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正’ 찾는 靑年이 ‘더 살만한 世上’ 만든다|신동아

‘公正’ 찾는 靑年이 ‘더 살만한 世上’ 만든다

生存競爭 익숙한 靑年들, ‘公正한 사다리’는 唯一 希望

  • 김민섭 ‘當身이 잘되면 좋겠습니다’ 作家

    3091201lin@gmail.com

    入力 2021-08-10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競爭을 欲望하는 이는 없어

    • 成功 아닌 生存 위한 競爭

    • 모두가 各自의 사다리를 찾는다

    • 靑年世代 願하는 건 公正한 사다리

    • SNS에서 發見한 ‘公正한 善함’

    • 旣成世代, 靑年 非難하기 前에 未安해해

     청년들은 성공이 아닌 생존을 위해 계층 사다리를 찾는다. [GettyImage]

    靑年들은 成功이 아닌 生存을 위해 階層 사다리를 찾는다. [GettyImage]

    ‘公正’이라는 價値는 靑年世代, 特히 20代 사이에서 重要하게 여겨진다. 旣成世代는 이런 態度를 보고 “公正性에 埋沒”됐다고 하거나 그들을 “競爭밖에 모르는 世代”로 規定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은 어느 瞬間 갑자기 誕生한 新(新)種族이 아니다. 그들을 非難하기는 쉽지만 理解하기는 어렵다. 20代를 둘러싼 社會構造를 認識하기란 더욱 까다롭다. 나는 한때 大學에서 國文學을 가르치는 時間講師로, 現在 作家로 일하며 10·20臺와 만날 機會가 있었다. 그러면서 어렴풋하게나마 그들의 工程에 對한 熱烈한 支持와 敏感度를 理解하게 됐다. 그 經驗을 나누어보고자 한다.

    成功 아닌 生存 위한 競爭

    始作은 高等學生을 만난 이야기다. 몇 年 前 仁川 江華女高에 講演하러 간 일이 있다. ‘훈의 時代’라는 冊을 쓰고 있을 즈음이어서, 敎室 뒤에 붙어 있는 여러 勳(訓)을 ‘스스로를 規定한 言語’로 認識하고 바꿔나가는 作業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자 學生들이 저마다 손을 들고 “저희는 直接 훈을 바꾸었어요”라고 자랑스럽게 答했다. 元來 强化女高 校歌 後斂句 家事는 “아, 女子다워라”가 反復됐는데, 學生들 要求와 提案으로 “아, 지혜로워라”로 바뀌었다고 한다. 나는 “正말 멋진 일”이라고 말해 줬다.

    어느 學生이 “그런데 學校 앞 바위는 언제쯤 치울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라고 添言했다. 學校 正門에는 果然 “女子다웁게”라는 글씨가 새겨진 큰 바위가 놓여 있었다. 몇 달 뒤, 强化女高는 그 바위 文句를 다시 새기게 된다. 이 亦是 學生들이 直接 이룬 成果다. 當時 學生들이 가장 많이 選擇한 文句였다고 하는 그것은 ‘流水不爭先(留守部爭先)’. 老子가 쓴 ‘道德經’에 登場하는 말로 ‘흐르는 물은 앞을 다투지 않는다’는 뜻이다.
    漢字로 새긴 그 文句는 오히려 前보다 더 固陋해 보였다. 나는 學生들을 理解하기 위해 애썼다. 그들은 自身들의 훈을, 自身들의 欲望을 學校 正門 앞에 展示할 수 있는 機會를 얻고서 왜 그런 選擇을 했을까. 그러다가 어느 瞬間, 그들이 “우리는 親舊와 競爭하고 싶지 않아요”라고 宣言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競爭을 欲望하는 사람은 別로 없을 것이다. 다만 내가 만난 學生들은 入試를 위해 다른 學生들과 끊임없이 競爭해야 한다는 事實을, 흐르는 물이 될 수 없고 繼續해 앞을 다투어야 한다는 事實을 잘 알고 있었다.

    過去에도 名門大에 進學하기란 어려운 일이었지만 적어도 旣成世代에게는 選擇의 問題였다. 名門大에 가지 않아도 다른 職業을 擇해 삶을 營爲할 수 있었다. 只今은 大學 타이틀 없이 살아가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入試와 就業이 매우 緊密히 連繫되고, 機械가 人間의 勞動을 代替해 나가고 있다. 靑年들은 아르바이트 求하기조차 어려워진 狀況에서 勞動市場에 進入하지 못한 채 基本所得을 받으며 살아갈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조금씩 받아들이고 있다. 成功이 아니라 生存을 위한, 以前과는 다른 方式의 競爭이 始作된 것이다.



    靑年들의 工程에 對한 支持와 關心은 이런 狀況에서 出發한 게 아닐까. 내가 처음으로 마주한, 高等學生들이 깊은 데서 길어 올린 單語는 競爭과 맞닿아 있었다. 그들을 둘러싼 構造가 競爭 속으로 學生들을 몰아넣었다는 데서 工程에 對한 이야기를 始作해야 한다고 믿는다.

    地方 캠퍼스 學生들의 ‘사다리 매달리기’

    두 番째 大學校 이야기다. 나는 某 大學校 地方 캠퍼스에 入學해 그곳에서 大學院 博士課程까지 修了했다. 2002年부터 2015年까지 14年間 나를 包含한 그곳 構成員들의 欲望을 보았다.

    나를 비롯한 地方 캠퍼스 靑年들은 세 部類에 屬한다. ①서울 캠퍼스로 가는 사다리에 오르려는, ②地方 캠퍼스에서 만족하려는, ③人生이 끝났다고 믿고 彷徨하는 이로 나뉜다. 時間이 지날수록 ①의 比率은 늘었던 것 같다. 내가 學部生이던 2000年代 初盤에는 서울 캠퍼스로 갈 方法이 세 가지 있었다. 二重專攻·複數專攻·副專攻이다. 二重專攻이나 副專攻은 相對的으로 쉽다. 選拔 人員이 넉넉하기 때문이다. 代身 卒業狀에 地方 캠퍼스 出身임이 明示되기에 ‘學閥 洗濯’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複數專攻의 境遇는 다르다. 서울 캠퍼스 卒業狀이 한 張 더, 그러니까 따로 나왔다. 말하자면 自己 所屬을 部分的으로나마 바꿀 수 있는 機會였다. 그렇게 서울 캠퍼스로 간 地方 캠퍼스 學生들은 서울 캠퍼스에만 있는 ‘그 學科’ 出身임을 어떤 式으로든 드러냈다. 내가 아는 地方 캠퍼스 人文分班 學生 中엔 ‘OO大學校 新聞放送學科’ 타이틀을 自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프로필로 걸어둔 이가 많다.

    2010年代 들어 ‘所屬 變更’이라는, 이름부터 露骨的인 制度가 생겼다. 아예 캠퍼스 所屬을 變更하는 것이다. 이를 노리고 大學入試에서 下向 支援을 하는 學生도 있었다. 그러나 所屬 變更은 正말로 좁은 사다리였다. 한 學科에서 1等이나 2等 程度만 所屬 變更 機會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나는 이 時期에 1學年 必須敎養科目人 ‘글쓰기’를 講義하면서 所屬變更을 하려는 學生 여럿과 만났다. 실로 優秀한 學生들이었다고 記憶한다. 그中 내가 본 成功 事例는 單 한 名에 그쳤다. 나를 찾아와 所屬 變更 自己紹介書를 添削해 달라고 付託한 學生이었다. “이 學生이 떨어진다면 이 制度는 意味가 없지 않은가” 싶었는데 그가 合格했다면서 感謝 文字를 보내왔다.

    그렇다고 ②와 ③類型 學生들이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이들이 大部分 選擇하는 사다리 中 하나는 公務員 試驗이다. 7級이나 9級 試驗 合格, 또는 地域人材典型을 통한 特採 公務員이 되기를 바랐다. 結局 모두 自身이 탈 수 있는 나름의 사다리가 있다. 거기에서 學生들은 慰安을 받았을 터.

    靑年들은 父母 財産이나 權力이 介入하지 않는 ‘公正한’ 사다리가 社會 곳곳에 存在하기를 願한다. 애初에 競爭조차 어려운 相對가 있다는 것을 그들도 안다. 代身 自己들의 리그에서 自身이 最大限의 努力을 기울여 거둘 수 있는 希望이 있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것은 敗者復活戰이기도 하고 밸런스를 맞춘 競爭이기도 하다. 서울 캠퍼스 學生들이 보기에 이것이 公正한 競爭이었는지는 잘 알 수 없다. 그들은 하나의 學校로 불리기를 拒否하거나 애初에 別로 神經 쓰지 않았던 것 같다. 自身 나름대로의 사다리를 타기 위해 바빳을 것이다.

    굳이 내 類型을 告白하자면 學部生 時節 내내 ①과 ② 사이에 있었다. 잘 되면 서울 캠퍼스로 가고 안 되면 남아 있고자 했다. 어쩌면 가장 흔한 類型이었다. 그러면서 느낀 點은 “내가 公正한 競爭에서 敗北한 經驗이 있으며, 이 狀態로 앞으로의 삶을 堪耐해야 한다”는 敗北意識 같은 무엇이었다. 서열화한 삶이 個人을 不幸하게 한다는 事實은 아주 나중에야 알았다.

    이 時期 나와 先後輩들은 序列 안에서만 主로 삶의 意味를 찾을 수 있었고, 그에 따라 ①과 ②類型을 往復하면서 조금이라도 더 괜찮은 사다리를 잡기 위해 애썼다. 그런 그 時期의 나를, 그리고 只今의 靑年들을 非難할 수는 없다. 序列主義에서 初演하기란 어렵다. 只今 進學과 就業에 이르는 公正한 사다리는 競爭 構圖에 익숙한 靑年世代에게 더 重要하다. 公正한 사다리라는 希望마저 사라진다면, 이제는 해묵어 버린 ‘노오력’이라는 單語조차 無常해졌다며 恨歎하게 될 것이다.

    假想世界에서 發見한 ‘公正한 善함’

    인스타그램에 ‘돈쭐(돈으로 혼쭐내 주다의 준말)’을 검색한 결과. 청년세대는 ‘돈쭐’의 방식으로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인스타그램 캡처]

    인스타그램에 ‘돈쭐(돈으로 혼쭐내 주다의 준말)’을 檢索한 結果. 靑年世代는 ‘돈쭐’의 方式으로 社會的 變化를 일으키고 있다. [인스타그램 캡처]

    마지막은 假想世界에 對해 말하고자 한다. 2021年을 살아가는 靑年들은 저마다 假想貨幣에 뛰어들었다. 20代가 特別히 勞動을 싫어한다거나 大舶을 노리는 한탕主義者들이어서는 아니다. 不動産은 그들이 낄 수 있는 리그가 아니다. 自身의 平生 所得으로도 서울에 집 한 채를 마련할 수 없게 된 그들이 選擇할 수 있는 唯一한 希望은 結局 假想 資産에 投資하는 것이다. 그 끝이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다. 最近 비트코인 價格이 暴落했고 해피엔딩으로 끝나지 않을 可能性이 커 보인다. 다만 나는 그들이 發見한 또 다른 假想世界에서의 希望을 言及하고 싶다.

    最近 SNS에서 만들어진 ‘돈쭐내다(돈으로 혼쭐내 주다)’라는 新造語를 보자. 兒童給食카드를 使用할 수밖에 없는 缺食兒童에게 無料로 밥을 내주는 食堂 主人, 가난한 兄弟에게 치킨을 줬다는 치킨집 主人, 氣候變化에 對處하려고 親環境 製品을 使用한다는 스타트업을 이들은 그냥 두지 않는다. 돈으로 혼쭐내 준다.

    方式은 이렇다. 팩트 체크를 해본 뒤 所聞이 事實로 밝혀지면 ‘座標’를 찍고 그 事實을 널리 알린다. 그리고 굳이 必要하지 않아도 物件을 購入하거나 配達 앱에서 決濟하며 “飮食은 配達해 주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남긴다. 他人의 善行을 외롭게 두지 않는다.

    靑年들은 自身들이 가진 連結의 힘을 잘 알고 있다. 過去처럼 어디에선가 旗발을 들고 그 아래 모여 같은 口號를 외치지 않아도, 自身들이 社會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旣成世代가 신봉해 온 連帶라는 價値는 이제 다음 世代에 이르러 ‘느슨한 方式의 連結’로 代替되고 있다.

    이 船艦이라는 價値의 基盤도 工程이다. 팩트 체크 過程에서 ‘돈쭐’의 對象이 ‘公正한 삶을 살아왔는가’를 함께 살핀다. 企劃된 것은 아닌지, 稅金은 잘 냈는지(불법 露店商이 아닌지)를 確認해 對象이 ‘돈쭐’ 洗禮를 받을 資格이 있는지 綿密히 檢證한다. 그 後에야 靑年들은 自身들이 잘되기를 바라는 對象에게 기꺼이 돈을 支拂한다.

    公正 찾는 靑年 德分에 살만한 世上 돼

    靑年들이 바라는 ‘잘됨’이란 ‘돈쭐’ 對象이 잘되는 일에만 그치지 않는다. 그 對象이 成功해 社會的 變化를 일으키고 다시 自身의 잘됨으로 이어질 거라는 믿음이 있을 때 비로소 그들은 움직인다. 善한 影響力이 公正한 方式으로 公共善에 寄與하리라 期待한다. 많은 旣成世代가 “아직 살만한 世上”을 말하지만 나는 이들 德分에 “이제 살만한 世上”李 될 수 있다는 마음을 가진다.

    얼마 前 工程에 對한 짧은 인터뷰를 하는 동안, 記者가 나에게 말했다. 自己가 만난 모든 敎授가 工程에 埋沒된 靑年世代에 對해 否定的인 立場이었다고. 그러나 그러기에는 너무 廉恥가 없지 않은가 싶다. 나를 비롯해 적어도 ‘旣成世代’에 編入될 만한 이들은, 靑年들에게 公正이라는 사다리를 唯一한 希望으로 여기는 社會를 만든 데 對해 于先 未安함을 느껴야 하지 않을까.

    #公正 #競爭 #사다리 #돈쭐내다 #新東亞


    김민섭
    ● 1983年生
    ● 社會文化評論家
    ● 著書: ‘나는 地方大 時間講師다’ ‘代理社會’ ‘훈의 時代’ 等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