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규루 및 관풍헌

자규루 및 관풍헌
(子規樓 및 觀風軒)
대한민국 江原特別自治道 有形文化財
자규루 前景
種目 有形文化財 第26號
( 1971年 12月 16日 指定)
數量 4棟
管理 寧越郡
位置
住所 江原特別自治道 寧越郡 영월읍 영흥리 984-3番地 및 984-1
座標 北緯 37° 11′ 1″ 東京 128° 28′ 11″  /  北緯 37.18361° 東京 128.46972°  / 37.18361; 128.46972
情報 文化財廳 國家文化遺産포털 情報

자규루 및 관풍헌 (子規樓 및 觀風軒)은 江原特別自治道 寧越郡 영월읍 에 있는 朝鮮時代 의 建築物이다. 1971年 12月 16日 江原特別自治道의 有形文化財 第26號로 指定되었다.

現地 案內文 [ 編輯 ]

관풍헌은 朝鮮時代 地方의 業務를 處理하던 官廳建物로 앞面 3칸·옆面 3칸 規模의 建物과 附屬建物로 이루어져 있다. 現在는 曹溪宗 報德寺에서 布敎堂으로 利用하고 있다. 이곳에서 約 50m 程度 떨어진 곳에 자규루라는 樓閣이 있다. [1]

자규루는 斷種(在位 1452∼1455)李 世祖(在位 1455∼1468)에게 王位를 빼앗기고 流配되었을 때 暫時 지내던 곳이다. 端宗은 이 樓閣에 자주 올라가 자규시를 지었다고 한다. 子規란 피를 吐하면서 구슬피 운다고 하는 소쩍새를 가르키는 말로 自身의 處地를 견주어 지은 것이다. 元來는 世宗 10年(1428) 郡守 新權近에 依해 지어져 ‘梅竹루’라 불리었으나 端宗의 자규시가 너무 슬퍼 樓閣이름을 梅竹壘에서 자규루로 바꿨다고 한다. 그 後 많이 頹落해 民家가 들어섰는데, 正祖 15年(1791) 江原道 觀察使 윤사국이 이곳을 돌아다니다 그 터를 찾아 復元하였다. [1]

앞面 3칸·옆面 2칸 規模의 2層 樓閣이며, 옆面에서 볼때 여덟 팔(八)字 模樣인 八作지붕集이다. [1]

자규루 [ 編輯 ]

자규루는 斷種(在位 1452∼1455)李 世祖(在位 1455∼1468)에게 王位를 빼앗기고 流配되었을 때 暫時 지내던 곳이다. 端宗은 이 樓閣에 자주 올라가 자규시를 지었다고 한다. 子規(子規)는 피를 吐하면서 구슬피 운다고 하는 소쩍새를 가리키는 말로 自身의 處地를 견주어 지은 것이다. 元來는 世宗 10年(1428) 郡守 新權近에 依해 지어져 '梅竹루'라 불리었으나 端宗의 자규시가 너무 슬퍼 樓閣이름을 梅竹壘에서 자규루로 바꿨다고 한다. 그 後 많이 頹落해 民家가 들어섰는데, 正祖 15年(1791) 江原道 觀察使 윤사국이 이곳을 돌아다니다 그 터를 찾아 復元하였다.

앞面 3칸·옆面 2칸 規模의 2層 樓閣이며, 옆面에서 볼때 여덟 팔(八)字 模樣인 八作지붕集이다.

자규시(子規詩: 소쩍새 時), 斷種(端宗)

一自寃禽出帝宮 (日子원금출帝弓) : 한 마리 원통한 새 宮中을 나와

孤身隻影碧山中 (孤身隻影碧山中) : 외로운 몸 외짝 그림자 푸른 山中을 헤맨다

假眠夜夜眠無假 (假面野野面巫歌) : 밤마다 잠을 請하나 잠은 이룰 수 없고

窮恨年年恨不窮 (窮한년년한불궁) : 해마다 恨을 다하고자 하나 恨은 끝이 없네.

聲斷曉岑殘月白 (性端孝잠盞月魄) : 子規 소리도 끊긴 새벽 묏부리 달빛만 희고

血流春谷落花紅 (血流春谷落花洪) : 피 뿌린 듯 봄 골짜기 떨어진 꽃이 붉구나.

天聾尙未聞哀訴 (千롱上美文哀訴) : 하늘은 귀머거리라 슬픈 하소연 듣지 못하는데

何乃愁人耳獨聽 (하내수人이毒廳) : 어찌해서 水深 많은 내 귀만 홀로 듣는가.

관풍헌 [ 編輯 ]

관풍헌은 朝鮮時代 地方의 業務를 處理하던 官廳建物로 앞面 3칸·옆面 3칸 規模의 建物과 附屬建物로 이루어져 있다. 現在는 曹溪宗 報德寺에서 布敎堂으로 利用하고 있다. 이곳에서 約 50m 程度 떨어진 곳에 자규루라는 樓閣이 있다.

갤러리 [ 編輯 ]

各州 [ 編輯 ]

  1. 現地 案內文 認容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