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의 感情을 빼앗는 外界人[클래식의 品格/人我靈의 冊갈피]|東亞日報

사랑의 感情을 빼앗는 外界人[클래식의 品格/人我靈의 冊갈피]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3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인아영 문학평론가
人牙營 文學評論家
日本의 劇作家 마에카와 圖謀히로의 호러SF 戱曲 ‘散策하는 侵略者’(이홍이 옮김·알마· 2019年)에서 忘却은 神의 膳物이 아니라 外界人의 侵略이다. 구로사와 기요시가 同名의 映畫로 製作하면서 널리 알려진 이 作品에서 外界人은 華麗한 宇宙船에서 내려 神祕로운 武器로 人間을 搖亂하게 죽이지 않는다. 그 代身 人間의 몸을 宿主 삼아 몰래 寄生하고 傳染病처럼 퍼진다. 이와아키 히토시의 漫畫 ‘寄生獸’를 떠올리게 하지만 ‘散策하는 侵略者’는 한層 哲學的이다. 人間의 肉體가 아닌 槪念을 죽이기 때문이다.

바닷가의 작은 港口 마을, 사이가 좋지 않은 젊은 夫婦 신지와 나루미가 主人公이다. 祝祭에 갔다가 사흘 동안 行方不明됐던 신지가 自己 이름도 알지 못하는 白癡가 되어 돌아온다. 外界人이 신지의 人格을 占領했으리라고는 斟酌도 못 하는 나루미는 掩襲하는 不安感에 두려워한다. “그렇게 自己만 全部 리셋하고 오면 다야?” 안 그래도 別居 水準이었던 사이의 男便을 하나하나 가르치며 돌보기로 하면서도 나루미는 싸늘한 마음을 어쩌지 못한다. “우린 이미 옛날에 끝났었어.”

더 큰 問題는 신지가 人間의 槪念을 習得하기 위해서는 다른 人間에게서 그 槪念을 빼앗아야 한다는 것이다. 신지는 하루의 重要한 日課라며 散策을 나가서는 人間의 槪念을 蒐集하며 地球를 엉망으로 만든다. 나루미의 언니에게서 ‘血緣’이라는 槪念을 빼앗자 家族들은 서로 싸우기 始作하고, 病院 關係者에게서 ‘자아’라는 槪念을 빼앗자 面會가 禁止된 病室이 열린다. 그러나 어떤 槪念의 喪失은 人間을 자유롭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所有’라는 槪念을 빼앗긴 마루오는 느껴본 바 없는 후련한 解放感을 느낀다. 그렇다면 사랑에 있어서는 어떨까.

서로에 對한 나쁜 記憶이 리셋된 신지와 나루미는 漸次 關係를 回復하고 甚至於는 다시 사랑에 빠지는 것처럼 보인다. 신지가 侵攻을 마치고 地球를 떠나야 하는 瞬間, 그제서야 自身에게 사랑이라는 槪念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蒐集하려 한다. 하지만 여기에 딜레마가 있다. 첫째, 사랑은 미움, 憤怒 等 다른 感情과 달리 同時的이고 兩方向日 때 穩全해진다. 따라서 相對에게서 槪念을 가져오는 瞬間 不完全해지고 만다. 둘째, 사랑이란 槪念은 아무나가 아니라 自身을 사랑해주는 사람에게 빼앗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러고 나면 더 以上 相對에게 사랑받을 수가 없다. 나루미는 決斷을 내린다. “只今 新짱한테 그거 줄 수 있는 사람은 나밖에 없어.” 무엇보다 사랑이라는 槪念을 빼앗기면 男便 없이 혼자 남겨져도 슬프지 않으니까. 신지가 나루美에게 느낀 感情이 사랑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瞬間, 反對로 나루미는 사랑을 잃는다. 신지는 痛哭하지만 나루미는 理解하지 못하고 웃는다. “왜 그래, 신지? 버림 받는 건 나야.” 이 어긋난 時差는 悲劇일까. 아니, 혼자 남겨져 사랑의 記憶을 붙들며 延命하느니 깨끗하게 忘却하기로 決心한 나루美에게 둘의 사랑은 그 瞬間 完成되었을지도 모른다.

人牙營 文學評論家


#散策하는 侵略者 #사랑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