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도 約 못 먹는 視覺障礙人들[現場에서/김소영]|동아일보

아파도 約 못 먹는 視覺障礙人들[現場에서/김소영]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11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올바른 의약품 점자 표기는 시각장애인들의 약물 오남용을 막을 수 있다. 동아일보DB
올바른 醫藥品 點字 表記는 視覺障礙人들의 藥물 誤濫用을 막을 수 있다. 東亞日報DB
김소영 사회부 기자
김소영 社會部 記者
“ㅍ ; ㅋ.”

지난달 30日 서울 관악구 실로암視覺障礙人福祉館. 視覺障礙人 류재훈 氏(35)는 感氣藥 ‘판△’의 包裝容器에 적힌 點字를 이렇게 읽었다. 柳 氏는 “點字의 높이와 間隔이 標準 規格에 맞아야 읽을 수 있다. 이 點字는 무슨 글字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그는 20分 넘게 애썼지만 結局 고개를 저었다.

點字를 읽기 힘든 醫藥品은 이뿐만이 아니었다. 點譯矯正師(一般 文字를 點字로 飜譯하고 矯正하는 사람) 資格證이 있는 柳 氏와 製品 10個를 確認했다. 折半 以上 무슨 藥인지 알 수 없었다.

한 有名 軟膏도 마찬가지였다. 柳 氏는 “높이가 너무 낮아 무슨 藥인지 알고 읽어도 어렵다”며 갸우뚱했다. 한 鎭痛劑는 點字 위에 價格表를 붙여 한글인지 영문인지도 區分이 힘들었다.

아예 點字 表記가 없는 醫藥品도 相當하다. 視覺障礙人 조현영 氏(40)는 올해 初 化粧室 洗面臺에 부딪쳐 눈 周圍를 크게 다쳤다. 曺 氏는 “피가 나서 救急箱子를 열었지만 點字 表記가 없어 絆創膏를 찾지 못했다”고 했다. 지난해 韓國消費者院 調査에 따르면 調査 對象인 58個 醫藥品 가운데 42個(藥 72%)에 點字가 없었다.

이런 狀況은 危險한 狀況을 招來하기도 한다. 視覺障礙人 A 氏(42)는 “아들이 세 살 때 熱이 났는데 解熱劑 代身 멀미藥을 먹일 뻔한 적이 있다”고 속상해했다. A 氏는 머리가 아파 頭痛藥을 먹었는데 알고 보니 消化劑였던 經驗도 있다.

製造社 側은 “미처 視覺障礙人들의 不便을 認知하지 못했다”며 改善을 約束했다. 食品醫藥品安全處 關係者는 “點字 위에 價格 스티커가 붙어 認識에 어려움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대한약사회에 協助를 要請하겠다”고 했다.

製藥會社나 藥師만 탓할 일은 아니다. 現行 藥事法上 醫藥品 點字 表記는 義務가 아니다. ‘醫藥品 等의 安全에 對한 規則’에서 권고만 하고 있다. 19, 20代 國會에서 點字 表記 義務化를 담은 藥事法 改正案이 發議됐지만 國會 任期 滿了로 廢棄됐다. 現在 21代 國會에서 視覺障礙人인 國民의힘 金睿智 議員이 代表로 改正案을 發議한 狀態다.

海外는 어떨까. 유럽聯合(EU)은 點字 表記 義務化뿐 아니라 標準 規格도 잘 지켜 藥물 誤濫用을 줄인다. 이연주 韓國視覺障礙人聯合會 政策팀長은 “제대로 된 點者 表記는 障礙人 福祉의 窮極的 目標인 ‘自立’과 이어진다”며 “障礙人이 獨立的 人格體로 살 수 있는 環境을 만드는 重要한 일”이라고 했다.

4日은 ‘點字의 날’이다. ‘視覺障礙人의 世宗大王’이라 불리는 송암 박두성 先生(1888∼1963)李 1926年 한글 點字를 創案해 頒布했던 날이다. 몸이 아프면 藥을 꺼내 먹는 平凡한 일이 視覺障礙人에게도 ‘日常’李 되도록 한 番 더 돌아보고 制度를 補完할 때다.

김소영 社會部 記者 ksy@donga.com
#約 #視覺障礙人 #點字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