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소리 現象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사이시옷 에서 넘어옴)

사잇소리 現象 韓國語 에서 나타나는 現象의 하나로, 國立國語院 標準國語大辭典 에 依하면 ‘사잇소리’는 ‘두 個의 形態素 또는 單語가 어울려 合成 名詞를 이룰 때 그 사이에 덧생기는 소리.’이다.

韓國語 에 사잇소리 現象이 存在하지만, 사잇소리 現象이 생길 때 表記를 變更하지 않거나, 한글 맞춤法 第30項 [1] 에 따라 사이시옷을 使用하여 表記를 變更한다.

사잇소리의 種類 [ 編輯 ]

2011年 12月 15日 國立國語院 이 그동안 政府가 告示한 語文 規定을 한데 묶어, 國民의 語文 生活에 도움을 주고자 마련한 規定집人 『韓國 語文 規定집』 [2] 의 ‘標準語 規定[ 文體部 告示 第88-2 號( 1988 . 1. 19. )] 第2部 標準 發音法 第7張 音의 添加’에 따르면, 第29項·第30項 [3] 두 項이 規定되어 있다.

第29項은 “合成語 및 派生語에서, 앞 單語나 接頭辭의 끝이 子音이고 뒤 單語나 接尾辭의 첫音節이 ‘이, 야, 여, 요, 有’인 境遇에는, ‘ㄴ’ 音을 添加하여 [니, 냐, 女, 뇨, 뉴]로 發音한다.”라고 敍述한다.

第30項은 “사이시옷이 붙은 單語는 다음과 같이 發音한다.”라고 敍述한다.

  1. ‘ㄱ, ㄷ, ㅂ, ㅅ, ㅈ’으로 始作하는 單語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子音만을 된소리로 發音하는 것을 原則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發音하는 것도 許容한다.
  2.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結合되는 境遇에는 [ㄴ]으로 發音한다.
  3. 사이시옷 뒤에 ‘李’ 陰이 結合되는 境遇에는 [ㄴㄴ]으로 發音한다.

따라서 사잇소리 現象에서 添加될 수 있는 소리는 初聲 [ㄴ](第29項)·終聲 [ㄷ](第30項의 1)·終聲 [ㄴ](第30項의 2)·順序대로 終聲과 初聲 [ㄴㄴ](第30項의 3)이다.

사잇소리와 사이시옷 [ 編輯 ]

사잇소리 現象을 規定한 標準語 規定 第29項 어디에도 사이시옷이라는 用語가 存在하지 않는다. 하지만 標準語 規定 第30項의 1·2·3은 “사이시옷이 붙은 單語는 다음과 같이 發音한다.”라고 規定되어 있다. 사이시옷이 規定된 ‘한글 맞춤法(文化體育觀光部 告示 第2014-0039號(2014. 12. 5.)’ [4] 第4章 形態에 關한 것 제30항 [1] ’에 따르면,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境遇에 받치어 적는다.”라고 規定되어 있다.

  1. 純 우리말로 된 合成語로서 앞말이 母音으로 끝난 境遇
  2. 純 우리말과 漢字語로 된 合成語로서 앞말이 母音으로 끝난 境遇
  3. 두 音節로 된 다음 漢字語

따라서 ‘標準 發音法 第29條’에 該當하는 말은 사이시옷이 없을 때 사잇소리가 添加되는 境遇, ‘標準 發音法 第30條’에 該當하는 말은 ‘한글 맞춤法 第4章 第30項’에 依해 사이시옷을 表記한 말이므로, 사이시옷이 있을 때 사잇소리가 添加되는 境遇를 들었다. 卽 사잇소리 現象과 사이시옷은 반드시 相互 聯關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사잇소리의 種類 [ 編輯 ]

초성 [ㄴ](第29項) [ 編輯 ]

‘標準語 規定 第2部 標準 發音法 第7張 音의 添加 第29項 [5] ’에 따르면, 合成語 派生語 에서, 앞 單語나 接頭辭 의 끝이 子音이고 뒤 單語나 接尾辭의 첫音節이 ‘이, 야, 여, 요, 有’인 境遇에는, ‘ㄴ’ 音을 添加하여 [니, 냐, 女, 뇨, 뉴]로 發音한다( ㄴ 添加 ). 卽 반드시 初聲 [ㄴ]을 添加하여 發音하여야 한다.

  • 例外 : 다만,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 音을 添加하여 發音하되, 表記대로 發音할 수 있다. 卽 初聲 [ㄴ]을 添加하여 發音하거나(원칙), 添加하지 아니하여 發音하거나(허용) 兩者가 可能하다(연음).
이죽-이죽[二重니죽/移住氣죽] 冶金-冶金[冶金냐金/야그먀금] 檢閱[檢ː女/거ː멸] 욜랑-욜랑[욜랑뇰랑/욜랑욜랑] 金融[금늉/그뮹]
  • 붙임 1 : ‘ㄹ’ 받침 뒤에 添加되는 ‘ㄴ’ 音은 [ㄹ]로 發音한다. 卽 初聲 [ㄴ]李 添加된 後에 流音化 (流音化) 가 일어난다.
  • 붙임 2 : 두 單語를 이어서 한 마디로 發音하는 境遇에도 이에 準한다. 卽 한 單語가 아니더라도 話者(話者)가 여러 單語를 한 番에 읽고자 하면, 初聲 [ㄴ]李 添加된다.
  • 例外 : 다만, 다음과 같은 單語에서는 ‘ㄴ(ㄹ)’ 音을 添加하여 發音하지 않지만 延音하여 發音한다.

宗姓 [ㄷ](第30項의 1) [ 編輯 ]

‘標準語 規定 第2部 標準 發音法 第7張 音의 添加 第30項의 1 [6] ’에 따르면, ‘ㄱ, ㄷ, ㅂ, ㅅ, ㅈ’으로 始作하는 單語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子音만을 된소리로(경음화) 發音하는 것을 原則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發音하는 것도 許容한다(끝소리). 卽 終聲 [ㄷ]을 添加하지 아니하여 發音하거나(원칙), 添加하여 發音하거나(허용) 兩者가 可能하다.

宗姓 [ㄴ](第30項의 2) [ 編輯 ]

‘標準語 規定 第2部 標準 發音法 第7張 音의 添加 第30項의 2 [7] ’에 따르면,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結合되는 境遇에는 [ㄴ]으로 發音한다(비음화). 卽 앞말에 終聲 [ㄴ]을 添加하여 發音한다.

‘배-놀이[船遊]·코-날[鼻線]·비-물[雨水]·이-몸[齒?]·무시(無市)-날·보(洑)-물·패(牌)-말’ 의 境遇는, 앞 單語의 끝이 閉鎖되면서 子音 童話 現象(ㄷ+ㄴ→ㄴ+ㄴ, ㄷ+ㅁ→ㄴ+ㅁ)李 일어나 [밴노리·빈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뱃놀이·콧날·빗물·잇몸·無市날·洑물·牌말’ 로 적는다. ‘牌말·標말’은, 漢字語 ‘패(牌)·表(標)’에 ‘말(말뚝)’(옛말에서 ‘ㅎ’ 曲用어)이 結合된 形態이므로, ‘第30項의 2’의 規定을 適用하여 ’牌말·標말’로 적는 것이다.


順序대로 終聲과 初聲 [ㄴㄴ](第30項의 3) [ 編輯 ]

‘標準語 規定 第2部 標準 發音法 第7張 音의 添加 第30項의 3 [8] ’에 따르면, 사이시옷 뒤에 ‘李’ 陰이 結合되는 境遇에는 [ㄴㄴ]으로 發音한다(사이시옷+ㄴ 添加). 卽 앞말에 順序대로 終聲과 初聲 [ㄴㄴ]을 添加하여 發音한다.

사이시옷의 表記 [ 編輯 ]

‘標準語 規定’ 第29項·第30項의 1~3 [3] ‘한글 맞춤法’ 第30項 [1] 을 두루 考慮하면, 소리는 ‘標準語 規定’·表記는 ‘한글 맞춤法’에 規定되어 있으며, 소리와 表記가 반드시 一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卽 사이시옷이 있다고 하여 반드시 特定 소리가 添加되어야만 하지도 않고(예: 냇가[내ː까 (原則) /낻ː까 (許容) ]), 사이시옷이 없다고 하여 반드시 特定 소리가 添加되지 않아야만 하지도 않는다(예: 이죽-이죽[二重니죽 (原則) /移住氣죽 (許容) ]).

마치 ‘言語’인 ‘ 韓國語 ’와 ‘文字’인 ‘ 한글 ’이 密接하게 聯關되어 있지만, 다른 槪念인 것처럼, ‘소리’는 ‘사잇소리 現象’과 ‘表記’인 ‘사이시옷’은 密接하게 聯關되어 있지만, 다른 槪念이다. 工巧롭게도, 兩者에 第30項 이 共通으로 存在하기 때문에 混同할 危險性이 매우 높기 때문에, 兩者를 混同하지 않도록 매우 注意하여야 한다.

‘純 우리말 + 純 우리말’이면서 ‘앞말이 母音으로 끝’나는 境遇 [ 編輯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境遇 [ 編輯 ]

‘개-구멍·배-다리·새-집[鳥巢]·머리-말[序言]’ 의 境遇는, 앞 單語의 끝이 閉鎖되는 構造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개-똥·보리-쌀·허리-띠·개-펄·배-脫·허리-춤’ 의 境遇는, 뒤 單語의 첫소리가 된소리나 거센소리이므로, 亦是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개-값·내-가[川邊]·배-가죽[腹皮]·새(←사이)-길[間路]·귀-병(病)·기(旗)-대·세(貰)-돈·화(火)-김’ 의 境遇는, 앞 單語의 끝이 閉鎖되면서 뒤 單語의 첫소리가 硬音化하여 [갣ː깝·낻ː까]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갯값·냇가·뱃가죽·샛길·귓病·旗대·貰돈·火김’ 으로 적는다.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境遇 [ 編輯 ]

뒷말의 첫소리 母音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境遇 [ 編輯 ]

‘깨-잎·나무-잎·뒤-윷·허드레-日·加外(加外)-日·保(洑)-日’ 의 境遇는, 앞 單語 끝이 閉鎖되면서 뒤 單語의 첫소리로 [ㄴ]陰이 添加되고, 同時에 童話 現象(同化現象)이 일어나 [깯닙→깬닙·나묻닙→나문닙]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깻잎·나뭇잎·뒷윷·허드렛일·加外일·洑일’ 로 적는다.

‘純 우리말 + 漢字語’이면서 ‘앞말이 母音으로 끝’나는 境遇 [ 編輯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境遇 [ 編輯 ]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境遇 [ 編輯 ]

뒷말의 첫소리 母音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境遇 [ 編輯 ]

‘漢字語 + 漢字語’인 境遇 [ 編輯 ]

漢字語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것을 原則으로 하되, 이 6個 單語만은 아래와 같이 적는다.

‘高-간(庫間)·세-방(貰房)·수-자(數字)·차-간(車間)·퇴-간(退間)·회-수(回數)’ 의 境遇는, 漢字語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것을 原則으로 하되, 이 6個 單語만은 ‘庫間·貰房·數字·車間·退間·回數’ 로 적는다.

이 說明에 따르면, ‘內科(內科)·理科(理科)·總務課(總務課)·薔薇科(薔薇科)’ 等은 위에서 다루어진 6個 以外의 漢字語이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으며, ‘나리-과(科)·말선두리-과(科)’ 等은, ‘과’가 比較的 獨立性이 弱한 形態素이긴 하지만, 앞의 固有語와의 사이에 境界가 認識되는 構造이므로, ‘第30項의 2’(뒷말의 첫소리 母音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境遇)의 規定을 適用하여 ‘나릿과·말先頭里과’ 로 적는 것이다.

한便, ‘第30項의 2 (1)’(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의 例示어 ‘茶盞·茶鍾’에서의 ‘車’가 純 우리말이냐 하는 疑問이 있을 수 있겠으나, 예로부터 ‘茶’ 者의 새김[訓]이 ‘車’였으므로, 漢字語 ‘다(茶)’와 區別한 것으로 解釋된다.

기타 [ 編輯 ]

專門用語는 사이시옷을 使用하지 않는 것이 通用되기도 한다. 한便 現在 사이시옷 規定은 規定 自體의 矛盾과 誤謬는 勿論이고 大衆의 言語 習慣을 充分히 考慮하지도 못했다는 限界를 지니고 있다는 批判과 廢止論이 있다. [9] [10]

各州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