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리아 集團虐殺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시리아, 칼데아, 시리아 集團 虐殺 經路 地圖.

아시리아 集團虐殺 ( 아람어 : ???? ???? ?????? 켈마 암마 아우라야 )은 第1次 世界大戰 當時 오스만 帝國軍과 一部 쿠르드族이 아나톨리아 南東部와 페르시아 아제르바이잔 地方에서 아시리아人 /시리아 基督敎人을 大量 虐殺하고 追放한 事件이다.

아시리아人들은 시리아 正敎會 , 아시리아 東方敎會 , 칼데아 가톨릭교회 等 서로 敵對的인 敎會로 나뉘었다. 第1次 世界 大戰 以前에 이들은 오스만 帝國의 山岳 地帶와 외딴 地域에 살았다(일부는 事實上 無國籍者였다). 아시리아人들의 暴力과 危險은 帝國의 19世紀 中央集權化 努力에 依해 增加했다.

아시리아 集團虐殺은 1915年 1月부터 5月까지 오스만 帝國이 아제르바이잔을 占領하는 동안 始作되었으며, 이 期間 동안 오스만 軍隊와 親오스만 쿠르드族에 依해 虐殺이 恣行되었다. 비틀리스 地方에서는 페르시아에서 돌아온 오스만 軍隊가 現地 쿠르드族 不足과 合流해 現地 基督敎人( 아르메니아인 아시리아人 )을 虐殺했다. 오스만 軍隊와 쿠르드族은 1915年 中盤에 아시리아의 下카리 不足을 攻擊했고, 部族들이 協力的인 軍事 防禦를 構築했음에도 不拘하고 9月에 그들을 몰아냈다. 州知事 메메드 레시드는 시리아 基督敎人을 包含해 디야르베키르 地方의 모든 基督敎 共同體를 虐殺했으며, 투르 압딘 一部 地域에서는 散發的인 武力 抵抗에 直面했다. 훨씬 南쪽에 사는 오늘날 이라크와 시리아의 오스만 아시리아人들은 虐殺의 對象이 아니었다.

아시리아 集團虐殺은 아르메니아인 集團虐殺 과 同時에 일어났고, 이와 密接한 關聯이 있지만, 아시리아 集團虐殺은 덜 體系的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오스만 政府보다 現地 行爲者들의 役割이 컸지만, 後者는 特定 아시리아人들에 對한 攻擊을 命令하기도 했다. 殺害 動機에는 一部 아시리아 共同體들 사이에서 오스만 帝國에 對한 忠誠心 不足, 이들의 땅을 차지하려는 欲求가 包含되었다. 1919年 파리 講和會議 에서 아시로-찰드 代表團은 人命被害만 25萬 名(戰爭 全 人口의 約 折半)이나 된다고 發表했는데, 이 數値의 正確性은 알 수 없다. 以後 1923年 로잔 會議에서 死亡者 數를 27萬 5千 名으로 推算하는 것으로 修正했다. 아시리아 集團虐殺은 아르메니아人 集團 虐殺보다 더 적게 硏究되었다. 1990年代부터 아시리아 디아스포라가 主導하여 該當 事件을 集團 虐殺로 인정받으려는 努力이 始作되었다. 오스만 帝國의 아시리아人들이 集團 虐殺의 被害者였음을 認定하는 國家들이 여럿 있지만, 튀르키예 政府는 이 主張을 否定한다.

背景 [ 編輯 ]

現在 아시리아人 , 칼데아人, 아람人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上部 메소포타미아 出身이며 歷史的으로 아람어 를 使用했으며 이들의 祖上은 祈願後 1世紀에 基督敎로 改宗했다. 시리아 基督敎의 첫 番째 主要 異敎 死産 帝國 의 基督敎人들이 로마 帝國 의 公式的인 宗敎로부터 그들을 區別하기 위해 東方敎會 를 形成했던 410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 鉏시리아 前例 (後날 시리아 正敎會)는 로마 統治者들에 依해 神學的 差異로 迫害를 받았지만, 東方 敎會와는 分離된 채로 남아 있었다. 시리아 基督敎의 分裂은 帝國 間의 政治的 分裂과 聖職者들 間의 個人的인 敵對感에 依해 觸發되었다. [2]

十字軍 戰爭 과 몽골의 侵攻으로 中東 基督敎 社會는 荒廢해졌다. 16世紀 17世紀 에 各各 칼데아 가톨릭교회 와 시리아 가톨릭교회는 東方敎會와 시리아 正敎會에서 分離되어 가톨릭교회와 完全相通 되었다. 다른 敎會들은 모두 異端으로 看做되었다. [3]

오스만 帝國의 아시리아人 [ 編輯 ]

Color-coded map of the Assyrian homeland
1919年 平和 會議에서 아시리아-칼데아 代表團이 提示한 戰爭 前 아시리아人 人口의 比率.
   50% 以上
   30?40%
   20?30%
   10?20%
   5?10%

오스만 帝國은 밀레트 에서 民族이 아닌 宗敎的 敎派를 認定했는데, 이는 시리아 正敎會와 야쿠빌레르(시리아 正敎會 또는 야코비테스), 나스투릴레르(東邦 敎會 또는 네스토리우스派 ), 켈다닐레르(칼데아 가톨릭 敎會)였다. [3] [4] 19世紀까지 이들 그룹은 아르메니아 밀레트의 一部였다. [5] [6] 오스만 帝國의 아시리아人들은 國家의 統制를 被害 외딴 山間 地域에 定着하여 살았다. [7] 이러한 遠隔性이 아시리아人들로 하여금 徵兵과 稅金을 避할 수 있게 해주었지만, 內部的인 差異를 굳히고 아르메니아 民族 運動과 類似한 集團 正體性의 出現을 沮止하기도 했다. [8] 아르메니아인들과 달리 시리아 基督敎人들은 오스만 商業의 不均衡한 部分을 統制하지 못했고, 隣近 敵對國에서도 人口가 많지 않았다. [9]

戰爭 前 아시리아人의 人口는 正確하게 推算되지 않았지만, 件트는 50萬~60萬 名으로 推定했다. 오스만 帝國에서 아시리아人이 多數를 차지한 마을은 디야르베키르 脂肪(빌라豫트)의 美多野트뿐이었다. [10] 시리아 正敎會 敎人들은 투르 압딘으로 알려진 미디야트 周邊의 丘陵性 農村 地域에 集中되어 거의 100個의 마을에 살면서 農業이나 手工業에 從事했다. [10] [11] 시리아 正敎會 文化는 마르딘 (투르 압딘 西쪽) 隣近의 모르 가브리엘과 데이룰자파란 두 修道院이 中心이었다. [12] 시리아人들의 居住地 外에도 샨르우르파 , 下르푸트, 아디野蠻 等의 마을에도 많은 人口가 살고 있었다. [13] 투르 아브딘의 시리아人 人口와는 달리 이들 시리아人 中 多數는 非아람어를 使用했다. [7]

쿠드샤니스에 基盤을 둔 東方 敎會 總大主敎 아래 아시리아 部族들은 오스만-페르시아 國境에 隣接한 투르 압딘 東쪽의 下카리 山脈을 支配했다. [10] 學카리는 山이 매우 많아 봉우리가 4,000m에 達하고 가파른 峽谷으로 分離되어 있다. 많은 地域은 山비탈을 깎아 만든 오솔길을 통해서만 接近할 수 있었다. [14] 아시리아 部族들은 쿠르드族 의 同盟國들을 代身해 서로 싸우기도 했다. [15] 東쪽에는 페르시아 우르미아湖 의 西쪽 海岸가에서 東邦의 敎會가 始作되었고, 바로 北쪽에는 살라마스에 칼데아人의 居住地가 있었다. 비틀리스 地方의 시르트 周邊(투르 압딘의 北東쪽과 學카리의 北西쪽, [16] 學카리보다 山이 적은 곳) [14] 에는 칼데아人의 居住地가 있었지만, 大部分의 칼데아人은 오늘날 이라크에서 南쪽으로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살았다. [16]

葛藤 惡化 [ 編輯 ]

tinted photo of a hillside village
1900年 學카리의 바즈 마을 마타 크타타

비록 쿠르드族과 아시리아人은 서로 잘 統合되어 있었지만, 件트는 이 統合이 "暴力, 襲擊, 女性 拉致와 强姦, 人質 拉致, 소 도둑질, 强盜, 掠奪, 마을의 횃불, 慢性的인 不安 狀態로 곧바로 이어졌다"고 썼다. [17] 이들의 自治權을 維持하려는 아시리아의 努力은 事實上 無國籍者 地域이었던 곳에 對한 統制權을 主張하려는 오스만 帝國의 19世紀 中央集權化와 近代化에 對한 試圖와 衝突했다. [17] 아시리아人을 겨냥한 最初의 集團 暴力은 1840年代 中盤 쿠르드族 에미르 베디르 칸이 學카리와 투르 압딘을 焦土化시켜 數千 名이 死亡했다. [18] [19] 部族間의 不和가 일어나는 동안, 暴力의 大部分은 反對 部族의 保護 아래 基督敎 마을들을 向했다. [20]

1877 ~ 1878年의 러시아-튀르크 戰爭 동안, 오스만 國家는 러시아와 싸우기 위해 쿠르드族에게 現代式 武器들로 武裝했다. 戰爭의 끝에서 쿠르드族이 武器들을 돌려주기를 拒否했을 때, 오래된 武器들에 依存했던 아시리아人들은 不利했고 漸漸 더 暴力에 시달렸다. [21] 非正規 下미디예 騎兵隊는 1880年代에 政府에 충성하는 쿠르드族 部族들로부터 形成되었으며, 閔君法과 軍事法을 免除받음으로써 處罰받지 않고 暴力을 行使할 수 있었다. [20] [22] 쿠르드 샤이크 形態의 政治的 이슬람敎의 登場은 아시리아人과 무슬림 쿠르드人 사이의 分裂을 擴大시키기도 했다. [21] 1895年 디야르베키르 虐殺로 많은 아시리아人들이 목숨을 잃었다. [23] 1908年 젊은 튀르크 革命 以後 아시리아는 새 政府가 反基督敎 이슬람主義를 助長하는 것을 中斷하기를 希望했지만, 暴力 事態는 더욱 惡化되었다. [24] [25] 1908年 쿠르드族의 土侯 바르와裡에 依해 12,000名의 아시리아人이 리盞 溪谷에서 追放되었다. [26] 오스만 帝國 當局은 쿠르드族의 攻擊을 막기 위해 아무 措置도 取하지 않았기 때문에, 桐마르 詩文 9歲 베냐민 總大主敎는 第1次 世界 大戰 以前에 러시아 帝國 과 協商을 始作했다. [10]

第1次 世界大戰 [ 編輯 ]

A group of men, most with weapons
페르시아 國境 地域인 테르가와르 出身의 아시리아 戰士들

戰爭 前 러시아와 오스만 帝國은 서로 領土 內의 住民들에게 적진 뒤에서 게릴라전을 벌이도록 求愛했다. 오스만 帝國은 페르시아에 있는 아시리아人과 아제리인 을 비롯해 캅카스 무슬림과 아르메니아인을 끌어들이려 했고, 러시아는 오스만帝國에 居住하는 아르메니아인과 쿠르드人, 아시리아人을 注目했다. [27] 戰爭 以前에 러시아는 아제르바이잔과 타브리즈를 包含한 페르시아 北東部 一部를 支配했다. [28] [29]

다른 大量 虐殺과 마찬가지로 아시리아 集團虐殺度 여러 가지 原因이 있었다. 民族主義의 負傷은 競爭的인 튀르크, 쿠르드, 페르시아, 아랍 民族主義 運動 으로 이어졌고, 이는 아시리아人들이 居住하는 이미 紛爭이 많은 國境 地帶에 暴力을 증가시키는 데 寄與했다. 歷史學者 도날드 블록샴은 오스만 基督敎人들을 保護한다는 前提下에 오스만 帝國에 干涉하는 유럽 列强들의 否定的인 影響力을 强調한다. 이러한 帝國主義 는 오스만 基督敎人들을 報復 攻擊의 危險에 빠뜨렸다. 1912年과 1913年 발칸 戰爭 에서 오스만의 敗北는 발칸 半島에서 이슬람敎徒 難民들의 脫出을 觸發했다. 統一進步委員會 政府는 帝國에 충성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人口들로부터 沒收된 땅에 東部 아나톨리아에 難民들을 再정착시키기로 決定했다. [30] 基督敎 人口의 追放과 人口가 減少한 地域에서의 무슬림들의 財政착은 直接的인 聯關性이 있었다. [31] 人口 代替의 目標는 발칸 무슬림들을 튀르크化하고 基督敎 人口로부터 感知된 內部 威脅을 종식시키는 것이었다. 地域 政治人들이 非이슬람敎徒들에게 暴力을 加하는 傾向이 있는 가운데, 이러한 要因들은 大量虐殺의 前提條件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다. [32]

統一進步委員會의 政治人 엔베르 파샤 는 自身에게 충성하는 準軍事組織 特別組織을 세웠다. 그 組織員들 中 많은 數가 그 일로 出所한 犯罪者들로 有罪 判決을 받은 사람들은 間諜과 工作員으로 活動했다. [33] 오스만 帝國은 1914年 7月 24日 戰爭에 總動員令을 내렸고, 얼마 지나지 않아 獨逸-오스만 同盟을 맺었다. [34] 戰爭이 터졌을 때 아르메니아 革命 聯盟 이 러시아에서 친 오스만 叛亂을 일으키면 1914年 8月 統一進步委員會는 아르메니아 會議에 代表團을 派遣해 아르메니아 自治 地域을 提案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이를 拒否했고, 件트에 따르면 8月 3日 에서 마르 詩文에게 비슷한 提案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쿠드샤니스로 돌아온 마르 詩文은 追從者들에게 "튀르크人들에 對한 모든 義務를 嚴格히 履行하라"고 促求하는 便紙를 보냈다. [35] 하카里의 아시리아人들은 다른 오스만 帝國의 臣下들과 마찬가지로 오스만 軍隊에 徵集되는 것을 拒否했고, 많은 이들이 8月에 페르시아로 逃亡쳤다. [36] 그러나 마르딘 의 사람들은 徵集을 받아들였다. [37]

各州 [ 編輯 ]

[ 編輯 ]

챕터 [ 編輯 ]

  • Altu?, Seda (2021). 〈Culture of Dispossession in the Late Ottoman Empire and Early Turkish Republic〉. 《Reverberations: Violence Across Time and Space》 (英語).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83?116쪽. ISBN   978-0-8122-9812-3 .  
  • Donef, Racho (2017). 〈Sayfo and Denialism: A New Field of Activity for Agents of the Turkish Republic〉. 《Let Them Not Return: Sayfo ? The Genocide Against the Assyrian, Syriac, and Chaldean Christians in the Ottoman Empire》. Berghahn Books . 205?218쪽. ISBN   978-1-78533-499-3 .  
  • Gaunt, David; Atto, Naures; Barthoma, Soner O. (2017). 〈Introduction: Contextualizing the Sayfo in the First World War〉. 《Let Them Not Return: Sayfo ? The Genocide Against the Assyrian, Syriac, and Chaldean Christians in the Ottoman Empire》. Berghahn Books . 1?32쪽. ISBN   978-1-78533-499-3 .  
  • Gaunt, David (2011). 〈The Ottoman Treatment of the Assyrians〉. 《 A Question of Genocide: Armenians and Turks at the End of the Ottoman Empire 》. Oxford University Press. 245?259쪽. ISBN   978-0-19-978104-1 .  
  • Gaunt, David (2013). 〈Failed Identity and the Assyrian Genocide〉. 《Shatterzone of Empires: Coexistence and Violence in the German, Habsburg, Russian, and Ottoman Borderlands》 illurat版. Indiana University Press . 317?333쪽. ISBN   978-0-253-00631-8 .  
  • Gaunt, David (2017). 〈Sayfo Genocide: The Culmination of an Anatolian Culture of Violence〉. 《Let Them Not Return: Sayfo ? The Genocide Against the Assyrian, Syriac, and Chaldean Christians in the Ottoman Empire》. Berghahn Books . 54?69쪽. ISBN   978-1-78533-499-3 .  
  • Gaunt, David (2020). 〈The Long Assyrian Genocide〉. 《Collective and State Violence in Turkey: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Identity from Empire to Nation-State》 (英語). Berghahn Books . 56?96쪽. ISBN   978-1-78920-451-3 .  
  • Hellot, Florence (2003). 〈La fin d'un monde: les assyro-chaldeens et la premiere guerre mondiale〉 [The end of a world: the Assyro-Chaldeans and the First World War]. 《Chretiens du monde arabe: un archipel en terre d'Islam》 [Christians of the Arab world: an archipelago in the land of Islam] (프랑스語). Autrement. 127?145쪽. ISBN   978-2-7467-0390-2 .  
  • Hellot-Bellier, Florence (2018). 〈The Increasing Violence and the Resistance of Assyrians in Urmia and Hakkari (1900?1915)〉. 《Sayfo 1915: An Anthology of Essays on the Genocide of Assyrians/Arameans during the First World War》. Gorgias Press. 107?134쪽. ISBN   978-1-4632-0730-4 .  
  • Hofmann, Tessa (2018). 〈The Ottoman Genocide of 1914?1918 against Aramaic-Speaking Christians in Comparative Perspective〉. 《Sayfo 1915: An Anthology of Essays on the Genocide of Assyrians/Arameans during the First World War》. Gorgias Press. 21?40쪽. ISBN   978-1-4632-0730-4 .  
  • Kieser, Hans-Lukas ; Bloxham, Donald (2014). 〈Genocide〉. 《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First World War : Volume 1: Global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585?614쪽. ISBN   978-0-511-67566-9 .  
  • Muller-Sommerfeld, Hannah (2016). 〈The League of Nations, A-Mandates and Minority Rights during the Mandate Period in Iraq (1920?1932)〉 . 《Modernity, Minority, and the Public Sphere》 (英語). Brill . 258?283쪽. ISBN   978-90-04-32328-5 . 2022年 2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2年 2月 10日에 確認함 .  
  • Murre-van den Berg, Heleen (2018). 〈Syriac Identity in the Modern Era〉. 《The Syriac World》 (英語). Routledge . 770?782쪽. ISBN   978-1-317-48211-6 .  
  • Naby, Eden (2017). 〈Abduction, Rape and Genocide: Urmia’s Assyrian Girls and Women〉. 《The Assyrian Genocide: Cultural and Political Legacies》. Routledge. 158?177쪽. ISBN   978-1-138-28405-0 .  
  • Polatel, Mehmet (2019). 〈The State, Local Actors and Mass Violence in Bitlis Province〉. 《The End of the Ottomans: The Genocide of 1915 and the Politics of Turkish Nationalism》 (英語). Bloomsbury Academic . 119?140쪽. ISBN   978-1-78831-241-7 .  
  • Talay, Shabo (2017). 〈Sayfo, Firman, Qafle: The First World War from the Perspective of Syriac Christians〉. 《Let Them Not Return: Sayfo ? The Genocide Against the Assyrian, Syriac, and Chaldean Christians in the Ottoman Empire》. Berghahn Books . 132?147쪽. ISBN   978-1-78533-499-3 .  
  • Talay, Shabo (2018). 〈Sayfo 1915: the Beginning of the End of Syriac Christianity in the Middle East〉. 《Sayfo 1915: An Anthology of Essays on the Genocide of Assyrians/Arameans during the First World War》 (英語). Gorgias Press . 1?20쪽. ISBN   978-1-4632-3996-1 .  
  • Tamcke, Martin (2009). 〈World War I and the Assyrians〉. 《The Christian Heritage of Iraq: Collected papers from the Christianity of Iraq I-V Seminar Days》 (英語). Gorgias Press. 203?220쪽. ISBN   978-1-4632-1713-6 .  
  • Ungor, U?ur Umit (2017). 〈How Armenian was the 1915 Genocide?〉. 《Let Them Not Return: Sayfo ? The Genocide Against the Assyrian, Syriac, and Chaldean Christians in the Ottoman Empire》. Berghahn Books . 33?53쪽. ISBN   978-1-78533-499-3 .  
  • Wolvaardt, Adriaan (2014). 〈Inclusion and Exclusion: Diasporic Activism and Minority Groups〉. 《Muslim Citizens in the West: Spaces and Agents of Inclusion and Exclusion》. Ashgate Publishing . 105?124쪽. ISBN   978-0-7546-7783-3 .  
  • Wozniak, Marta (2012). 〈Far from Aram-Nahrin: The Suryoye Diaspora Experience〉. 《Border Terrains: World Diasporas in the 21st Century》 (英語). Brill. 73?83쪽. ISBN   978-1-84888-117-4 .  
  • Yalcin, Zeki (2009). 〈The Turkish Genocide against Christian Minorities during WW1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Scandinavian Observers〉. 《Suryoye l-Suryoye: Ausgewahlte Beitrage zur aramaischen Sprache, Geschichte und Kultur》 [Suryoye l-Suryoye: Selected Contributions to Aramaic Language, History and Culture] (英語). Gorgias Press. 213?228쪽. ISBN   978-1-4632-1660-3 .  
  • Yuhanon, B. Beth (2018). 〈The Methods of Killing Used in the Assyrian Genocide〉. 《Sayfo 1915: An Anthology of Essays on the Genocide of Assyrians/Arameans during the First World War》 (英語). Gorgias Press. 177?214쪽. ISBN   978-1-4632-3996-1 .  

저널 記事 [ 編輯 ]

더 보기 [ 編輯 ]

  • Akdemir, Mary (2023). 〈Big Secrets, Small Villages: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Assyrian Genocide〉. 《The Genocide of the Christian Populations in the Ottoman Empire and its Aftermath (1908-1923)》. Taylor & Francis. ISBN   978-1-000-83361-4 .  
  • Gaunt, David (2023). 〈Late Recognition of the Assyrian Genocide〉. 《The Genocide of the Christian Populations in the Ottoman Empire and its Aftermath (1908-1923)》. Taylor & Francis. ISBN   978-1-000-83361-4 .  
  • Lundgren, Svante (2023). “When the Assyrian Tragedy Became Seyfo: A Study of Swedish-Assyrian Politics of Memory”. 《Genocide Studies International》 14 (2): 95?108. doi : 10.3138/GSI-2022-0002 . S2CID   257178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