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카베오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마카베오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카베오下 (共同飜譯), 마카베오機 下卷 (로마 카톨릭), 마카베오機 2卷 (東方正敎會)( 그리스어 : Μακκαβα?ων 마카베온 [ * ] , 히브리어 : ????? 마카비 , 英語 : Book of Maccabees )는 第2經典 中 하나로 안티오코스 4歲 에피파네스 에 對抗하여 일어난 마카비 革命 에 關한 內容이 담겨있다.

마카베오上 과 다르게 마카베오하는 코이네 그리스어 [1] 記錄했으며, 아마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2] 에서 紀元前 124年頃에 [3] 記錄했다고 推測한다. 마카베오上 첫 일곱章에서 다룬 歷史的 事件들에 關한 改訂版으로, 죽은 者를 위한 祈禱 , 最後의 審判 에서 죽은 者의 復活 바리새파 의 傳統에 關한 이야기를 追加했다. [3] 또한 商圈과는 다르게 이집트 에 사는 유대人들에게 보내는 便紙와 著者의 머리말 等이 실려있고, 紀元前 161年에 유대人의 英雄 유다 마카베오 셀레우코스 帝國 의 將軍 니街노르 를 무찌르는 이야기로 끝난다.

이 冊의 敎理的 內容 大部分을 受容하지 않는 유대人 改新敎 와는 다르게, 로마 가톨릭교회 東方 正敎會 는 情景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一部 基督敎徒들은 마카베오下卷을 畏敬 들 中 하나로 看做한다. 英國 聖公會 39個組 新潮 는 第6條에서 이 冊이 有用하나 敎理를 만드는데 適用해서는 안되며 舊怨 에 不必要한 冊이라고 말하고 있다. [4] [5]

著者 [ 編輯 ]

마카베오下衣 著者는 키레네 사람 야손 이 쓴 다섯 冊을 要約하여 한 卷으로 담는 것이 目的이라고 말하고 있으나(2장 19-23節), 原文이 消失된 關係로 얼마나 많은 部分이 重複되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序文, 에필로그, 그리고 良心에 對한 몇몇 部分은 野손이 아닌 著者가 直接 作成한 것으로 看做된다. 야손의 著作은 紀元前 100年 前後에 쓰여져, 니가노르의 敗北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마카베오下가 히브리어로 쓰였다는 證據가 없으므로 처음부터 헬라語로 쓰여졌을 可能性이 높다.

이 冊의 書頭에는 예루살렘 의 유대人들이 이집트 에 사는 디아스포라 유대人들에게 쓴 두篇의 便紙가 들어있다. 첫째 便紙와 둘째 便紙는 各各 聖殿淨化 와 니가노르의 敗北를 記念할 것을 勸하는 內容을 담고 있다. 萬一 마카베오下衣 著者가 이 두 便紙를 本文에 揷入한 것이라면, 이 冊은 둘째 便紙가 쓰여진 紀元前 124年 以後에 쓰여졌을 것이다. 實際로 一部 學者들을 除外하고선 이 便紙들을 著者가 揷入했을것이라는 立場을 維持하고 있다. 가톨릭 學者들은 마카베오下衣 連帶를 紀元前 2世紀 末葉으로, 유대人 學者들은 紀元前 1世紀 後半으로 推定하고 있다.

內容 [ 編輯 ]

유다 마카베오의 幻想 (1860),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 의 木版畫

마카베오上 과 다르게 마카베오하는 모든 事件을 完璧하게 記述하는 것을 目的으로 두지 않는다. 代身 大司祭(大祭司長) 誤니아스 3世와 셀레우코스 4歲 의 이야기(180 BC)부터 니가노르의 敗北(161 BC)까지의 이야기를 記述한다.

마카베오賞과 年代記的으로 비슷한 內容을 敍述하고 있으며, 商圈을 補充한다는 點과 當時를 다루는 몇 안되는 史料라는 點에서 歷史的 意味가 있다. 下卷은 事件들에 對한 神學的 解釋을 主로 提供한다. 特히 이 冊에서 敍述하는 하나님은 惡한자들을 審判하고 第2聖戰 을 회복시키는 等 事件에 直接 介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冊의 一部 事件들은 神學的 目的으로 年代記的 敍述에서 벗어나있다는 主張이 提示되었는데, 이 冊이 年代記的으로 敍述되었다는 證據가 貧弱하다 하더라도 다른 方式으로 敍述되었다고 主張할 理由가 적다. 軍隊의 規模를 描寫할 때 誇張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그 規模가 寫本끼리 一致하지 않는다.

作家는 水準높은 헬라語 를 使用하며, 그리스式 風習에 博識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 冊의 內容은 안티오코스 4歲 에피파네스 의 죽음 以後 盛典 設立을 記念하는 祝日 을 가지는 데에서 始作된다. 니가노르는 聖殿을 攻擊하다가 마카베오에 依해 敗北하고 죽임을 當하고, 마카베오는 聖殿을 淨化한다. 유대人들은 이를 아다르(Adar)라 하여 記念하는데, 모르드개 記念日의 이틀 前이다.

敎理 [ 編輯 ]

(황금갑株를 입은) 말 위의 記事 . 3張의 헬리오도로스 이야기를 描寫한 것으로, Die Bibel in Bildern 의 一部이다.

마카베오下에는 바리새인 들의 敎理로 보이는 內容들을 發見할 수 있으며, 로마 가톨릭교회 東方 正敎會 의 敎理 亦是 이를 反映하고 있다.

마카베오下에서 發見할 수 있는 敎理는 다음과 같다.

이 冊은 엘르아잘 , 어머니와 일곱 아들 殉敎 에 對해 길게 描寫하고 있는데(6:18-7:42), 이는 中世 基督敎人들에게 적잖은 感動이 되었다. 그리스도 以前의 基督敎人들을 成人으로 崇尙하는 境遇는 몇 되지 않는데, 이들은 로마 카톨릭과 東方 正敎會의 典禮曆에서 모두 記念되고 있다. 이들은 中世時代에 記錄된 殉敎 說話들의 첫 番째 모델로 認識된다.

카톨릭 便增加 지미 애킨(Jimmy)은 히브리서 11:35("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서 돌아오는 食口들을 만난 女子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이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서 더 나은 生命을 누리려고 釋放도 拒否하고 拷問을 달게 받았습니다.")에서 볼 수 있는 拷問 以後의 永生에 對한 槪念이 舊約聖經 遠景展 들에서는 登場하지 않다가 마카베오下衣 7章에서 처음 登場한다는 事實을 알아냈다. [9]

정경성 [ 編輯 ]

로마 카톨릭 東方 正敎會 는 모두 마카베오下를 情景으로 認定하나, 聖公會 를 除外한 모든 改新敎 유대敎 에서는 認定하지 않는다. 多數의 寫本에서 [10] [11] 마카베오傷하는 紀元前 2世紀頃에 만들어진 히브리어 聖經의 헬라語 飜譯本人 [12] 七十人譯 [13] 에 包含된 情況이 나타난다. 다만 一部 寫本에서 마카베오上下와 같이 登場하는 마카베오機 3卷 4卷 , 그리고 詩篇 151張 은 로마 카톨릭에서도 畏敬取扱을 받는다. [14] 一例로 바티칸 寫本 의 境遇 마카베오上下 모두 빠져있고, 시나이 寫本 의 境遇 마카베오上下와 마카베오機 4卷이 모두 存在한다. 이는 七十人譯의 初期 寫本이 形成될 때 聖經 目錄이 아직 一貫되게 定해진 바가 없었음을 示唆한다. [15] 死海 文書 에서는 마카베오上下가 모두 빠져있다. [16] 敎皇 젤라시오 1歲 젤라시오 敎領 에 依하면 敎皇 다마소 1歲 로마 公議會 (382)에서 政經 目錄이 定해졌는데, 여기서 定해진 目錄은 마카베오上下를 비롯해서 트리엔트 公議會 에서 定해진 目錄과 完全히 同一하다고 한다. 마카베오傷하는 또한 오리게네스 (253), [17] 아우구스티누스 (397), [18] 敎皇 인노첸시오 1歲 (405), [19] [20] 히포 시노드 (393), [21] 카르타고 公議會 (397, [22] 419 [23] ), 사도 敎領 , [24] 피렌체 公議會 (1442), [25] 그리고 트리엔트 公議會 (1546)에서 [26] 모두 情景으로 認定되었다.

유대敎와 改新敎들은 畏敬으로, 로마 카톨릭에서는 第2經典으로 보는 聖經들이 初期 基督敎人들에 依해 七十人譯에 包含되었다는 主張이 있다. [27] 유대敎에서는 書記 90年 얌니아 會議 에서 랍비 들이 마카베오下를 비롯한 第2經典 을 聖經目錄에서 除去할 것을 主張했다는 理論이 있으나, 현대에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이것이 事實이라 해도 大部分의 基督敎人들이 헬레니즘 유대敎 의 七十人譯을 통해 聖經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基督敎人들에게 큰 影響은 없었을 것으로 본다. 基督敎에서는 第2經典들의 정경성에 對해서 初期 神學者들부터 마르틴 루터 事後 [28] 1546年 4月 8日에 [29] 舊約 情景을 確定지은 [30] 트리엔트 公議會까지 많은 學者들의 論爭이 끊이지 않았다. [31] [32] [33]

비록 마르틴 루터와 [34] 初期 宗敎改革家들이 마카베오下를 聖經에 包含시키긴 했으나, 다른 政經과 同等한 權威를 둔 것은 아니다. [35] 루터는 "나는 마카베오下와 에스델機 에 對한 巨大한 敵이다. 이 冊들이 가진 수많은 異敎的 부자연스러움들을 볼 때, 이 冊들이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36] 고 말했다. 다른 福音主義 作家들은 이보다는 좀 더 肯定的인 反應을 보인다. 20世紀의 作家인 제임스 B. 조던의 境遇 마카베오上 이 "簒奪者 마카베오 가 참된 다윗의 後孫이며 참된 大祭司長 임을 보이기" 爲한 "못된 冊"인데 비해, "狀況에 對한 더 正確한 描寫가 마카베오下에서 주어졌다"고 말한다. [37]

各州 [ 編輯 ]

  1. II Maccabees : "Unlike I Maccabees, the book known as II Maccabees was written in Greek."
  2. Alexandria was a center of religious scholarship, first of Hellenistic Judaism , and later of Christianity (says who?)
  3. Harris, Stephen L. , Understanding the Bible. Palo Alto: Mayfield. 1985.
  4. Article VI at episcopalian.org 保管됨 2007-09-28 - 웨이백 머신
  5. read online
  6. (A)nd they turned to prayer, beseeching that the sin which had been committed might be wholly blotted out. And the noble Judas exhorted the people to keep themselves free from sin, for they had seen with their own eyes what had happened because of the sin of those who had fallen. He also took up a collection, man by man, to the amount of two thousand drachmas of silver, and sent it to Jerusalem to provide for a sin offering. In doing this he acted very well and honorably, taking account of the resurrection. For if he were not expecting that those who had fallen would rise again, it would have been superfluous and foolish to pray for the dead. But if he was looking to the splendid reward that is laid up for those who fall asleep in godliness, it was a holy and pious thought. Therefore, he made atonement for the dead, that they might be delivered from their sin. (2 Macc 12:42?45)
  7. 12:44 For if he were not expecting that those who had fallen would rise again, it would have been superfluous and foolish to pray for the dead.
  8. NAB 2 Maccabees 15:14
  9. James Akin , Defending the Deuterocanonicals Archived 2019年 7月 16日 - 웨이백 머신
  10. “Septuagint” .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 2016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11. Ellis, E. Earle (2003). 《The Old Testament in early Christianity : canon and interpretation in the light of modern research》 . Eugene, OR: Wipf & Stock. 34, 35쪽. ISBN   978-1592442560 . 2016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12. Life after death: a history of the afterlife in the religions of the West (2004) , Anchor Bible Reference Library, Alan F. Segal , p. 363
  13. VanderKam, James C.; Flint, Peter (2004). 《The meaning of the Dead Sea scrolls : thei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Bible, Judaism, Jesus, and Christianity》 1 paperback版. San Francisco, CA: HarperSanFrancisco. 99쪽. ISBN   978-0060684655 .  
  14. Muddiman, John (2004). Barton, John, 編輯. 《The Oxford Bible commentary》 Repr.판.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18쪽. ISBN   978-0199277186 .  
  15. Jr, Gleason Archer (2007). 《A survey of Old Testament introduction》 [Rev. a expa].판. Chicago, IL: Moody Press. 81, 82쪽. ISBN   978-0802484345 .  
  16. Freedman, David Noel; Allen C. Myers; Astrid B. Beck, 編輯. (2000).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Nachdr.]判. Grand Rapids, Mich.: Eerdman. 426쪽. ISBN   978-0802824004 .  
  17. Eusebius, of Caesarea. 《Ecclesiastical History Book 6 Chapter 25:1?2》 . newadvent . 2016年 10月 12日에 確認함 .  
  18. Augustine of Hippo. 《On Christian Doctrine Book II Chapter 8:2》 . newadvent . 2016年 10月 12日에 確認함 .  
  19. 《Letter from Innocent I to Exsuperius, bishop of Toulouse.》 .  
  20. Westcott, Brooke Foss (2005). 《A general survey of the history of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6板. Eugene, OR: Wipf & Stock. 570쪽. ISBN   1597522392 .  
  21. 〈Canon XXIV. (Greek xxvii.)〉 , 《The Canons of the 217 Blessed Fathers who assembled at Carthag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2. B.F. Westcott, A General Survey of the History of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5th ed. Edinburgh, 1881), pp. 440, 541?42.
  23. Council of Carthage (A.D. 419) Canon 24
  24. in Trullo, Council. 《The Apostolic Canons. Canon 85》 . newadvent . 2016年 10月 12日에 確認함 .  
  25. “Session 11?4 February 1442” . 2016年 2月 2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2月 12日에 確認함 .  
  26. “Session IV Celebrated on the eighth day of April, 1546 under Pope Paul III” . 2015年 3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2月 12日에 確認함 .  
  27.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 Merriam-Webster, Inc. 1999. 985쪽. ISBN   9780877790440 . 2016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28. Nichols, Stephen. “Martin Luther's Death and Legacy” . 《Ligonier Ministries》. Ligonier Ministries . 2016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29. Metzger, Bruce M. (1997年 3月 13日).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Its Origin,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46쪽. ISBN   0-19-826954-4 . Finally on 8 April 1546, by a vote of 24 to 15, with 16 abstensions, the Council issued a decree ( De Canonicis Scripturis ) in which,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the question of the contents of the Bible was made an absolute article of faith and confirmed by an anathema .  
  30. 《New Catholic encyclopedia》 3 . Washington, D.C: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2003. 20, 26, 390쪽.  
  31. Allison, Gregg (2012). 《How the Bible Was Formed: A Zondervan Digital Short》 . Grand Rapids, MI: HarperCollins Publishing. ISBN   9780310496144 . 2016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32. Hubert, Jedin (1947). 《apal Legate At The Council Of Trent》 . St Louis, MO: B. Herder Book Co. 270쪽 . 2016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33. White, James R. (2004). 《Scripture Alone: Exploring the Bible's Accuracy, Authority and Authenticity》 . Bloomington, MN: Bethany House Publishers. ISBN   978-0764220487 . 2016年 12月 24日에 確認함 .  
  34. Hiers, Richard H. (2001). 《The Trinity guide to the Bible》 Pbk.판. Harrisburg, Penn.: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48쪽. ISBN   978-1563383403 .  
  35. McDonald, Lee Martin (2009). 《Forgotten scriptures : the selection and rejection of early religious writings》 1板.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81쪽. ISBN   978-0664233570 .  
  36. Luther, Martin (1893) [1566]. 〈Of God's Word: XXIV〉 . 《The Table-Talk of Martin Luther》. trans. William Hazlitt. Philadelphia: Lutheran Publication Society. LCC   BR332.T4 .  
  37. Jordan, James B. (2007). 《The Handwriting on the Wall: A Commentary on the Book of Daniel》. American Vision . 580쪽.  

參考 文獻 [ 編輯 ]

  • Borchardt, Francis. 2016. "Reading Aid: 2 Maccabees and the History of Jason of Cyrene Reconsidered." Journal for the Study of Judaism 47, no. 1: 71?87.
  • Coetzer, Eugene. 2016. "Heroes and Villains in 2 Maccabees 8:1?36: A Rhetorical Analysis." Old Testament Essays : 419?33.
  • Doran, Robert. 1981. Temple Propaganda: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2 Maccabees. Catholic Biblical Quarterly Monograph Series 12. Washington, DC: Catholic Biblical Association.
  • --. 2012. 2 Maccabees. Hermeneia. Philadelphia: Fortress.
  • Goldstein, J. A. 1983. II Maccabees. Anchor Bible 41A. Garden City, NY: Doubleday.
  • Habicht, C. 1976. “Royal Documents in II Maccabees.” Harvard Studies in Classical Philology 80: 1?18.
  • Janowitz, Naomi. 2017. The Family Romance of Martyrdom In Second Maccabees. New York: Routledge.
  • Kosmin, P. 2016. "Indigenous Revolts in 2 Maccabees: The Persian Version." Classical Philology 111, no. 1: 32?53.
  • Schwartz, Daniel R. 2008. 2 Maccabees. Commentaries on Early Jewish Literature. Berlin: De Gruyter.
  • Stewart, Tyler A. 2017. "Jewish Paideia: Greek Education in the Letter of Aristeas and 2 Maccabees." Journal for the Study of Judaism 48, no. 2: 182?202.
  • Trotter, Jonathan R. 2017. "2 Maccabees 10:1?8: Who Wrote It and Where Does It Belong?"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36, no. 1: 117?30.

外部 링크 [ 編輯 ]

마카베오下
移轉
마카베오上
가톨릭과 正敎會
聖經 目錄
以後
마카베오機 3卷 ( 東方 正敎會 舊約聖經 )
욥기 ( 로마 카톨릭 舊約聖經 )
마태오 福音書 ( 頭에-랭스 聖經 舊約聖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