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물고기野? 바닷물고기野?[김창일의 갯마을 探究]〈108〉|東亞日報

민물고기野? 바닷물고기野?[김창일의 갯마을 探究]〈108〉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7日 23時 30分


코멘트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김창일 國立民俗博物館 學藝硏究士
민물고기인지 바닷물고기인지 헷갈리는 魚種이 있다. 黃복을 主題로 쓴 칼럼(107回)을 읽은 知人이 “민물에 사는 복魚가 있는 줄 몰랐다. 바다 복魚보다 비싼 理由가 뭐냐” 等의 質問을 쏟아냈다. 于先 黃복을 민물고기라 한 적이 없음을 認知시켰다. ‘江에서 태어나 바다에 사는 물고기’라고 했을 뿐이다. 차근차근 海水와 淡水를 오가는 물고기에 對해 說明해줬다.

우리 先祖들은 바다와 河川을 넘나드는 물고기를 體系的으로 區分하지 않았다. 文䲙망둑을 김려(牛海異魚譜·1803年)는 바닷물고기라 했고, 서유구(蘭湖漁牧志·1820年頃)는 민물고기에 包含시켰다. 숭어를 정약전(玆山魚譜·1814年)은 바닷물고기라 했으나, 徐有榘는 江에서 사는 물고기로 봤다. 김려의 流配地는 鎭海였고, 丁若銓은 黑山島에서 流配 生活을 했다. 徐有榘는 官職에서 물러난 後 臨津江 流域에 定着했다. 文䲙망둑을 김려는 鎭海의 갯벌, 徐有榘는 臨津江 下流에서 봤을 것이다. 丁若銓은 흑산 바다에서 숭어를 觀察했고, 徐有榘는 臨津江으로 오르는 숭어를 보고 강어(江魚)로 分類했을 터. 이들 물고기는 민물과 바닷물을 오가며 살 수 있는 汽水魚(汽水魚)다.

海水와 淡水가 섞이는 곳에 사는 숭어, 錢魚, 隱語는 勿論이고 産卵期에 江과 바다를 오가는 黃복, 뱀長魚, 鰱魚 等도 汽水魚에 包含된다. 汽水魚에는 江에서 태어나 바다로 나가서 사는 물고기가 있고, 바다에서 태어나 江에 머무는 물고기가 있다. 黃복, 웅어, 鰱魚, 松魚, 鐵甲상어, 黃魚, 死白魚, 七星長魚, 銀魚, 빙어 等은 溯河性 魚類로 바다에 棲息하다가 江에서 産卵한다. 反對로 뱀長魚, 무태長魚, 꺽정이 等은 민물에서 살다가 産卵하기 위해 바다로 들어가는 江下性 魚類다. 숭어는 主로 바다에 살면서 海水와 淡水가 섞이는 河口뿐만 아니라 江을 거슬러 오르기도 한다. 本來 바다에 살다가 河川에 散亂하는 習性이었으나 淡水에 適應해 민물고기가 된 陸封型 魚類도 있다. 山川魚가 代表的이다. 山川魚는 바다로 나갔다가 産卵期에 河川으로 돌아오는 松魚가 淡水에 適應해 민물고기로 굳어졌다.

只今까지 알려진 2萬餘 種의 물고기 中에서 約 1%는 이中渗透가 可能해 민물과 바닷물을 오갈 수 있는 汽水魚다. 민물보다 바닷물이 密度가 높으므로 바닷물고기가 江을 오르거나, 淡水 魚種이 바다로 들어가면 適應하지 못해 죽는다. 濃度가 다른 두 溶液은 묽은 쪽에서 津한 쪽으로 溶媒가 移動한다. 이때 半透過性膜에 壓力이 發生하는데 이를 渗透壓이라고 한다. 뱀長魚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江 河口에서 2, 3個月 머물며 渗透壓과 密度 變化에 適應한 後 바다로 나간다. 江어귀는 밀물 때 海風을 同伴하는데 뱀長魚가 風天長魚라는 別稱을 가진 理由가 여기에 있다. 風天長魚라는 이름에는 ‘바람 부는 河川에서 잡히는 뱀長魚’라는 意味가 담겨 있다.

어느 詩人은 ‘鰱魚, 라는 말 속에는 江물 냄새가 난다.’라고 했다. 괌 隣近 마리아나 海域에서 태어난 것을 平生 記憶했다가 머나먼 바다로 떠나는 뱀長魚와 무엇엔가에 이끌리듯 江물을 거슬러 올라 여울목에 다다르는 黃복. 먹이를 따라 바다로 나간 물고기도 있을 테고, 安全한 곳을 찾아서 江으로 들어온 물고기도 있을 터. 민물과 바닷물 境界를 허무는 驚異로운 生命體가 汽水魚다.


김창일 國立民俗博物館 學藝硏究士
#민물고기 #바닷물고기 #黃복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