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法司委 “秋아들 疑惑 搜査 엉터리”…地檢長 “同意 못해”|동아일보

法司委 “秋아들 疑惑 搜査 엉터리”…地檢長 “同意 못해”

  • 뉴시스
  • 入力 2020年 10月 19日 18時 31分


코멘트

19日 國會 國監에서 '秋美愛 아들 疑惑' 衝突
全珠惠 "엉터리, 봐주기 搜査結果" 言聲 높여
金 地檢長 "宏壯히 過하다…동의할 수 없어"
서 一兵, 2017年 當時 休暇 申請 關聯 論爭도
全珠惠 "支援將校 포렌식 했다, 가장 客觀的"
金 地檢長은 "포렌식에도 一部 지운 것 나와"

김관정 서울東部地檢長이 秋美愛 法務部 長官 아들 徐某氏의 ‘軍 特惠 疑惑’ 搜査와 關聯해, 全珠惠 國民의힘 議員이 “봐주기 搜査” 等이라고 指摘하자 “同意하기 어렵다”고 反駁했다.

19日 午後 國會에서 열린 서울高檢·서울中央地檢 等에 對한 法制司法委員會 國政監査에선 前 議員과 金 地檢長이 秋 長官 아들 軍 特惠 疑惑 搜査 問題로 衝突했다.

前 議員은 秋 長官 아들 事件에 對해 “이렇게 不實한 不起訴 決定은 처음 봤다”면서 “누가, 언제, 누구에게 休暇 申請을 해서 承認을 받았는지 이것이 搜査內容에 正確히 調査가 돼 있냐”고 물었다.

그러면서 “支援將校는 (2017年 6月) 21日에 서 一兵에게 定期休暇 使用 承認 案內를 한 적이 없다고 한다. 支援將校는 6月25日에야 처음으로 서 一兵하고 通話했다고 陳述하고 디지털 포렌식度 提出했다”며 “21日에는 通話記錄이 없는데 이런 엉터리 搜査結果를 내느냐”고 했다.

여기에 對해 金 地檢長은 “宏壯히 過夏시다”면서 “支援將校가 4回 調査를 받았는데, 陳述이 一致하지 않았다. 포렌식 部分은 自己가 포렌식을 했는데 一部를 지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희가 포렌식하면서 왜 4回 때 陳述을 飜覆하고 어떻게 謀免하는지 다 나와서 한 것”이라고 反駁했다.

前 議員은 이에 再次 言聲을 높여 “兩者의 陳述이 다를 때는 디지털 포렌식 結果가 가장 客觀的”이라고 했고, 여기에 對해서도 金 地檢長은 “포렌식을 해도 안 나왔다. 이미 지워졌다”고 말했다.

前 議員은 發言 時間이 超過돼 마이크가 꺼진 狀態에서도 質疑를 이어갔다. 그는 “(포렌식을 하면) 모든 것이 다 復舊가 된다”면서 “21日에 서 一兵과 支援將校 通話內譯이 없다. 이건 承認했다는 通報를 안한 것, 그런 것이 不實 搜査, 봐주기 搜査”라고 强調했다.
金 地檢長은 “봐주기 搜査라는 건 同意하기 어렵다”면서 “支援將校가 23日 陳述에서 通話했다고 認定하고 있다”고 다시 한番 反駁했다. 그러면서 “21日날 보면, 支援將校의 業務日誌에 서 一兵 措置란 말이 나온다. 措置를 했어야 하는데, 안 해서 이 狀況이 發生한 것”이라고 했다.

前 議員의 繼續된 質疑에도, 金 地檢長은 “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同意할 수 없다는 立場을 내비쳤다.

앞서 서울동부지검 刑事1部(部長檢事 김덕곤)는 지난달 28日 徐氏의 軍 休暇 特惠 疑惑에 對해 ‘外壓’이 없었다고 判斷했다. 當時 檢察은 “最初 病暇, 延長 病暇 및 定期 休暇는 모두 地域大將의 承認 下에 實施됐고, 이를 口頭로 通報받은 徐氏에게 軍務를 忌避할 目的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結論을 냈다.

다만 以後에도 檢察의 搜査 結果와 秋 長官이 疑惑 解明 過程에서의 陳述이 어긋나는 等 關聯 論難이 繼續돼 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