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은 茶 한 盞에 松편의 品格|週刊東亞

週刊東亞 857

..

맑은 茶 한 盞에 松편의 品格

次例(茶禮)

  • 김대성 韓國差人聯合會 顧問·茶 칼럼니스트

    入力 2012-10-08 09:30: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맑은 차 한 잔에 송편의 품격

    茶를 올린 茶禮床.

    우리의 큰 名節 秋夕은 잘 쇠셨는지? 秋夕은 알다시피 家族·親知가 한자리에 모여 햅쌀로 빚은 松편과 햇과일로 床을 차리고 收穫의 기쁨을 祖上께 알리는 茶禮를 모시는 날이다. 그런데 정작 秋夕에 ‘次例(茶禮) 모신다’ 하면서도 實際는 周禮(酒禮)像이 된 것이 現實이다.

    2006年 韓國差人聯合會 會報 ‘差人’에 박권흠 會長이 “나는 올 秋夕부터 名節 次例를 술 아닌 車로 모시기로 決心하고 이를 實踐할 것을 宣言한다. 그뿐 아니라 내가 主宰하는 모든 忌祭祀에도 술 아닌 車로 모실 것”임을 밝혀 全國 500萬 差人으로부터 뜨거운 呼應을 받았다.

    秋夕 茶禮床에 車가 오른 歷史는 悠久하다. ‘三國遺事’ 駕洛國記篇을 보면, 三國을 統一한 新羅 文武王이 在位에 오른 661年 “伽倻는 亡했지만 首露王은 나의 外家 쪽 先祖이니 祭禮를 잇도록 하라. 歲時(正月 3日과 7日, 5月 5日, 8月 8日과 15日)마다 술, 食醯, 떡, 밥, 車, 과일을 올려라”고 말했다고 한다.

    祭需品은 모두 여섯 가지다. 놀라운 것은 위 祭需品 가운데 車만 빠지고 과일, 떡, 밥, 술, 食醯는 1500餘 年이 흐른 只今도 어김없이 올린다는 事實이다. 한 나라의 歷史도 千年을 維持하기 어려운 法인데, 이쯤 되면 우리가 文化民族임을 世界에 내놓고 자랑해도 모자라지 않을 것이다.

    六堂 崔南善은 “茶食은 次例의 第需要, 次例는 只今처럼 穀物가루로 만든 茶食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本來는 點茶(點茶)로써 行하였던 것이다. 茶가루를 茶盞에 넣고 車線으로 휘젓는 風習이 次次 變하여 다른 穀物 等을 반죽하여 多式으로 만들어 祭需로 쓰고 그 名稱만은 元來의 뜻을 傳하는 것이다”라며, 茶禮에는 술을 올리는 게 아니라 元來는 車가 祭祀의 儀禮物이었음을 喚起하고 있다.



    全南 광양시 七星邑 칠성리 羅州 羅氏 松島公派 宗家에서는 오래前부터 秋夕 茶禮床에 올리는 祭需品으로 車 한 盞, 車松편, 4가지 과일이 全部다. 茶禮床에 茶를 올리려고 宗孫 나상면(58·寶光韓醫院 院長) 氏와 宗婦 김영순(56) 氏는 週末이면 宗家에서 1時間 距離에 있는 山속 野生 茶밭으로 달려가 茶나무를 손질한다. 宗孫은 茶밭에서 풀을 뽑고, 宗婦는 茶잎을 따서 精誠껏 만든 車를 秋夕 茶禮床에 올리는 것은 勿論, 宗家에서 모시는 모든 祭禮에서도 술 代身 쓴다.

    宗孫은 “술을 올리면 부침개나 적을 準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지만 車는 按酒가 必要 없어 秋夕 茶禮床 차림 걱정을 덜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맑은 茶 한 盞과 햅쌀로 빚은 松편, 그리고 햇밤과 햇대추, 감과 茶食 한 그릇으로 祖上을 맞이하는 秋夕은 格이 있어 보이지 않는가. 무엇보다 茶禮床에 車 한 盞을 올리면 어린아이까지 온 家族이 祖上이 마시던 車를 飮福할 수 있어 家族 共同體의 따뜻한 情을 確認할 수 있을 것이다.

    茶禮床 飮食 만들기에 負擔이 없다면 우리의 美風良俗인 설과 秋夕도 細細戀戀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祭禮는 後孫의 友誼를 다지는 媒介體로, 祖上을 기리면서도 自己를 돌아보는, 그래서 兄弟와 後孫이 和合하는 데 뜻을 둘 뿐 形式的인 祭需品에 뜻이 있지 않음을 옛사람은 累累이 强調했다. 名節을 보낸 뒤 車 한 盞을 마시면서 떠올린 斷想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