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伽倻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高射砲國 에서 넘어옴)

高自國
古資國
42年 ~ 562年
소가야를 포함한 육가야의 위치와 강역.
小伽倻를 包含한 六伽倻의 位置와 疆域.
수도 高聲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國王
42年 ~ 145年
450年 ~ 554年

末路王 (初代)
이兄王 (말대)
人文
公用語 伽倻語
民族 韓人
宗敎
宗敎 佛敎 , 샤머니즘

高自國 (古資國), 通稱 小伽倻 (小伽倻)는 慶尙南道 固城郡 에 있었던 變한 界 國家이다. 여섯個의 伽倻 가운데 新羅 儒理王 19年(42年)에 慶尙南道 固城에 세워진 나라이다. 金首露王 과 함께 龜旨峯에서 태어난 6名의 東者 中에서 막내인 金말로 (金末露)가 建國했다. 高城郡 一帶를 中心으로 泗川市 에서 統營市 一帶에 遺跡이 發掘되었다.

이름의 由來 [ 編輯 ]

애初에 小伽倻와 함께 6伽倻의 各國名稱인 "某伽倻"라는 名稱은 新羅末에서 高麗時代의 伽倻復興勢力을 이끌던 豪族들의 地域에 高麗 太祖 가 OO伽倻라는 名稱을 附與하면서 옛 伽倻時代의 이름인양 訛傳된 것으로 實際의 伽倻帝國과는 全혀 無關한 이름들이라 한다. 實際로 伽倻聯盟은 6個國이 아니라 10~13個以上의 나라들의 集合體였다. [1] 高城郡 一帶에 있던 나라의 이름은 三國史記 에 依하면 高射砲國 (古史浦國) 或은 高自國 (古自國)으로, 三國志 魏志 동이전의 弁韓條에는 古資彌凍國 (古資彌凍國)으로 되어 있다. 日本書紀 에는 故(舊)車國(古(久)嵯國)이라고도 한다.

歷史 [ 編輯 ]

小伽倻의 支配階級의 무덤으로 推定되는 高聲 송학동 古墳群

檀君朝鮮 위만 에 敗亡하자 朝鮮의 流離民이 韓半島 地域으로 大擧 流入되어 基準 (奇準)王의 目支國 을 中心으로 三韓小國을 形成했고 그 中에 高射砲國이 있었다. 高射砲國은 變한 12國 中에 하나로 所屬되었다. 西紀 9年에 百濟 馬韓 을 强制合倂하여 震國이 滅亡한후 變한 狗倻國 을 中心으로 獨立하여 伽倻聯盟 을 結成하자 高射砲國道 이에 屬했다. 高射砲國은 只今의 고성읍을 中心으로 때때로 泗川, 南海等地로도 勢力을 擴張하기도 했다. 反面에 固城郡內陸地域은 高射砲國의 領域에서 除外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한便 高射砲國을 包含한 伽倻南部의 8個 나라, 所謂 포상팔국 (浦上八國)은 南海岸에 接해 있음에도 海上貿易에서 狗倻國 에 主導權을 넘긴 채 主導的인 役割을 못하고 있었다. 狗倻國이 있는 金海地域은 當代에 故 김해만 이라는 天然港口를 基盤으로 南海貿易의 허브로 기능하고 있었고 포상팔국은 街野外의 地域-假令 中國이나 日本과의 交易을 狗倻國 에 依存해야 했던 것이다. [2] 이에 不滿을 품은 포상팔국은 골포國 을 中心으로 結束하여 狗倻國 에 對抗해 伽倻聯盟에서 離脫했고 곧이어 209年 狗倻國 安羅國 을 攻擊하여 伽倻聯盟과 戰爭을 벌였지만 新羅 의 支援을 받은 伽倻의 反擊으로 1次 戰爭은 敗退했다. 그렇게 되자 褒賞8國中에 高射砲國은 칠포國 골포國 과 함께 215年 新羅의 主要港口人 갈벌(竭火) [3] 을 侵攻했지만 新羅軍의 防禦에 敗頹하고 물러나야 했고 結局 褒賞8國은 屈服하여 다시 伽倻聯盟에 附屬될 수 밖에 없었다. 以後 400年에 狗倻國 高句麗 에 敗亡하여 電氣伽倻聯盟이 消滅하자 高射砲國은 뚜렷한 勢力圈을 形成하지 못한 채 反破局 中心의 大伽倻 에 編入되었다가 大伽倻가 百濟및 新羅와의 抗爭에서 敗退하여 南北으로 分裂되자 安羅國 中心의 남伽倻(南加倻)에 所屬되었고 남伽倻가 新羅에 投降함과 同時에 高射砲國道 新羅에 主權을 뺏기고 滅亡하고 말았다 高射砲國 王族의 一部는 日本으로 亡命하기도 했다.

經濟·文化 [ 編輯 ]

高射砲地域이 있던 高城郡 一帶는 海岸地帶에 面해있고 그當時에는 金海平野가 故 김해만 이라는 바다였던 것과 같이 海水面의 높이가 只今보다 높아 水産業이 主宗을 이루었고 農業과 狩獵圖 이루어졌다. 이 地域에서 가야공업의 主人 제철이 이루어졌었음은 동외동 遺跡에서 確認이 되었지만 直接 鐵鑛을 運營했는지는 不分明하다. 고성地域의 伽倻時代 遺跡은 동외동 貝塚을 비롯해 7~8個 地域이 確認되었는데 大槪 主要 溪谷과 河川邊에 分布하고 있었다. 이地域에서 出土된 土器는 다른地域에 비해 種類의 分化가 덜 되어 있었다. 마을은 區劃 整理가 大體的으로 잘 되어 있었다고 한다. 住居는 아직 輸血食餌 主宗이지만 原始的인 溫突도 確認되었다. 葬禮儀式은 연당리와 율대리에서 護石 周邊에 土器를 깨부숴서 깔아놓은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隣近地域에서도 흔히 보이는 것이다. 事物國 의 領域이지만 한때 高射砲國에도 屬했던 듯 해 高聲文化圈으로 看做되는 隣近 늑도 地域에서는 개를 죽여 껴묻거나 屍體 위에 肉類를 얹여놓은 것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沃沮 에서 木槨에 쌀(米)을 넣은 缸아리를 매달아 놓는 風習과 比較된다. 中國의 殷나라 처럼 動物의 뼈를 태워 點을 친 痕跡도 發見되었는데 이는 古代社會에서 널리 이루어진 일이고 變한시대 以來 이루어진 文身 (文身)도 繼續되고 있었다.

小伽倻 以後의 固城郡 [ 編輯 ]

歷代 國王 [ 編輯 ]

王 世界는 <高聲金氏 大同譜>에 言及되고 있다.

臺數 題號 在位 備考
1 末路王 (末露王) 42年 ~ 145年 小伽倻 建國 始祖
2 大我王 (大阿王) 145年 ~ 162年
3 味鄒王(味雛王) 162年 ~ 235年
4 蘇間王 (味雛王) 235年 ~ 277年
5 아도왕 (阿島王) 277年 ~ 345年
6 質노왕 (叱駑王) 345年 ~ 371年
7 次兒王 (車阿王) 371年 ~ 412年
8 달羅王 (達拏王) 412年 ~ 450年
9 이兄王 (而衡王) 450年 ~ 554年 小伽倻의 마지막 王

各州 [ 編輯 ]

  1. 國史編纂委員會 編輯部(1970)韓國史 7 (三國의 政治와 社會3 新羅.가야)
  2. 當代에 海上貿易船은 海賊의 襲擊이나 經由海岸의 小國들의 課稅(課稅)를 避하기 위해 陸地에서 距離를 두고 貿易據點을 往來하며 航海하기 때문에 포상팔국 等은 웬만해선 交易船과의 接觸이 힘들었다고 한다.
  3. 蔚山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