니 ‘韓∼참 동안’ 물을 마시지 않아도 너끈하게 沙漠을 누빌 수 있다. 여기서 ‘韓∼참 동안’은 普通 한 달 하고도 折半인 45日쯤이나 되니 대단한 ‘倉庫’가 아닐 수 없다. 우리에게 或은 버리고 싶기만 한 짐을 뜻하지만, 駱駝의 或은 奧地를 探險하는 사람들이 지고 가는 生存 背囊과 같다. 地方을 한곳에 모아 놓아 皮膚엔 地方이 없으니 더위도 크게 느끼지 않는다.

그런데 왜 動物園에 있는 駱駝가 더 목말라할까? 혹에 있는 地方은 움직여야 分解되고 그래야 물도 생기는 까닭이다. 運動量이 적으면 물이 생겨나지 않으니 當然히 목이 마를 수밖에. 낙타들이 沙漠 適應力을 기를 때 끊임없이 움직여야 했기 때문에 가지게 된 特徵이다 보니 只今도 如前히 그러는 것이다.

움직이는 걸 삶의 基本으로 하는 건, 우리 人類 亦是 마찬가지다. 우리 人類의 旅程은 숲에서 나와 넓은 草原을 걷고 또 걸으면서 始作됐다. 只今 우리가 갖고 있는 많은 適應力 亦是 이 過程에서 얻은 것인데, 이런 까닭에 우리 亦是 繼續 움직여야 健康해진다. 걸으면 氣分이 좋아지는 엔도르핀까지 分泌된다.

다양한 硏究들이 말해주듯, 우리는 腦가 커서 걷게 된 게 아니다. 反對로, 걸었던 德分에 그 連鎖作用으로 腦가 커졌다. 最近 硏究에 依하면 걸을수록 過去와 멀어지고 未來로 나아가는 느낌이 精神 作用에까지 影響을 미친다. 過去에서 벗어나 肯定的인 생각을 하게 한다. 憂鬱症 患者들이 걷고 달리면 相當한 效果를 보는 게 이런 理由에서다. 그러니 틈나는 대로 걸어보자. 걷는다는 건, 單純히 앞으로 나아가는 게 아니라 未來로 나아가는 進取的인 움직임이니까.

서광원 人間自然生命力硏究所長


#沙漠 #太陽 #駱駝 #腦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