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위에 발자국 찍는다, 이름없는 靈魂을 위해…|동아일보

길위에 발자국 찍는다, 이름없는 靈魂을 위해…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8月 19日 03時 00分


코멘트

[韓國美術의 딥 컷]〈5〉 땅위에서 스스로 붓이 된 作家 김주영
30代 後半 敎授職 버리고 프랑스로 떠나… 地球村 곳곳서 數十年間 노마드 프로젝트
모래城 쌓았다가 허물듯 ‘우리의 삶’ 表現

김주영의 예술은 정해진 형식이 없다. 주어진 공간에서 충돌을 빚어내며 조형 언어를 만든다. 흙을 딛고 선 작가 스스로가 붓이 된다. 그의 노마드 프로젝트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사진 속 ‘길’이다. 사진은 지난해 터키 카파도키아를 유랑하며 만든 작품이다. 김주영은 “어느새 광목천 수십 통이 쌓였다. 이것만으로도 나는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이미 있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내는 것이 바로 길이다”라고 말했다. 아뜰리에흙 제공
김주영의 藝術은 定해진 形式이 없다. 주어진 空間에서 衝突을 빚어내며 造形 言語를 만든다. 흙을 딛고 선 作家 스스로가 붓이 된다. 그의 노마드 프로젝트에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寫眞 속 ‘길’이다. 寫眞은 지난해 터키 카파도키아를 流浪하며 만든 作品이다. 김주영은 “어느새 廣木천 數十 通이 쌓였다. 이것만으로도 나는 空間을 만들 수 있다. 이미 있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내는 것이 바로 길이다”라고 말했다. 아뜰리에흙 提供
김주영 작가
김주영 作家
《온몸에서 나오는 藝術이란 무엇일까. ‘20世紀 다빈치’ 요제프 보이스는 삶 自體가 藝術이라며 境界를 허물었는데, 우리는 如前히 剝製된 美術만 보고 있는 건 아닐까. 藝術家 김주영(72)은 韓國의 近現代史를 온몸에 안고 길 위에서 스스로 붓이 되길 自處한다. 韓國 美術의 ‘딥 컷(Deep Cut)’, 숨은 寶石인 김주영의 作品世界를 紙面에는 시원하게, 東亞닷컴에는 深層的으로 紹介한다.》

30代 後半 홍익대 美大 敎授職을 버리고 프랑스로 떠났다. 파리8大學에서 造形藝術을 工夫했다. 講義室 앞에서 한 敎授를 기다렸다. 그 敎授를 졸라 美學 授業을 들었다. 脫構造主義 哲學者 질 들뢰즈(1925∼1995)였다. 運動靴와 靑바지만 남기고 모두 버린 삶을 살았다. 굶기를 밥 먹듯 했고 버려진 建物에서 作業도 했다. 金煥基 畫家의 夫人 김향안 女史가 그의 才能을 알아보고 支援해준 德에 얼마間 버텼으나 이내 노마드(流浪) 生活로 돌아갔다.

그의 彷徨은 胎生的 條件에서 出發했다. 돌아가신 줄 알았던 아버지가 左翼 活動을 하다 蒸發했다는 걸 成人이 돼서 알았다. ‘김주영’은 本名이 아니었고, 어릴 때 크레용을 주며 혼자 놀라고 했던 어머니의 當付는 正體를 들킬까 봐 두려운 마음에서 나온 것이었다.

김주영이 놓인 삶의 條件은 6·25戰爭이라는 韓半島의 悲劇에서 出發한다. 이름도 없는 아버지. 歷史의 수레바퀴에 송두리째 흔들린 個人의 삶. 1994年 파리 베르나노스 갤러리에서 열린 첫 個人展에서 그는 無名의 妓生을 위한 祭式을 올린 뒤 數十 年間 이름 없는 靈魂을 慰勞하는 노마드 프로젝트를 이어갔다.

그는 언제나 흰 廣木천에 검은 먹으로 발자국을 찍는다. 손에는 한 줌의 쌀이나 흙, 재가 들려 있다. 스스로 낸 길 끝에서 땅에 엎드려 절하며 크고 작은 靈魂들을 慰勞하는 그를 유럽에선 ‘東洋에서 온 무당’이라며 神奇하게 여겼다.

#문 세상의 모순을 풀 수 있는 ‘저편’을 작가는 상상했다. 온갖 이야기와 상상으로 만들어낸 마음속 공간의 상징이 바로 문(門)이다. 위부터 1985년 회화 작품 ‘서 있음’, 1995년 토탈미술관 개인전 ‘동구 밖’.
#文 世上의 矛盾을 풀 수 있는 ‘저便’을 作家는 想像했다. 온갖 이야기와 想像으로 만들어낸 마음속 空間의 象徵이 바로 門(門)이다. 위부터 1985年 繪畫 作品 ‘서 있음’, 1995年 토탈미술관 個人展 ‘洞口 밖’.
#거울 거울은 평면에 깊이를 만들어내는 동시에 보는 사람이 스스로를 비춰 보게 만드는 장치다. 작가가 공간에 활용하는 일종의 물감과도 
같다. 2013년 남프랑스와 알제리에서 진행된 노마드 프로젝트 ‘서사적 흔적이 있는 풍경 트라이앵글’.
#거울 거울은 平面에 깊이를 만들어내는 同時에 보는 사람이 스스로를 비춰 보게 만드는 裝置다. 作家가 空間에 活用하는 一種의 물감과도 같다. 2013年 남프랑스와 알제리에서 進行된 노마드 프로젝트 ‘敍事的 痕跡이 있는 風景 트라이앵글’.
#기억상자 ‘기억상자’는 작가가 길 위에서 만난 것들을 모아 굳힌 것으로 노마드 프로젝트의 부산물이다. 작가는 이들이
 영원히 변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도 ‘한 줌의 재 이야기’라는 글귀를 붙였다. 위부터 기억의 고착(1996년), 한 줌의 재 
이야기(2018년).
#記憶箱子 ‘記憶箱子’는 作家가 길 위에서 만난 것들을 모아 굳힌 것으로 노마드 프로젝트의 副産物이다. 作家는 이들이 永遠히 變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도 ‘한 줌의 再 이야기’라는 글句를 붙였다. 위부터 記憶의 固着(1996年), 한 줌의 再 이야기(2018年).
#창 이쪽에서도, 저쪽에서도 볼 수 있는 창은 현실과 마음을 연결한다. 자개장 속 어머니의 유품을 에폭시로 굳힌 창은 저세상을 보는 통로다. 위부터 ‘창’(2000∼2013년), ‘송화강은 알고 있다―신경 고모’(2010년).
#窓 이쪽에서도, 저쪽에서도 볼 수 있는 창은 現實과 마음을 連結한다. 자개欌 속 어머니의 遺品을 에폭시로 굳힌 窓은 저世上을 보는 通路다. 위부터 ‘窓’(2000∼2013年), ‘松花江은 알고 있다―신경 姑母’(2010年).
#제식 무명의 영혼을 위로하는 제식은 노마드 프로젝트에 빠지지 않는 중심 행위다. 위부터 ‘어느 기생의 영혼祭’(1994년, 파리), ‘떠도는 무명의 영혼들이여: 등잔불 祭’(2000년, 한국 DMZ).
#制式 無名의 靈魂을 慰勞하는 祭式은 노마드 프로젝트에 빠지지 않는 中心 行爲다. 위부터 ‘어느 妓生의 靈魂祭’(1994年, 파리), ‘떠도는 無名의 靈魂들이여: 燈盞불 祭’(2000年, 韓國 DMZ).
西洋 文明의 限界를 본 그는 2006年 歸國했고, 京畿 安城 시골에 定着했다. 如前히 地球를 캔버스 삼아 스스로가 붓이 된 그는 平面과 文(門), 壁과 窓(窓), 黑과 백, 바닥과 거울 等 衝突하는 素材를 통해 造形 言語를 生成해낸다.

모래城을 쌓았다가 허물듯 김주영은 藝術을 한다. 그의 藝術은 흰 천 위 발자국 以上도 以下도 아니다. 마치 우리의 삶이 한 줌의 재로 돌아가는 것처럼 말이다.
::김주영 作家::
▽1948年 忠北 鎭川 出生
▽1972年 홍익대 繪畫科(碩士)
▽1992年 프랑스 파리8大學 造形藝術學과(박사)
▽1994年 프랑스 파리 베르나노스 갤러리 ‘어느 妓生의 靈魂祭’
▽2000年 서울 南大門市場-DMZ ‘떠도는 無名의 靈魂들이여’
▽2010年 中國 ‘松花江은 흐른다―신경 姑母’
▽2019年 忠北 淸州市立美術館 個人展
김민 記者 kimmin@donga.com
#作家 #김주영 #발자국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