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대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진안대군 이방우 에서 넘어옴)

진안대군
鎭安大君
鎭安공(鎭安公)
增(贈) 津한 정효공(辰韓 定孝公)
鎭安郡(鎭安君)
增(贈)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름
이방우
別號 四號(祠號) 는 淸德(淸德)
시호(諡號) 는 卿孝(敬孝), 正義(靖懿)
身上情報
出生日 1354年
出生地 元 干涉期 高麗 咸鏡道 花翎群 영흥면 흑석리
死亡日 1394年 1月 23日 (陽曆)
(享年 41歲)
死亡地 朝鮮 동북면 函主婦 咸興목 에서 過飮 主櫝으로 因한 兵士
王朝 朝鮮
家門 全州 李氏
父親 太祖
母親 信義王后 韓氏
配偶者 政府인 : 삼한국大夫人 忠州 池氏
側室 : 海州 王氏
子女 2男 2女
棒녕群 二腹筋(奉寧君 李福根)
純녕군 이덕근 (順寧君 李德根)
경혜翁主(敬惠翁主)
翁主(翁主)
其他 親姻戚 定宗 (朝鮮) (同腹동생)
益安大君 (同腹동생)
회안대군 (同腹동생)
朝鮮 太宗 (同腹동생)
덕안대군 (同腹동생)
무안대군 (異腹同生)
의안대군 (異腹同生)
阮元府院君 李亮雨 (四寸 兄)
完山府院君 이천우 (四寸 兄)
讓寧大君 (조카)
경녕군 (조카)
효령대군 (조카)
世宗大王 (조카)
덕천군 (조카) 等
宗敎 儒敎 ( 性理學 )

진안대군 (鎭安大君, 1354年 ~ 1394年 1月 23日 ( 1393年 陰曆 12月 13日 ))은 高麗 末期의 文身 利子 朝鮮 太祖의 嫡長子이다. 이름 은 방우(芳雨), 四號(祠號)는 淸德(淸德), 시호 (諡號)는 卿孝(敬孝)·正義(靖懿)이다.

生涯 [ 編輯 ]

朝鮮 太祖 신의왕후 (神懿王后) 安邊 韓氏 (安邊韓氏) [1] 사이의 長男 으로 咸鏡道 花翎群 영흥면 흑석리에서 태어났다.

高麗 말에 過去(文科) 에 及第하여 禮儀判書 [2] (禮儀判書)와 密直副使 (密直副使)를 지냈다. 否認 삼한국大夫人 (三韓國大夫人) 忠州 池氏 (忠州池氏) [3] 이다.

高麗 禑王 14年( 1388年 )에 아버지 李成桂 威化島 回軍 으로 政權 을 掌握하자 妻子를 데리고 敎主 강릉도 鐵原 보개산에 들어가 隱居하였다. 朝鮮 建國 後에도 國家 일에는 一切 干與하지 않고 西海도 海州 로 옮겨 가서 서너달 살다가, 아버지 太祖 李成桂 로부터 동북면 高原 땅 戰死(田舍)를 下賜받은 後에는 故鄕인 동북면 咸興 으로 다시 옮겨 간 後 1年 餘 만에 死亡하였다.

朝鮮 太祖 1年( 1392年 )에 여러 王子를 君으로 封할 때 鎭安郡(鎭安君)에 冊封되었으며, 1年 後인 太祖 2年( 1393年 ) 陰曆 12月 13日 享年 40歲를 一期로 死亡하였다. 《 朝鮮王朝實錄 》의 졸기에는 술甁으로 인해 死亡하였다고 記錄되어 있다. 事後 定宗 (朝鮮) 2年( 1400年 )에 진안대군(鎭安大君)으로 進封되었고, 朝鮮 太宗 18年( 1418年 )에 津한 정효공(辰韓 定孝公)에 追贈 되었다.

長男인 진안대군이 2代王이 되지 못한 理由 [ 編輯 ]

王子의 亂(1次)때 太祖의 5番째 아들 太宗(李芳遠)李 世子로 選擇된 異腹兄弟 方席을 죽인 後 庶子가 아닌 本妻에게서 낳은 아들이 後嗣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太祖의 2番째 아들인 正宗(吏房과)가 卽位하게 된다. 왜 長男인 진안대군(이방우)가 王이 되지않았냐고 疑問을 提起할 수 있는데, 그 理由는 元來 진안대군은 아버지와 달리 高麗에 對한 忠誠心으로 威化島回軍을 反對했고 高麗가 亡하고 太祖 李成桂가 왕이되자 約 1年 間 술만 먹고 슬퍼하다가 朝鮮이 建國된지 얼마되지 않아 死亡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自身 스스로 朝鮮의 王이 되기 싫어했다.

위의 이야기(이방우가 考慮에 對한 忠誠心으로 高麗가 亡하고 1年間 술만 마셨다는 이야기)는 그저 이지란이 敍述한 淸海百집이라는 野史에 나온 이야기일 뿐이다. 公式 記錄인 太祖 實錄에 依하면 開國 以後 長男으로서 太祖의 4代 先祖를 祭享하는 일을 맡는 等 멀쩡히 活動을 했다.

李成桂의 嫡長子인 이방우가 世子가, 王이 될 수 없었던 理由는 但只 1次 王子의 난 以前에 죽었기 때문이다.

이방우는 朝鮮 太祖 2年인 1393年 死亡했고, 第 1次 王子의 亂은 1398年 發生했다.

冬服 동생인 定宗이 남긴 墓碑文에 依하면 富貴榮華에 關心이 없었다라고 쓰여있긴 하나 이 墓碑文만을 보고 스스로 王이 되길 싫어했다고 斷定할 수는 없다.

記錄 [ 編輯 ]

太祖實錄 '鎭安郡 이방우의 졸기'에는 ‘鎭安郡은 性質이 술을 좋아하여 날마다 많이 마시는 것으로써 일을 삼더니, 燒酒를 마시고 病이 나서 졸하였다.’고 적고 있다.

正祖 13年( 1789年 ) 正祖 가 지은 '진안대군 이방우 墓碑文'에는 ‘어려서 太祖를 섬길 때 孝子路 稱頌받았고, 兄弟 사이에도 友愛가 敦篤했으며, 漸漸 자라면서는 詩書(詩書)에 마음을 쓰고 儉約을 實踐하면서 富貴榮華 따위에는 마음이 없었다.’고 적고 있다.

家族 關係 [ 編輯 ]

진안대군이 登場한 作品 [ 編輯 ]

TV 드라마 [ 編輯 ]

各州 [ 編輯 ]

  1. 增(贈) 門下府使(門下府事) 韓經(韓卿)의 딸
  2. 高麗時代 禮儀司(禮儀司)의 으뜸 벼슬
  3. 贊成事(贊成事) 지윤(池奫)의 딸. 다른 딸들은 聖貧 지氏와 熟議 지씨로 定宗의 後宮이 되었다.
  4. 太宗實錄 34卷, 太宗 17年 9月 12日 甲子 2番째記事 - 효령 大君·충녕 大君 等 宗親의 封爵을 내리다. [1] 朝鮮王朝實錄
  5. 太宗實錄 26卷, 太宗 13年 8月 20日 病인 2番째記事 - 宗親의 딸을 翁主로 봉하다. [2] 朝鮮王朝實錄
  6. 太祖 孫女 경혜翁主 · 이숙묘墓 [3] 文化財廳 朝鮮王陵
  7. 夫君 지돈녕부社 寒山 李氏 이숙묘(簽書密直司事 이종학의 아들, 祖父 목은 異色)
  8. 世宗實錄 54卷, 世宗 13年 10月 18日 己酉 3番째記事 - 박갱·변상복 等의 아내에게 君主의 號를 내리다. [4] 朝鮮王朝實錄
  9. 世祖實錄 11卷, 世祖 4年 尹2月 19日 丁丑 5番째記事, - 嶺東 현주가 죽자 恥部(致賻)·致奠(致奠)케 하다. [5] 造成王朝實錄
  10. 世宗實錄 85卷, 世宗 21年 6月 13日 己丑 1番째記事 - ' 지돈녕부社 이숙묘 졸기' [6] 朝鮮王朝實錄
  11. 世宗實錄 27卷, 世宗 7年 3月 26日 病身 4番째記事 - 元尹 이덕근의 딸 박행의 아내가 罪를 汎하나 宗親이므로 벌하지 않다. [7] 朝鮮王朝實錄
  12. 世宗實錄 116卷, 世宗 29年 4月 4日 乙未 3番째記事 - 繼母를 告訴하려고 計劃한 副司直 安宿에게 2等을 減하다. [8] 朝鮮王朝實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