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체 못 할 봄기운[이준식의 漢詩 한 수]〈257〉|東亞日報

주체 못 할 봄기운[이준식의 漢詩 한 수]〈257〉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3月 28日 23時 18分


코멘트
푸른 이끼 위에 나막신 자국이 찍힐까 봐서인가.
가만가만 사립門을 두드려 보지만 오래도록 열리지 않는다.
뜰 가득한 봄기운이야 막을 수 있을쏜가.
發刊 살구꽃 가지 하나가 담牆을 넘어섰다.
(應憐?齒印蒼苔, 小?柴扉久不開. 春色滿園關不住, 一枝紅杏出墻來.)

―‘畫員 구경을 놓치다(유원불치·遊園不値)’ 葉邵雍(葉紹翁·1194∼1269)







봄의 花園이 궁금했던 詩人이 親舊네인지 이웃집인지 操心스레 사립門을 두드려 본다. 한데 主人은 도무지 大門을 열어줄 氣色이 없다. 不在中인가 아니면 意圖的으로 房門을 꺼리는 것인가. 애當初 빗장을 걸어둔 게 한창 푸릇푸릇한 이끼밭을 아끼자는 마음에서 나왔다면 不請客을 반길 理 없다. 괜스레 外人이 풀밭을 휘젓고 다니면서 여기저기 발자국을 남길까 저어해서 그랬을 터다. 主人의 이 갸륵한 精誠을 누가 탓하랴. 花園 구경에 失敗한 아쉬움을 뒤로하고 발길을 돌리는 瞬間 詩人의 눈길을 끈 한 場面, 살구꽃 가지 하나가 벌써 담牆 너머로 고개를 내밀고 있다. 제아무리 빗장을 단단히 질러둔들 그게 다 무슨 所用. 바깥世上이 궁금하기는 발갛게 달아오른 살구꽃도 마찬가지였나 보다. 투정하듯 詩人이 주절주절 내뱉는 한마디. ‘뜰 가득한 봄기운이야 막을 수 있을쏜가.’ 봄의 情趣, 봄의 기운을 억지로 가두려 하지 말고 봄의 饗宴을 함께 누리자는 勸誘가 婉曲하면서 懇切하다.

時 末尾에 쓰인 ‘洪行出張(紅杏出墻·붉은 살구꽃이 담牆을 벗어나다)’이란 말은 ‘봄기운이 한창 무르익다’는 比喩로 쓰는 成語인데 바로 이 詩에서 由來했다. 詩人의 當初 意圖와 달리 요즘은 이 成魚가 否定(不貞)韓 有夫女의 行實을 빗대는 用語로 더 많이 쓰인다.



이준식 成均館大 名譽敎授


#봄 #기운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