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安全이 最優先인 登校授業[現場에서/이소정]|동아일보

安全이 最優先인 登校授業[現場에서/이소정]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月 26日 03時 00分


코멘트
지난해 광주 남구의 한 고교에서 교사가 텅 빈 교실에 앉아 홀로 원격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학생들의 등교로 대면수업이 늘어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동아일보DB
지난해 光州 南區의 한 高校에서 敎師가 텅 빈 敎室에 앉아 홀로 遠隔授業을 進行하고 있다. 올해는 學生들의 登校로 對面授業이 늘어날 수 있을지에 關心이 쏠린다. 東亞日報DB
이소정 정책사회부 기자
이소정 政策社會部 記者
“學校에 안 가고 집에만 있으니 工夫도, 交友 關係도 모두 걱정이네요.”

大田 西區에서 아이 셋을 키우는 學父母 崔某 氏는 다가오는 新學期 苦悶이 크다.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擴散에 따라 지난해 遠隔授業이 繼續되면서 아이들은 終日 집에서 携帶電話를 들여다보고 있다. 崔 氏는 “지난해 1年은 어쩔 수 없었다 하더라도 올해도 ‘집콕’만 할까 싶어 안쓰럽다”고 말했다.

最近 崔 氏 같은 學父母들에게 ‘단비’와도 같은 消息이 들려왔다. 敎育當局이 初等 低學年을 中心으로 올해 1學期부터 登校 回數를 늘리는 方案을 檢討하고 있다는 消息이다. 새해 들어 文在寅 大統領과 丁世均 國務總理가 잇따라 “登校授業을 늘리라”고 注文하자, 結局 敎育部가 이番 週 中 ‘登校 回數 늘리기’ 具體案을 내놓는다.

登校 回數를 지난해보다 늘리는 것은 不可避한 狀況이다. 遠隔授業으로 인한 ‘中上位圈’ 失踪 現象은 거의 모든 學校에서 나타나고 있다.

成績 下落보다 더 큰 問題는 社會性 저하다. 最近 성균관대 敎育科未來硏究所가 發表한 ‘코로나19 前後 學生의 社會情緖的 經驗’ 硏究 結果에 따르면 遠隔授業 동안 全 年齡帶 學生의 社會情緖的 發達 要因이 下降 曲線을 나타냈다.

다만 이番 登校 擴大 論議가 充分한 檢討 以後 推進되고 있는지는 疑問이다. 지난해 末부터 始作된 코로나19의 ‘3次 大流行’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 地域社會에서는 感染經路를 特定할 수 없는 이른바 ‘조용한 電波’가 꾸준히 發生하고 있다.

政府는 登校 擴大의 주된 根據로 鄭銀敬 疾病管理廳長이 지난해 12月에 發表한 論文을 꼽는다. 이 論文은 “지난해 5∼7月 코로나19에 感染된 兒童·靑少年 127名 中 學校를 통해 感染된 事例는 3名에 不過했다”고 言及했다. 하지만 이는 3次 大流行 前에 調査한 것이다. 情 廳長 亦是 25日 “論文 結果 解釋에 誤解가 있다”고 했다.

學父母 사이에서도 登校授業 擴大 意見이 엇갈리고 있다. 많은 學父母들은 對面授業 擴大를 반기고 있지만, 誇大·過密學級에 子女를 보내야 하는 學父母들은 걱정이 앞선다. 登校授業이 實施되면 家庭學習을 申請하겠다는 境遇도 적지 않다.

敎育部는 새로 내놓을 登校 方針에서 ‘아이들의 安全’을 最優先 價値로 삼아야 한다. 單純히 登校 回數를 늘리는 데 傍點을 찍을 것이 아니라 學校가 安全한 空間이 될 수 있는 方案을 마련해야 한다. 萬若 對策 마련에 時間이 걸린다면, 1月 中 發表만 固執할 일이 아니다. 旣存에 推進하던 遠隔授業의 質을 改善하는 努力도 繼續해야 할 것이다.

이소정 政策社會部 記者 sojee@donga.com
#登校授業 #安全 #코로나19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