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白의 勸酒歌[이준식의 漢詩 한 수]〈253〉|東亞日報

李白의 勸酒歌[이준식의 漢詩 한 수]〈253〉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29日 23時 18分


코멘트
大地는 白雪로 뒤덮이고 바람은 찬데, 주먹만 한 눈송이가 空中에 흩날린다.
陶淵明이 웃다 자빠지겠소. 盞 그득한 술을 마시지 않겠다시니.
그대 거문고 어루만져 봐야 부질없고, 버드나무 다섯 그루 심은 것도 헛된 노릇.
머리 위 網巾도 괜히 쓴 것이려니, 내 存在가 그대에게 어떤 意味가 있을는지?
(地白風色寒, 雪花大如手. 笑殺陶淵明, 不飮杯中酒. 浪撫一張琴, 虛栽五株柳. 空負頭上巾, 吾於爾何有.)

―‘술 안 마시려는 王逆孃을 놀리다(조왕역양불긍음주·嘲王歷陽不肯飮酒)’ 二百(李白·701∼762)
周旋(酒仙) 李白의 수많은 勸酒歌 中 또 하나의 색다른 勸酒 方式. 비웃기라도 하듯 相對의 趣向을 條目條目 列擧한다. 時祭가 興味롭다. 自身을 위해 特別히 主演까지 마련했는데 왜 그를 놀리는 걸까. 놀림이라기보다는 酒興을 돋우려는 우스갯소리로 理解하면 되겠다. 게다가 姓 뒤에 이름者 代身 相對가 居住하는 歷敭(歷陽)이란 地名을 붙인 건 相對에 對한 尊敬의 表示이기도 하다.

白色 天地에 쏟아지는 함박눈, 飮酒의 雰圍氣가 限껏 高調된 이참에 陶淵明을 尊崇한다는 그대가 술을 마다한다? 陶 先生이 술 마실 때 곁에 두고 어루만졌다는 줄 없는 거문고, 誤謬(五柳) 先生이란 號를 지을 程度로 버들을 좋아한 趣向까지 踏襲하려고 이것저것 살뜰히도 챙기시는구려. 한데 陶 先生에게 網巾이 왜 所重했는지 아시오? 술 걸러 서둘러 마시기엔 網巾이 제格이었기 때문이오. ‘또다시 痛快하게 술 마시지 못할 바엔, 머리 위 網巾은 괜히 쓴 것이지’(도연명의 ‘飮酒’ 第20修)라는 말이 바로 그 뜻이오. 술을 拒否하는 건 그대가 건성건성 흉내만 내는 것이니 如干 실망스럽지 않소. 詩人의 이런 놀림에 술 못하는 相對가 突然 술을 들이켰을 理는 없겠지만 陶淵明을 欽慕하는 마음만은 서로 一致한다는 事實은 確認했을 듯하다.

이준식 成均館大 名譽敎授


#二百 #勸酒歌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