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대 안에도 백두대간이 있다, 그러니 勇氣를 내시라[한국미술의 딥 컷]|東亞日報

그대 안에도 백두대간이 있다, 그러니 勇氣를 내시라[한국미술의 딥 컷]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9月 25日 03時 00分


코멘트

〈6〉 ‘炭鑛村의 畫家’ 황재형
眞實 찾아 들어간 炭鑛村서 半平生 “어디든 希望이 없어지는 곳이 막장”
가로 5m 白頭大幹 20年 넘게 그려… 單純한 山 아닌 ‘韓國人의 땀과 주름’

황재형, 백두대간, 496×206.5cm, 캔버스에 유채, 1993∼2004년. 작가는 눈보라치는 밤의 에너지와 용솟음치는 땅을 보고 이곳을 그리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다음 날 아침 고요한 풍경을 보고 실망하는데, 이후 ‘모든 것은 내재되어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수십 년간 이 그림에 매달리기 시작했다. ⓒ황재형
황재형, 白頭大幹, 496×206.5cm, 캔버스에 油彩, 1993∼2004年. 作家는 눈보라치는 밤의 에너지와 용솟음치는 땅을 보고 이곳을 그리기로 決心했다. 그러나 다음 날 아침 고요한 風景을 보고 失望하는데, 以後 ‘모든 것은 內在되어 있는 것’이라는 事實을 깨닫고 數十 年間 이 그림에 매달리기 始作했다. ⓒ황재형
《藝術은 剝製된 裝飾이나 글로 된 觀念이 아닌 삶에서 胚胎된다. 限없이 觀念的으로 보이는 ‘다다이즘’도, 마르셀 뒤샹의 ‘샘’도 世界大戰이 일으킨 虛無가 낳은 藝術이었다. 韓國 美術史는 果然 우리들의 삶과 함께 흘러가고 있을까. 藝術家 황재형(68)은 이 時代의 민낯을 보기 爲해 모든 것을 뒤로하고 炭鑛에 뛰어들었다. 韓國 美術의 ‘딥 컷(Deep Cut)’, 숨은 寶石인 황재형의 作品世界를 紙面에는 시원하게, 東亞닷컴에는 深層的으로 紹介한다.》

도마, 60×50cm, 캔버스에 유채, 1979년.
도마, 60×50cm, 캔버스에 油彩, 1979年.
아버지의 자리, 227.3×162.1cm, 캔버스에 유채, 2011∼2013년.
아버지의 자리, 227.3×162.1cm, 캔버스에 油彩, 2011∼2013年.
시계(속박된 시간), 58×58cm, 캔버스에 유채, 1984년.
時計(束縛된 時間), 58×58cm, 캔버스에 油彩, 1984年.
1982年 9月. 서른 살 황재형은 아내와 두 살배기 아이를 데리고 江原道 炭鑛村으로 向했다. 現實에 對한 깊은 絶望感을 안고 있었다.

大學에선 밤낮 술을 먹으며 世上이 뒤집어지는 이야길 했지만 바뀌는 건 없었다. 가장 뜨거운 眞實을 찾겠다며 그는 現場으로 向했다. 1年만 있어보자고 다짐한 것이 길어져 作家는 只今도 太白에 살고 있다.

그가 炭鑛에 간 것은 單純한 現實을 告發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것은 都市와 産業으로 만들어진 包裝을 벗겨낸 時代의 민낯을 보기 위해서였다.

황재형은 “希望이 없어지는 곳이 바로 ‘막장’이며, 鑛夫는 서울이나 釜山에 더 많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가로 5m, 세로 2m의 大作은 ‘백두대간’이다. 作家는 이 그림을 1993年 始作해 20年 넘게 그리고 있다. 風景을 鑑賞하려는 그림이었다면 오랜 歲月을 들일 必要가 없다. 그림 속 백두대간은 우리가 休養하러 찾는 彼岸의 自然이 아닌 人間의 條件이다. 바다 속 땅이 용솟음칠 때부터 人間이 默默히 흘려온 땀과 歷史가 담긴 巨大한 몸이다.

하모니카 나고야, 100×240cm, 캔버스에 머리카락, 2017년. 태백의 미용실을 다니며 모은 머리카락을 붙여 열악한 사택촌 풍경을 그렸다.
하모니카 나고야, 100×240cm, 캔버스에 머리카락, 2017年. 太白의 美容室을 다니며 모은 머리카락을 붙여 劣惡한 舍宅村 風景을 그렸다.
世上은 황재형을 ‘炭鑛村의 畫家’라 말한다. 그러나 그의 그림 속 山은 山이 아니고, 鑛夫도 鑛夫가 아니다. 單純한 記錄을 위한 그림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現代美術의 門을 연 畫家 폴 세잔(1839~1906)의 ‘生 빅투아르 산’이 ‘個別性의 산’이라면 황재형의 山은 ‘韓國人의 땀과 살과 주름’에서 배어 나온 山이다.

우뚝 솟아 굽이치는 山脈의 힘과 그 속에서 벌어지는 人間事를 두터운 물감에 담은 그림은 이렇게 말한다. 當身의 몸속에도 莊嚴한 백두대간이 자리하고 있다고. 그러니 勇氣를 내라고.

::황재형 作家::
△1952年 全南 寶城 出生
△1982年 중앙대 繪畫科 卒業, 江原 太白 炭鑛村으로 移住
서울 덕수美術館 ‘壬戌年 創立’展
△1991年 서울 가나아트센터 ‘쥘 흙과 뉠 땅’
△2010年 서울·뉴욕 가나아트센터 ‘쥘 흙과 뉠 땅’
△2013年 全北道立美術館·광주시립미술관 ‘삶의 주름, 땀의 무게’
△2017年 江原 楊口 第1回 朴壽根美術賞 受賞作家展

김민 記者 kimmin@donga.com
#炭鑛村 #畫家 #황재형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