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난 女子, 세 番째 눈으로 異邦人을 그리다[한국미술의 딥 컷]|東亞日報

성난 女子, 세 番째 눈으로 異邦人을 그리다[한국미술의 딥 컷]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7月 17日 03時 00分


코멘트

韓國美術의 딥 컷〈4〉
프랑스 퐁피두센터 ‘女性作家展’ 美術家 112名에 包含된 최욱경

최욱경의 1960년대 작품은 강렬한 색채 대비로 공간을 활성화한다. 1970년대 말에 이르면 그림 속 형태의 질감이 흐드러진 꽃이나 깃털 같은 형태로 살아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무렵 최욱경은 한국의 자연에도 심취해 ‘학동마을’ 같은 작품도 남겼다. 그의 1977년 대작 ‘환희’, 캔버스에
아크릴릭, 227X456cm.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최욱경의 1960年代 作品은 强烈한 色彩 對比로 空間을 活性化한다. 1970年代 末에 이르면 그림 속 形態의 質感이 흐드러진 꽃이나 깃털 같은 形態로 살아나는 모습을 觀察할 수 있다. 이 무렵 최욱경은 韓國의 自然에도 心醉해 ‘鶴洞마을’ 같은 作品도 남겼다. 그의 1977年 大作 ‘歡喜’, 캔버스에 아크릴릭, 227X456cm. 國立現代美術館 提供
《프랑스 파리 퐁피두센터는 來年 女性 作家로만 構成된 企劃展 ‘Women in Abstraction’을 연다. 男性 中心의 美術史에서 低評價된 女性의 役割을 再照明하겠다는 趣旨다. 全 世界 美術家 112名 中 최욱경(1940∼1985)도 이 展示에 包含됐다. 韓國 美術의 ‘딥 컷(Deep Cut)’, 숨은 寶石인 최욱경의 作品世界를 紙面에는 시원하게, 東亞닷컴에는 深層的으로 紹介한다.》

“하찮은 꽃 이파리나 새의 깃털. 보잘것없는 이 對象들이 나에겐 모두 興味롭고 神祕해 보인다. … 하늘을 가로지르는 새의 非常에서 내가 歡喜와 기쁨을 맛보고 事物의 移入을 聯想하며, 움직임의 連結에서 느끼는 자유스러움. 그것을 나는 歡喜라고 말하고 싶다.”

최욱경은 흔히 ‘夭折한 天才’ ‘엘리트 코스를 밟은 畫家’로 불린다. 敎學圖書株式會社를 創立한 최상윤과 조하진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10歲 때 金基昶(1914∼2001) 박래현(1920∼1976) 夫婦의 畫室에서 첫 美術 敎育을 받는다. 서울예고와 서울대 美大를 卒業하고 美國 크랜브룩대학원을 다녔다.

그러나 作品과 記錄 속 그는 엘리트보다 孤獨한 異邦人에 가깝다. 自畫像 ‘나는 세 個의 눈을 가졌다’(1966년)에서 自身을 ‘세 番째 눈’을 가진 사람으로 表現한 것처럼 말이다.

그는 스스로를 ‘성난 女子’에 比喩하기도 했다. 美國에서 그와 가깝게 지낸 作家 마이클 애커스는 “최욱경은 自身이 韓國 社會가 要求하는 女性性에 맞지 않는다고 자주 弄談했다”고 回顧한다. 1980年代 글에서 최욱경은 “男性 作家는 ‘畫家 ○○○’이면 되는데 女性 作家는 왜 앞에 ‘女子’를 붙여야 하나”라거나 “女子로서의 感性과 體驗에서 걸러져 나온 表象을 直接的으로 驅使한 視覺的 用語로 表現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自身의 作業室에 그는 ‘무無黨(無無堂)’이란 이름을 붙였다. 느껴지는 虛無를 그는 몸의 感覺으로 克服하고자 몸부림쳤다. 1985年 心臟痲痹로 갑작스레 生을 마감했지만, 孤獨할지언정 스스로에게 率直했던 그의 이야기는 이제야 걸맞은 이름을 찾아가고 있다.

○ 최욱경 作家 (1940 ∼1985)
▽1940年 서울 出生
▽1963年 서울대 繪畫科 卒業
▽1968年 美國 프랭클린 피어슨臺 助敎授
▽1971年 서울 新世界갤러리 個人展
▽1977年 美國 뉴멕시코 로즈웰美術館 個人展
▽1985年 別世
▽1987年 서울 國立현대미술관 個人展

김민 記者 kimmin@donga.com
#성난 女子 #최욱경 #女性 作家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