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의 마지막 國璽에 누가 落書를 새겼나 [名作의 祕密]|新東亞

朝鮮의 마지막 國璽에 누가 落書를 새겼나 [名作의 祕密]

國難마다 國民과 함께 傷處받아 온 文化財

  • 이광표 西原大 敎養大學 敎授

    kpleedonga@hanmail.net

    入力 2021-08-08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日本과 美國이 훔쳐간 國璽·御寶

    • 日帝强占期, 6·25 거치며 大擧 不法 流出

    • 2014年 本格的으로 國內 返還 始作했지만

    • 流出된 遺物, 毁損된 境遇도 많아

    문화재청은 6월 28일 ‘국새 대군주보’를 보물로 지정예고했다. [문화재청 제공]

    文化財廳은 6月 28日 ‘國璽 大軍週報’를 寶物로 指定豫告했다. [文化財廳 提供]

    國璽(國璽) 4點이 寶物로 새로 指定된다. 1882年에 製作한 ‘國璽 大軍週報(大君主寶)’와 大韓帝國 時代에 製作한 ‘國璽 提高支保(制誥之寶)’ ‘國璽 勅命支保(勅命之寶)’ ‘國璽 大元帥步(大元帥寶)’. 모두 朝鮮의 國運이 衰하던 時期에 만들어졌고, 海外로 不法 搬出됐다가 돌아온 것들이다. 提高支保, 勅命支保, 大元帥보는 1946年 日本으로부터 돌아왔고 大軍週報는 2019年 美國으로부터 돌아왔다.

    行方不明된 國璽 8點

    韓日强制倂合 7個月 後인 1911年 3月 朝鮮總督府는 그동안 빼앗아둔 大韓帝國 國璽 가운데 8點을 日本 宮內廳(宮內廳)에 上納했다. 그러나 光復 後인 1946年 8月 15日 美軍政(美軍政)은 國璽를 되찾아왔고 1948年 政府 樹立 後 우리에게 引繼했다. 李承晩 政府 總務處는 되찾은 國璽들을 1949年 1月 國立博物館에서 特別 展示했다, 展示名은 ‘舊 韓國 玉璽와 조약文書 展覽會’였다.

    하지만 還收의 기쁨도 暫時, 國璽 8點은 6·25戰爭을 거치며 行方不明되고 말았다. 이와 關聯해 어떤 記錄도 없었고 情況을 아는 사람도 없었다. 多幸히 1954年 提高支保, 大元帥步, 勅命支保가 釜山의 慶南道廳 金庫에서 發見되었다. 이것들이 바로 이番에 寶物로 指定되는 國璽다.

    사라졌던 國璽의 移動 經路에 對한 記錄은 없다만, 어느 程度 推定이 可能하다. 6·25戰爭이 勃發하자 釜山으로 首都를 옮긴 政府는 1950年 8月부터 1953年 8月까지 慶南道廳(只今의 東亞大 石幢博物館 建物)을 臨時廳舍로 使用했다. 그때 國璽 8點을 慶南道廳으로 옮겨놓았을 것이다. 그런데 1953年 還都하면서 그 重要한 國璽를 제대로 챙기지 않았던 것이다.

    3點이 金庫에서 發見되었다고 하니 釜山으로 가져가 나름대로 保管하려고 했던 것 같기는 하다. 그렇다고 해도 서울로 돌아올 때 이를 빼먹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當時 總務處의 懶怠함이 놀라울 따름이다. 이런 일이 있고 나서 1954年 6月 國璽 3點은 國立博物館(只今의 國立中央博物館)으로 移管되었다.



    1911年 日本 도쿄로 不法 搬出된 以後 1946年 서울路, 1950年 釜山으로, 1954年 다시 서울로 옮겨 다녀야 했던 3點의 國璽. 韓國 近代史의 受難을 그대로 보여주는 遺物이 아닐 수 없다.

    1954년 경남도청 금고(현 부산 사하구 동아대 석당박물관)에서 발견된 제고지보. [문화재청 제공]

    1954年 慶南道廳 禁錮(現 釜山 沙下區 東亞大 石幢博物館)에서 發見된 提高支保. [文化財廳 提供]

    日帝强占期와 6·25戰爭 거치며 大擧 流失

    國璽와 御寶(御寶)는 같은 듯 다르다. 國璽는 王權 國權을 象徵하는 것으로 外交文書나 行政文書 等 公文書에 使用한 實務用 印章이다. 이와 달리 御寶는 王이나 王妃의 德을 기리거나 業績을 讚揚하기 위해 製作한 儀禮用 印章이다. 朝鮮時代(大韓帝國 包含)에 製作된 國璽와 御寶는 412點. 하지만 現在 73點은 行方不明 狀態다. 大部分의 國璽와 御寶는 宗廟와 德壽宮 等에 保管했으나 그中 一部는 日帝强占期에 日本에 빼앗겼고 6·25戰爭 戰後에는 美國에 도난당했다.
    東亞日報 1952年 4月 27日子에 이런 記事가 실렸다.“서울지구 戒嚴民事部에서는 24日 4時頃에 또다시 세 番째의 玉璽를 發見하였다. 市內 某 銀房에서 美軍 關係者의 付託으로 玉璽를 感情 中이라는 情報를 얻은 서울戒嚴民事部에서는 卽時 洞 銀房으로 出動하여 玉璽를 押收하였다 한다.”

    國璽와 御寶는 過去 王室 卽 政府의 所有物이다. 個人이 所有할 方法이 없다. 따라서 이것이 市中에 돌아다니면 안 된다. 賣買도 不可能하다. 그런데 美軍이 金銀房에 國璽(玉璽)를 들고 와서 鑑定을 받고 있다니…. 이 記事를 통해 宗廟와 德壽宮 等에서 保管해 오던 國璽와 御寶 가운데 一部를 美軍들이 훔쳐갔음을 알 수 있다. 6·25戰爭의 混亂을 틈타 一部 美軍들이 國璽와 御寶를 훔쳐 美國으로 가져간 것이다. 우리의 國璽와 御寶가 美國에 많이 있는 것은 이런 까닭에서다.

    美軍들이 國璽와 御寶를 韓國人에게 팔아넘겼을 수도 있다. 東亞日報 1952年 5月 21日子 記事도 參考할 만하다.“서울지구에 玉璽 두 個가 또 發見되어 方今 韓國銀行 서울紛失에서 保管하고 중이니…하나는 王인(王印)이고 하나는 王后인(王后印)인데…한편 依賴를 받은 문교부 當局에서는…개인집에서 美軍이 發見한 것이니만큼 果然 새로 發見된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過去 國立文化施設에서 保管 中이던 것이 6·25思辨의 渦中에 市場으로 흘러나온 것인지도 알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속속들이 歸國 中인 不法 搬出 國璽·御寶

    美國으로 不法 搬出된 國璽와 御寶가 처음 韓國으로 돌아온 것은 1987年이었다. 美國스미소니언 自然史博物館에서 일하던 民俗人類學者 조창수는 當時 御寶가 競賣에 나왔다는 消息을 들었다. 僑胞들과 힘을 합쳐 돈을 모았고 高宗 御寶 2點, 명성황후 御寶 1點, 哲宗費 哲人皇后 玉冊(玉冊) 1點을 購入해 국립중앙박물관에 寄贈했다.

    2008年엔 高宗의 ‘皇帝御璽(皇帝御璽)’가 돌아왔다. 1901~1903年 製作된 것으로, 高宗이 主로 祕密 外交文書에 捺印했던 國璽다. 文化財廳이 在美僑胞로부터 購入했으며 이듬해인 2009年 寶物로 指定되었다.

    2011年 6月엔 成宗妃 공혜왕후 御寶(1496年 製作)가 國內의 美術品 競賣에 나오기도 했다. 美國으로 不法 流出되었다 國內의 한 所長價가 1987年 뉴욕 크리스티 競賣에서 約 18萬 달러에 購入한 뒤 國內 競賣에 내놓은 것이다. 當時 競賣는 話題와 함께 뜨거운 論難이 되었다. 不法 流出 文化財가 國內 競賣에 나오는 것 自體가 不適切하다는 指摘이었다.

    論難에도 不拘하고 文化財廳과 文化遺産國民信託은 競賣에 參加해 4億6000萬 원에 落札받았다. 海外로 빠져나간 國璽와 御寶를 되찾아오는 것이 쉽지 않던 狀況에서 이를 確保하는 것이 急先務라고 判斷한 것이다. 공혜왕후 御寶는 現在 國立故宮博物館이 所藏하고 있다.

    2014年頃 國璽와 御寶 還收는 電氣를 맞이했다. 2014年 9點, 2015年 1點, 2017年 2點…. 적잖은 量의 國璽와 御寶가 美國으로부터 續續 返還됐다. 2014年 버락 오바마 美國 大統領은 韓國을 訪問하면서 美國 國土安保搜査局(HSI)李 押收해 所藏하고 있던 國璽와 御寶, 王室 死因(私印) 等 9點을 우리에게 返還했다. 國璽는 高宗이 大韓帝國을 宣布하고 製作한 ‘皇帝至寶(皇帝之寶)’였다. 6·25戰爭 當時 美軍이 德壽宮에서 不法 搬出한 것으로, 2013年 11月 HSI에 押收된 狀態였다.

    2017년 8월 국립고궁박물관은 환수한 국새·어보를 모아 ‘다시 찾은 조선 왕실의 어보’ 특별전을 열었다. [국립고궁박물관 제공]

    2017年 8月 國立故宮博物館은 還收한 國璽·御寶를 모아 ‘다시 찾은 朝鮮 王室의 御寶’ 特別展을 열었다. [國立故宮博物館 提供]

    도난당한 文化財 되찾을 法的 根據 있어

    2015年에 4月엔 德宗御寶(1471年 製作)가 美國에서 돌아왔다. 美國 시애틀美術館 한 後援者가 1962年 뉴욕에서 購入해 1963年 美術館에 寄贈한 것이다. 文化財廳은 이 御寶가 正常的인 方法으로 國外에 搬出될 수 없는 遺物이란 點을 들어 2014年 7月부터 시애틀美術館 側에 返還을 要請했다. 시애틀美術館도 肯定的이고 積極的인 態度로 協商에 參與했고 理事會와 寄贈者 遺族의 承認을 얻어 9個月 만에 返還이 成事됐다.

    2017年 7月엔 中宗비 文定王后 御寶(1547年 製作)와 顯宗 御寶(1651年 製作)가 돌아왔다. 이 御寶들은 美國 로스앤젤레스에 居住하는 한 美國人이 日本에서 購入해 가져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文定王后 御寶는 2000年 로스앤젤레스카운티美術館(LACMA)李 購入해 所藏해 왔다. 市民團體 ‘文化財제자리찾기’는 2010年부터 文定王后 御寶 返還運動을 펼쳤고 3年間의 努力 끝에 2013年 9月 LACMA로부터 返還 約束을 받아냈다.

    또한 文化財廳은 美國 HSI에 顯宗 御寶에 對한 搜査를 要請했고 이에 따라 2013年 HSI는 顯宗 御寶와 文定王后 御寶를 모두 押收해 保管해 왔다. 두 御寶에 對한 搜査 節次는 2017年 6月 마무리됐고 한 달 後인 7月 文在寅 大統領이 美國을 訪問하고 歸國하는 길에 大統領 專用機를 타고 故國 땅으로 돌아왔다.

    다른 나라에 약탈당한 文化財를 돌려받는다는 것은 普通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最近 들어 國璽와 御寶가 美國으로부터 續續 돌아오고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可能한 것일까. 이를 簡單히 整理하면, 美國에서는 特定 物品이 不法 占有物이라는 事實이 드러나면 이의 所有權이 박탈당한다. 따라서 國璽와 御寶가 不法 流出된 것이라는 事實을 立證하기만 하면, 國璽를 가지고 있던 美國人은 所有權을 主張할 수 없게 된다.

    2014年 文化財廳이 美 國土安保國(DHS) 所屬 移民關稅廳(ICE)과 ‘韓美 文化財 還收 協力 諒解覺書’를 締結한 것도 重要한 役割을 했다. 不法 搬出 文化財 搜査를 하는 HSI는 移民關稅廳 所屬이다. 이에 따라 不法 搬出 文化財로 確認되면, 모두 韓國으로 返還해야 하는 狀況이 되었다.

    대군주보의 뒷면에는 ‘W.B.Tom’이라는 글씨가 음각돼 있다. 대군주보를 소유했던 미국인이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제공]

    大軍週報의 뒷面에는 ‘W.B.Tom’이라는 글씨가 음각돼 있다. 大軍週報를 所有했던 美國人이 새긴 것으로 推定된다. [文化財廳 提供]

    2019年 12月에도 國璽 한 點과 御寶 한 點이 돌아왔다. 한 在美僑胞가 國璽 ‘大軍週報’와 孝宗 御寶(1740年 製作)를 文化財廳에 寄贈했다. 그는 이것들을 1990年代 競賣에서 購入했다고 한다. 이 가운데 한 點인 大軍週報가 이番에 寶物로 指定되는 것이다. 大軍週報는 1882年 製作됐고 높이 7.9cm, 길이 12.7cm이다. 外交 文書, 法令 等에 捺印했던 國璽로, 通商條約 業務 擔當 全權大臣을 임명하는 文書(1883年)에 實際 捺印된 例도 있다고 한다.

    여기서 製作 時期인 1882年을 注目할 必要가 있다. 그해 高宗은 國旗와 國璽를 만들도록 命했다. 急變하는 國際 情勢에 對應하기 위해 새로운 國家 象徵物이 必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朴泳孝는 太極旗를 만들었고 새로운 國璽를 6點 製作했다. 中國으로부터 朝鮮國王이란 글字가 들어간 國璽를 받는 代身 ‘大(大)조선국 君主’라는 意味로 大軍週報를 만든 것이다.

    朝鮮 國璽에 새겨진 美國人 이름

    大軍週報는 1897年 10月 大韓帝國을 宣布하면서 더는 使用되지 않았지만 19世紀末 時代相을 보여주는 하나의 象徵物이다. 여기엔 高宗의 꿈이 담겨 있기도 하다. 그러나 期待와 달리 朝鮮의 國運은 漸漸 더 衰落해져 갔다.

    그런데 우리 품에 돌아온 ‘大軍週報’에서 特異한 點이 發見됐다. 뒷面에 ‘W B. Tom’이라는 英文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송곳이나 칼같이 銳利한 道具로 글字를 새긴 것이다. 그것은 分明 美國人의 이름이었다. 이 國璽를 갖고 있던 美國人이 自身의 이름을 새겨 넣은 것이 틀림없다. 國璽에 새겨진 Tom이라는 美國人 이름. 恥辱의 傷處가 아닐 수 없다.

    이런 恥辱이 어디 이뿐인가. 이番에 寶物로 指定되는 國璽 大軍週報를 보면 景福宮 資善堂(資善堂) 石築과 法泉寺 智光國師塔이 생각난다. 1915年 日本人 오쿠라는 景福宮 資善堂 建物을 解體해 日本 도쿄로 不法 搬出했다. 朝鮮總督府의 默認이 있었음은 勿論이다. 그는 도쿄에 資善堂 建物을 다시 세운 뒤 ‘朝鮮觀(朝鮮館)’이라는 看板을 달고 美術館으로 使用했다.

    그러나 1923年 간토(關東)大地震 때 木造建物이 불에 타버리고 基壇否認 石築만 남게 됐다. 그 後 자선당의 存在는 사람들의 記憶 속에서 잊혔다. 그러던 中 1993年 建築史學者人 김정동 前 목원대 敎授가 日本 도쿄의 오쿠라(大倉)호텔 境內에 이 石築이 放置돼 있다는 事實을 確認했다. 그의 努力에 힘입어 資善堂 基壇部 石築은 1996年 國內로 돌아왔다. 하지만 이 石築은 毁損 狀態가 매우 深刻했다. 資善堂 復元에 活用할 수 있는 狀況이 아니었다. 따라서 資善堂 復元에는 使用하지 못하고 景福宮 건청궁(乾淸宮) 뒤便에 외진 곳에 保存해 놓고 있다. 資善堂 石築의 돌들은 거의 모든 部位가 깨져 있다. 大地震 때의 衝擊일 것이다. 特히 階段의 欄干石이 두드러진다. 故國 땅에 돌아왔지만 傷處는 如前하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에 옮겨져 훼손된 경복궁 자선당 석축. [문화재청 제공]

    日帝强占期에 日本에 옮겨져 毁損된 景福宮 資善堂 石築. [文化財廳 提供]

    國璽·御寶 말고도 國難 함께 겪은 文化財들

    國寶로 指定된 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11世紀)도 비슷한 苦楚를 겪었다. 智光國師塔은 高麗의 僧侶 지광國師(984~1067)의 僧塔으로, 智光國師塔碑(國寶)와 함께 한 雙으로 만들어졌다. 그런데 이들은 只今 서로 떨어져 있다. 이 塔은 1911~1912年 日本人 세 名의 손을 거치며 서울로 옮겨지고 이어 日本 오사카로 不法 搬出됐다. 迂餘曲折 끝에 1915年 돌아왔으나 이 塔이 자리 잡은 곳은 元來 場所가 아니라 서울의 景福宮이었다.

    朝鮮總督府는 1915年 景福宮에서 여러 殿閣을 破壞하고 朝鮮物産공진회를 開催하면서 智光國師塔을 景福宮 行事場에 裝飾用으로 세워놓았다. 그 後 6·25戰爭 때 爆擊을 當해 몸體 一部만 남고 相輪部와 屋蓋石(지붕돌)李 悽慘하게 부서졌다. 1957年 시멘트를 利用해 부서진 조각들을 붙이고 시멘트로 채워 넣는 保守가 이뤄졌다. 1950年代 그 가난하던 時節이었으니 保守라고 해도 엉성하기 짝이 없었다. 傷處투성이의 智光國師塔은 狀態가 漸漸 惡化되었고 끝내 解體 修理를 해야 하는 狀況에 이르렀다. 文化財廳은 2016年 智光國師塔을 全面 解體했고 大田 國立文化財硏究所에서 保守保存 處理에 들어가 現在 마무리 段階다.

    保存處理 過程에서 이 僧塔을 어디에 세울 것인지를 두고 깊이 있는 論議가 이뤄졌다. 結論은 故鄕땅 原州로 돌려보내는 것이었다. 植民統治와 分斷의 傷處를 고스란히 안고 살아온 智光國師塔. 100年의 受難과 流浪을 마치고 이제 故鄕으로 돌아간다. 元來 한 짝이었던 智光國師塔碑와의 再會度 이뤄질 것이다.
    智光國師塔은 이제 그 傷處가 조금은 아무는 듯하다. 그러나 資善堂 石築은 傷處가 如前한 것 같다. 資善堂 石築이 現在 位置한 곳은 明成皇后가 日本人들에게 弑害돼 불태워진 건청궁 녹산(鹿山) 바로 옆이다. 그래서 더더욱 悽然한 생각이 든다.

    國璽에 남겨진 傷處의 意味

    돌아온 國璽와 御寶. 그것은 王室과 政府의 權威이지 象徵이었다. 우리의 自尊心이었다. 그런데 日帝强占期와 6·25戰爭의 渦中에 말로 表現하기 어려운 受侮를 겪어야 했다. ‘大軍週報’에 銳利하게 새겨진 英語 알파벳 다섯 글字, W B TOM. 그것을 볼 때마다 살갗이 에이는 듯하다. ‘大軍週報’의 傷處는 참으로 깊지만 끝내 살아남아 우리 품으로 돌아왔다. 恥辱을 견디고 살아남아 寶物이 됐다. 저 傷處는 언제쯤 아물 수 있을까. 100年이 흘러 저 傷處가 잘 아물게 된다면, 그때는 우리에게 더한 感動을 줄 것이다.

    #國璽 #文化財還收 #名作의비밀 #新東亞


    이광표
    ● 1965年 忠南 豫算 出生
    ● 서울대 考古美術史學科 卒業
    ● 高麗大 大學院 文化遺産學協同過程 卒業(博士)
    ● 前 동아일보 論說委員
    ● 著書 : ‘그림에 나를 담다’ ‘손 안의 博物館’ ‘韓國의 國寶’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