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時代, 中依存度 낮출 機會[現場에서/주애진]|동아일보

바이든 時代, 中依存度 낮출 機會[現場에서/주애진]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月 20日 03時 00分


코멘트
20일(현지 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으로 달라질 글로벌 통상 환경은 한국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DB
20日(現地 時間) 조 바이든 美國 大統領 就任으로 달라질 글로벌 通商 環境은 韓國에 危機이자 機會가 될 것으로 보인다. 東亞日報DB
주애진 경제부 기자
주애진 經濟部 記者
조 바이든 美國 新任 大統領이 20日(現地 時間) 就任式을 치르고 任期를 始作한다. 도널드 트럼프 前 大統領의 ‘美國 優先主義’로 打擊을 받은 글로벌 通商環境은 ‘美國의 復歸’라는 轉換點을 맞게 됐다. 世界 經濟 大國인 美國이 트럼프式 一方主義에서 벗어나 國際通商 規範과 多者主義로 復歸할 것이란 觀測이 나오지만 바이든 行政府의 通商政策이 世界 經濟에 어떤 影響을 미칠지는 如前히 不確實하다.

只今까지 公開된 바이든 行政府의 對外政策 方向을 한마디로 定義한다면 ‘더 精巧하고 强力한 美國 優先主義’라는 게 專門家들의 分析이다. 通商 問題에 外交 이슈인 同盟 關係를 끌어들이고 多者主義 體制를 통해 中國을 壓迫할 可能性이 크다는 것이다. 中國 中心의 글로벌 供給網을 美國 中心으로 再編하겠다는 바이든 大統領의 構想은 美中 貿易戰爭 시즌2를 豫告한다. 여기에다 트럼프 行政府와 달리 通商과 關聯된 勞動, 環境 基準도 强化할 것으로 보인다. 國際通商 問題가 外交, 勞動, 環境 等 다양한 利害關係가 얽힌 高次 方程式으로 한層 複雜해질 수 있다는 展望이다.

바이든 行政府 出帆과 글로벌 供給網의 再編은 韓國 經濟에 兩날의 칼과 같다. 韓國의 大衆(對中) 輸出은 全體 輸出의 25%를 차지한다. 그中 70% 以上이 中間財 輸出이다. 中國의 輸出이 不振하면 그 衝擊이 고스란히 韓國의 輸出 打擊으로 이어지는 構造다. 한便으로는 機會다. 韓國이 글로벌 供給網에서 中國을 代替하거나, 아세안 市場으로 輸出을 多邊化하는 契機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中國은 2008年 글로벌 金融危機 以後 輸出에서 內需 中心 經濟로 旋回했기 때문에 韓國의 輸出 多邊化는 避할 수 없는 課題이기도 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9日 ‘바이든 時代 國際通商環境과 韓國의 對應戰略’ 報告書를 통해 包括的·漸進的 環太平洋經濟同伴者協定(CPTPP) 加入을 優先的으로 推進해야 한다고 提案했다. 中國의 代案으로 浮上하고 있는 아세안 市場을 中心으로 東아시아 글로벌價値사슬(GVC)李 再編될 可能性이 크기 때문에 CPTPP를 통해 韓國의 參與 比重을 높여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中國에서 떠나는 外國人 直接投資(FDI)를 韓國으로 끌어오는 政策도 必要하다고 봤다. 韓中 自由貿易協定(FTA)을 잘 活用하면 中國市場을 抛棄하기 힘든 多國籍企業의 投資 需要를 끌어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不確實한 通商環境의 變化는 對處하기에 따라 危機가 될 수도, 機會가 될 수도 있다. 바이든 時代가 가져올 變化를 잘 活用하면 그間 韓國經濟의 脆弱點으로 꼽혀온 中國 依存度를 낮추는 機會가 될 수도 있다. 政府는 長期的인 觀點에서 韓國經濟와 輸出의 새판을 짜야 한다.

주애진 經濟部 記者 jaj@donga.com
#바이든 時代 #中國 #依存度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