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世界國債指數 加入과 새 機會[寄稿/최상대]|東亞日報

世界國債指數 加入과 새 機會[寄稿/최상대]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8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
최상대 企劃財政部 2次官
올해 國債 發行 殘額이 1000兆 원을 넘어섰다. 洗手와 더불어 政府 財源의 한 軸을 擔當하는 國債는 經濟 成長과 財政 需要 增加에 따라 꾸준히 늘고 있다. 財政 健全性 側面에서 適正 國債 規模에 對한 論議가 活潑히 이뤄지고 있는데 이에 못지않게 重要한 것이 國債를 얼마나 效率的이고 安定的으로 發行할 수 있는가이다.

우리 國債市場은 規模와 制度的 側面에서 先進國 水準으로 發展해왔지만 제 價格을 받지 못하고 높은 金利를 支拂하는 所謂 ‘원貨채 디스카운트’를 克服하지 못하고 있다. 例컨대 지난해 우리나라와 信用等級이 비슷한 國家의 10年物 國債 平均 金利가 0.8%였는 데 反해 韓國은 2.1%였다.

國家別 政策金利와 換率 等 다양한 要因들이 作用하고 있지만 持續的인 金利 隔差는 다른 先進國에 비해 外國人 投資가 不足한 데 크게 起因하는 것으로 分析된다. 美國, 유럽 等 主要 先進國은 外國人投資家의 國債 保有 比重이 30∼40%에 達한다. 하지만 우리 國債의 外國人 保有 比重은 20%를 밑돌고 있다.

世界國債指數(WGBI)는 이러한 우리나라 國債의 現住所를 端的으로 보여준다. 株式市場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先進國 지수처럼 WGBI는 先進國 國債를 代表하는 指數다. 지난해 中國까지 編入되는 等 世界 23個 主要國 國債가 包含돼 있는데 韓國은 아직 加入하지 못했다.

WGBI 加入은 우리 經濟에 어떤 利得을 가져올까. WGBI를 追從하는 펀드 資金 規模는 2兆5000億 달러 以上으로 推定된다. 韓國이 WGBI에 加入할 境遇 이 中 50兆∼60兆 원이 國內로 流入되고, 이에 따른 金利 下落으로 年間 5000億 원에서 1兆1000億 원의 利子 費用이 節減될 것으로 展望된다. 앞으로 國債 殘額이 繼續 늘어날 수밖에 없는 狀況임을 勘案할 때 財政 健全性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 國債에 對한 安定的인 中長期 投資가 늘어나면서 國債 및 外換市場 安定에도 寄與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點을 考慮해 政府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制度 改善을 통해 WGBI에 加入하고 外國人 投資를 擴大하고자 한다. 그동안 WGBI 加入의 가장 큰 걸림돌은 外國人이 保有한 國債에 對한 利子所得稅 賦課 問題였다. 外國人投資가 立場에서는 國家 間 相異한 稅率 計算과 各種 課稅 情報 管理 等이 큰 負擔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政府는 이番 稅制 改編案에 外國人의 國債 投資에 非課稅하는 內容을 包含했다. 줄어드는 稅收에 비해 國債市場 發展, 利子 節減 費用 等 便益이 훨씬 크다고 判斷했기 때문이다. 大部分의 先進國이 外國人 國債 投資에 非課稅하는 理由이기도 하다.

政府는 海外 金融機關의 國內 外換市場 參與 擴大 等을 통해 外換市場을 先進化하고 유로클리어 같은 國際預託決濟機構를 통한 國債 去來 活性化도 함께 推進해 나갈 計劃이다. 現在 推進 中인 政策들이 蹉跌 없이 施行돼 國債 投資 環境이 大幅 改善되고 우리 國債가 WGBI에 編入됨으로써 韓國 經濟와 國民들이 그 惠澤을 누릴 수 있기를 期待해 본다.


최상대 企劃財政部 2次官
#寄稿 #최상대 #世界國債指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