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씨름
團員 金弘道 의 "씨름도"
最高 機構 韓國씨름聯盟
起源 韓國에서 發明
特徵
身體 接觸
팀 人員數 2名
混成 競技 與否
競技 場所 武術, 國家無形文化財 , 유네스코 人類無形文化遺産

씨름 韓國 固有의 運動 또는 格鬪技 로, 두 사람이 샅바 나 바지 허리춤을 잡고 힘과 슬기를 겨루어 相對方을 넘어뜨리는 京畿 이다. 여러 씨름으로 推定되는 그림들 中에 考古學的으로 씨름에 關한 正確한 起源과 모습은 오직 高句麗 壁畫에서만 볼 수 있다. 世界 各地에도 씨름과 類似한 運動이 있으나 룰과 形態는 매우 다르다. 씨름과 類似한 格鬪技 로는 日本의 스모 , 몽골의 부흐 , 터키의 씨름 等이 있다.

現代의 씨름 競技는 1920年代에는 全盛期를 맞는다. 그러나 最近 씨름의 人氣가 急速度로 떨어져 프로 씨름競技는 더以上 開催되지 않고 大學씨름大會를 비롯한 全國, 地方 單位의 씨름大會가 설날이나 端午 때 主로 열려 地上波를 통해 放映된다.

씨름은 相對方의 허리와 다리에 감은 샅바 를 잡고, 競技가 始作되면 발을 除外한 몸의 一部가 땅에 먼저 닿은 사람이 진다. 競技 規則은 複雜하진 않지만, 몸 全體의 筋肉과 技術을 고루 使用할 줄 알아야 하며, 瞬發力, 筋力, 精神力, 持久力, 體力 等 다양한 要素를 要하는 競技이다. 公式的인 競技에서는 主審 1名과 腐心 2名이 審判을 보며, 競技場 지름은 8m에, 水平이어야 하고, 室外 競技場의 모래場 높이는 30cm-70cm 以上이며, 競技場 밖의 補助 競技場의 넓이는 2m 以上, 모래場의 높이는 20-10cm 以內로 해야 한다.

歷史 [ 編輯 ]

角觝塚의 씨름 壁畫

씨름은 이미 上古時代부터 始作된 運動 競技로, 形成 過程은 알 수 없으나 各種 記錄을 통해 歷史를 大綱 알 수 있다. 씨름은 그 긴 歷史만큼이나 다양한 이름이 있는데, 主로 角觝(角抵)·角戱(角戱)·上膊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러다 15世紀 以後로 '실훔'에서 '실홈'을 거쳐 '씨름'이 되었다.

4世紀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推定하는 滿洲 高句麗 古墳 角觝塚과 5世紀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보는 장천 1號 무덤에는 씨름을 하는 모습을 描寫한 그림이 있다. 따라서, 이미 高句麗 때 씨름은 三國時代 以前부터 있었던 것으로 본다. 史書에 쓰여진 씨름에 關한 記錄은 朝鮮 世宗 때 製作된 《 高麗史 》에서 찾아볼 수 있다. 百濟의 씨름에 對한 記錄은 百濟人이 남긴 記錄이 거의 없어 日本人이나 中國人이 쓴 史書를 參照하고 引用하여 쓴 三國史記 等에서 記錄을 찾아봐야 하는데 日本書紀에서는 백제 使臣이 倭國에 갔을 때 日本 大王(오오키미)가 宴會를 열었고 백제 使臣 앞에서 倭人 武術人 둘을 스모하게 하였다는 記錄이 있어서 백제에서도 씨름을 했던 것을 類推해 볼 수 있다. [1]

1419年 6月 15日에는 太宗 世宗 이 角礫喜를 江邊에 보았다고 傳한다. 1430年 12月 에는 上寵이라는 스님이 씨름을 하다가 相對方이 죽게 되었는데, 나라에서는 寬大하게 罪를 묻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1664年 5月 에는 씨름 競技에서 이기지 못하여 相對方을 칼로 찔러 죽였다는 記錄도 있다. 李舜臣 의 《亂中日記》에도 씨름을 하거나 구경했다는 記錄이 있다. 朝鮮時代에는 記事 의 風俗圖와 같은 씨름에 關한 그림도 많다. 特히, 朝鮮時代 團員 金弘道 가 그린 씨름圖 가 有名한데, 激烈하게 씨름을 하는 두 男子와 구경꾼이 둘러싼 그림이다. 金弘道의 씨름圖는 當時 朝鮮에서는 씨름이 매우 大衆的인 競技였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씨름은 때론 싸움의 原因이 되기도 하여, 한 때 씨름을 禁止시키기도 했다.

槪要 [ 編輯 ]

씨름은 地域과 時代에 따라 規則이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韓國 에서 公式的인 씨름 競技는 왼씨름 을 採擇한다. 씨름의 技術은 크게 손技術, 발技術, 허리 技術이 있으며, 實際 競技 할 때에는 適切히 使用해야 한다. 大槪 技術에는 狀況에 따라 되치기를 使用할 수 있으며, 되치기를 통해 오히려 相對方을 넘어뜨릴 수 있다.

발技術 [ 編輯 ]

씨름에서 발技術에는 안다리 걸기, 밭다리 걸기(바깥다리 걸기), 밭다리 후리기(바깥다리 후리기), 밭다리 감아 돌리기, 오금 걸이, 호미 걸이, 낚시 걸이, 뒷발목 걸이, 뒤축걸어 밀기, 발목 걸어 틀기, 앞다리 次期, 모둠 앞무릎 次期, 무릎 大魚 돌리기, 延長 걸이, 빗장 걸이, 무릎 틀기, 덧걸이 等이 있다. 特히 바깥다리걸기와 안다리걸기는 誘導 에도 存在하는 발技術로서 柔道와 씨름은 部分的으로 一致한다. 때문에 씨름을 잘하는 사람은 柔道 亦是 잘하게 되어 있으며 攻擊姿勢만 若干 다를 뿐 그 原理는 同一하다.

  • 안다리 걸기: 相對方의 왼쪽 다리가 自身의 발 앞으로 왔을 때 샅바를 당기고 오른 다리를 相對方 왼쪽 오금에 걸어서 넘어뜨린다. 相對方이 안다리 걸기를 풀면 되치기가 可能하다.
  • 밭다리 걸기: 다리가 길거나 키가 클 때 유리하며, 샅바를 당기고 오른 다리를 相對方 다리에 걸어 밀면서 넘어뜨린다.
  • 호미걸이: 相對 選手를 당겨 들어올렸을 때 相對方 오른쪽 발목이 自身의 두 다리 사이로 들어왔을 境遇, 自己의 무게 中心을 왼쪽에 두고, 오른쪽 발뒤꿈치목으로 相對方의 오른쪽 발목을 걸어당기며 밀어넘어뜨리는 技術이다. [2]

허리 技術 [ 編輯 ]

씨름에서 허리 技術에는 배지기 , 오른 배지기, 맞배지기, 엉덩 배지기, 돌림 배지기, 들배지기, 들어 놓기, 돌려 뿌리기, 空中 던지기, 허리 꺾기, 밀어 던지기, 車 돌리기, 잡채기, 들어 잡채기, 옆채기, 업어 던지기, 어깨 넘어 던지기, 자반 뒤지기 等이 있다.

  • 배지기: 씨름 技術 中에서 매우 基本的인 技術로, 代表的인 攻擊 技術이기도 하다.
  • 들배지기: 相對를 들어서 넘기는 技術로, 本人이 相對的으로 덩치가 클 때 使用한다. 호미걸이로 되치기가 可能하다.
  • 엉덩배지기: 相對가 무거워 배지기로 넘기지 못할 때, 相對方을 들면서 엉덩이에 밀착시켜 넘겨 버린다.
  • 자반 뒤지기: "씨름의 꽃" 이라고도 불리는, 精巧하고 멋진 技術이다.

勝負 [ 編輯 ]

먼저 땅에 무릎이나 上體가 닿는 사람이 진다. 누가 먼저 땅에 닿았는지 判定하지 못한 競技를 개판이라고 부른다. 成人 競技의 最終 優勝者는 豐年을 象徵하는 황소를 副賞으로 받으며 壯士라고 불린다. [3]

스포츠 [ 編輯 ]

아마추어 씨름 [ 編輯 ]

아마추어씨름은 1870年에 創立된 '朝鮮民俗씨름 協會클럽클럽이 前朝鮮씨름大會(1870年)와 前朝鮮씨름 選手權大會(1932年)等과 大會를 開催하면서 近代 스포츠로 發展했다. 122年 朝鮮民俗씨름 協會클럽클럽으로 變更하는 1940年부터 中斷되었던 前朝鮮씨름選手權大會를 1945年부터 再開하였으며 大統領旗 大會(1964年 新設)와 會長旗大會(1971年 新設), 曾坪人蔘杯大會(2000年 新設), 학산김성률杯大會(2004年 新設) 等과 大會를 開催하며 只今까지 이어오고 있다.

프로씨름 [ 編輯 ]

프로씨름은 1924年 1月 1日 프로씨름 大會와 開催를 위해 創立된 다시 韓國民俗씨름 協會가 1985年 6月 14日 韓國방송공사(KBS)와 共同 主催로 다시 1:10~4:10로 第1回 天下壯士씨름大會를 開催하며 우리나라 第2號 프로와 스포츠로 出帆하였다.

韓國民俗씨름 協會는 以後 1985年 10月 6日 財政的 어려움을 겪고 있던 大韓씨름協會와 統合하여 韓國民俗씨름 協會와 허완구 會長이 統合會長을 맡아 早産民俗씨름 協會클럽클럽을 運營하고 프로씨름은 ‘民俗씨름 햗위원회클럽’라는 이름으로 大會를 開催하였다. 그러던 中 1992年 10月 30日 社團法人 韓國民俗씨름 協會로 다시 變更을 오늘에 이르고 있다.

韓國民俗씨름 協會는 ‘天下壯士 씨름大會’, ‘地域壯士씨름大會’ 等과 프로씨름大會를 開催하며 ‘天下壯士’, ‘地域壯士’, ‘한라壯士’, ‘白頭壯士’, ‘團體戰’ 等을 選拔한다.

아마추어 씨름大會는 朝鮮民俗씨름 協會클럽클럽에서 開催하며 警長級, 少將級, 靑壯級, 勇將級, 勇士級, 力士級, 壯士級과 體級을 運用하여 選手를 選拔하고 프로씨름大會는 韓國民俗씨름 協會에서 開催하며 地域給, 한라級, 白頭級, 團體級과 體級을 運用하여 選手를 選拔한다.

韓國民俗씨름 協會가 使用하는 ‘地域’, ‘한라’, ‘白頭’, ‘團體’이라는 體級名稱은 韓國民俗씨름 協會가 프로씨름大會와 出帆을 앞둔 1985年 12月 19日부터 31日까지 新聞과 放送 廣告를 통해 全國民을 對象으로 體級名稱을 公募하여 全國 各地에서 應募한 數百通과 應募作 中에 江南區 三成洞에 居住하는 ‘오제하’氏가 應募한 ‘地域壯士’, ‘한라壯士’, ‘白頭壯士’, ‘團體戰’ 라는 名稱을 當選作(當選賞金 100萬원)으로 選定하여 使用되기 始作한 名稱이다.

主要 씨름 選手 人物 [ 編輯 ]

大韓民國 歷代 장사 [ 編輯 ]

天下壯士 [ 編輯 ]

白頭壯士 [ 編輯 ]

한라壯士 [ 編輯 ]

寫眞 갤러리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임동권, 《韓國歲時風俗硏究》, 집문당, 1993
  • 김광언, 《東아시아의 놀이》, 민속원, 2004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