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永宗島 水道물, 아직도 냄새 甚하다|신동아

永宗島 水道물, 아직도 냄새 甚하다

仁川 영종 住民 83%, 317名 相對 온라인 設問調査서 밝혀

  • 入力 2019-07-11 14:21: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수질 안정화 발표 이후에도 까맣게 변한 샤워기 필터(왼쪽). 수돗물에는 검은 알갱이가 보인다(오른쪽) [김민영 영종 수돗물 정상화 대책위원회 위원 제공]

    水質 安定化 發表 以後에도 까맣게 變한 샤워器 필터(왼쪽). 水道물에는 검은 알갱이가 보인다(오른쪽) [김민영 영종 水道물 正常化 對策委員會 委員 提供]

    環境部가 ‘붉은 水道물 事態’가 發生한 仁川 一部 地域을 두고 正常化 段階에 접어들었다고 밝힌 가운데, 該當地域 住民들은 아직 被害를 呼訴하고 있다는 設問結果가 發表됐다. 

    7月 11日 ‘令終 水道물 正常化 對策委員會’(以下 對策委)에 따르면 같은 달 5日부터 9日까지 영종住民 317名을 對象으로 온라인 設問調査를 實施한 結果, 應答者 45.4%가 ‘水道물에서 냄새가 나는지’ 與否를 묻는 質問에 ‘(事態 初期보다) 더 심해졌다’고 答했다. 

    事態 初期와 比較해 ‘변함없다’고 答한 應答者도 37.9%에 達했다. 總 83.3%가 ‘事態 初期와 比較해 現在 水道물 냄새가 더 심해지거나 如前하다’는 趣旨로 答한 셈이다. 

    對策위 側은 “設問調査는 처음 敵手가 영종國際都市에 發生됐을 當時의 水質과 現在 時點에서 各 家庭의 水質의 變化를 調査한 設問”이라고 說明했다. 

    앞서 環境部 水道물 安心支援團은 지난달 28日 仁川市廳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水質檢査 結果 모든 試料가 먹는 물 水質 基準을 充足했고 망간이나 鐵道 檢出되지 않아 水質에 對한 安全性이 確保된 것으로 判斷된다”고 發表한 바 있다. 



    ‘水道물에서 미끈거리는 觸感이 나는지’ 묻는 質問에는 ‘변함없다’(47.0%)고 答한 住民이 가장 많았다. 이어 △‘더 나빠졌다’(29.3%) △‘該當 없음’ (15.1%) △‘좋아졌다’(6.6%) △‘應答 없음’ (0.9%) 巡으로 이어졌다. 

    ‘濁度가 흐린지’에 對한 質問에는 △‘변함없다’(62.1%) △‘좋아졌다’(17.4%) △‘더 나빠졌다’(14.2%) △‘該當 없음’(5.4%) 巡으로 集計됐다. 濁度는 水中에서 浮遊物質이나 微分者들에 依해 빛이 分散되거나 吸收돼 물이 흐려진 程度를 뜻한다. 

    ‘샤워器나 水道꼭지에 設置한 필터가 붉게 變하는지’ 與否를 묻는 質問에는 事態 初期와 比較해 △‘변함없다’(51.1%)와 △‘더 나빠졌다’(16.7%)고 答한 應答者가 過半을 훌쩍 넘겼다. 또 ‘異物質이 나오는지’ 與否를 묻는 質問에 對해서는 △‘변함없다’(47.3%) △‘더 나빠졌다’(22.7%) 巡으로 이어졌다. 

    皮膚疾患과 胃腸炎을 呼訴하는 患者도 如前히 있었다. 皮膚疾患의 境遇 △‘더 나빠졌다’(30.6%)와 △‘변함없다’(37.2%), 內科 疾患의 境遇에는 △‘더 나빠졌다’ (13.6%)와 △‘변함없다’(30.6%), 眼科疾患의 境遇에는 △‘더 나빠졌다’(17.0%)와 △‘변함없다’(29.7%)고 答한 應答者가 多數를 차지했다. 

    對策위 關係者는 “水道물 事態 正常化는 영종 住民 大部分이 體感하지 못하고 있으며 不安과 被害를 呼訴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