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眞짜 英才 父母들, 學校 찾아오지도 않고 電話도 안 해”[파워인터뷰]|동아일보

“眞짜 英才 父母들, 學校 찾아오지도 않고 電話도 안 해”[파워인터뷰]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8月 20日 23時 39分


코멘트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總長

《지난해 8月 國內에서 ‘K클래식 제너레이션’이라는 다큐멘터리 映畫가 開封됐다. 映畫는 “國際 主要 音樂 競演에서 韓國人의 優勝은 最近에 거의 當然해졌다. 지난 20年間 700名이 決選에 올랐고, 그中 110名이 優勝을 차지했다. 이렇게 빨리 頂上級에 오른 祕訣과 그 懇切한 理由는 무엇일까?”라는 내레이션으로 始作한다. 映畫監督은 20年이 넘게 퀸 엘리자베스 國際 콩쿠르를 現場 中繼해온 벨기에 公營放送(RTBF) 音樂監督인 티에리 輅路.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總長(61)은 서울 城北區 韓藝綜에서 1日 가진 인터뷰에서 “궁금한 게 當然한데 事實 딱 이것 때문이라고 꼬집어 말하기는 어렵다. 여러 要因이 複合的으로 作用한 結果가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韓藝綜은 임윤찬(2022年 밴 클라이번 國際 피아노 콩쿠르 最年少 優勝), 문지영(2015年 부소니 國際 피아노 콩쿠르 1位), 임지영(2015年 퀸 엘리자베스 國際 콩쿠르 1位·바이올린) 等을 輩出한 名實相符한 K클래식의 産室이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은 “요즘 학교교육 문제가 심각한데, 핵심은 가정교육”이라며 “정말 크게 성장한 아이들을 보면 부모가 
앞에 나서지 않고 뒤에서 바라보거나 아예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總長은 “요즘 學校敎育 問題가 深刻한데, 核心은 家庭敎育”이라며 “正말 크게 成長한 아이들을 보면 父母가 앞에 나서지 않고 뒤에서 바라보거나 아예 無關心한 境遇가 많다”고 말했다.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요즘 學父母의 過度한 敎權 侵害가 社會問題다. 2021年 總長 就任 一聲이 ‘치맛바람 謝絶’이었다.

“1994年 (敎授) 赴任했을 때는 그런 게 많았다. 그래서 學父母들과 엄청나게 싸우기도 했다. 그렇게 一定 時間이 지나고 나서는 아예 ‘내가 連絡하기 前에는 (學父母를) 만나지 않겠다’고 했다. 이게 참 그런데…. 學生에게 問題가 發見돼 父母를 만나 보면 왜 그런 問題가 생겼는지 알겠더라. 學生이 가진 問題를 그 父母가 가진 境遇가 大部分이었다. 父母가 더한 境遇도 있고.”

―學生이 가진 問題를 父母가 갖고 있는 境遇는 어떤 事例가 있나.

“例를 들어 欲望이나 欲心이 宏壯히 지나친 아이들이 있다. 그런 境遇에는 집에서 父母님들이 콩쿠르에서 떨어져도 좀 다독이고 안심시켜 줘야 하는데 만나 보면 父母님이 더 하더라. (손)열음이 어머니가 그런 말을 했다. ‘엄마가 너무 앞서 나가면 子息이 엄마처럼 된다’고. 나는 그 말이 참 名言이라고 생각한다. 眞짜 英才들 父母는 學校 찾아와서 이러쿵저러쿵 안 한다. 一切 連絡하지 않는다.”

―藝體能界는 다른 分野보다 父母가 神經을 훨씬 더 많이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선욱이 英國 留學 간 뒤였는데, 선욱이 어머니에게 電話가 온 적이 있다. 或是 아들 英國 携帶電話 番號 아시냐高…. 正말 크게 成長한 아이들을 보면 父母가 앞에 나서지 않고 뒤에서 바라보거나 아예 無關心하다. 요즘 學校敎育 問題가 深刻한데, 나는 核心은 家庭敎育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敎育學者가 한 말인데, 學校에서 敎師를 때리는 學生은 집에서 父母도 때릴 거라는 거다. 그럴 確率이 높다고. (아이도) 父母가 하는 걸 보고 자랐을 可能性이 크지 않을까 싶다.”

―永災 敎育에 關心이 많은데 英才가 뭔가. 어릴 때부터 頭角을 나타내는 걸 말하나.

“그런 아이들도 있는데, 임윤찬 같은 境遇는 어렸을 때부터 頭角을 나타낸 境遇는 아니었다. 平凡했다. 國內 三益·자일러 콩쿠르에서 떨어진 적도 있었으니까. 그런데 以後에 스승인 손민수 敎授(韓藝綜)를 만나면서 안에 숨어 있던 뭔가가 ‘빵’ 터지면서 發現된 거다. 윤찬이의 어린 時節을 아는 사람들은 ‘아 저런 게 있던 아이였구나. 才能이란 게 늦게 發現될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한다.”

―우리나라 音樂家가 K클래식이라고 불릴 程度로 콩쿠르에 剛한 理由가 뭔가.

“하하하. 앞서 말한 대로 여러 가지가 作用한 結果겠지만…. 우리 學校의 境遇 ‘위클리(weekly)’라는 實習 授業 時間이 있다. 學生 中 한 名이 연주하면 다른 學生들이 그 자리에서 바로 評價하고 指摘하는데, 이게 平常時에도 舞臺 練習을 엄청나게 하게 되는 效果가 있다. 이게 왜 重要하냐면, 公演藝術은 定해진 時間에 單 한 番으로 모든 것을 보여줘야 한다. 그런 面에서 얼마나 많은 舞臺 經驗을 갖느냐가 宏壯히 重要하다. 國際 콩쿠르 審査委員을 해보면 當日 演奏보다 훨씬 더 많은 潛在力을 가진 參加者를 種種 볼 수 있다. 하지만 結局 點數는 潛在力보다 現場에서 더 잘한 사람에게 줄 수밖에 없다. 그리고 外國 記者들에게는 차마 말을 못 했는데…. 先生님의 獻身이 必要하다.”

―敎授의 獻身이라는 게 무슨 意味인가.

“國際 콩쿠르에서 優勝하려면 一週日에 한 番 定해진 레슨으로는 턱도 없다. 치는 曲만 10餘 曲인데…. 每日 또는 이틀에 한 番씩 追加로 레슨을 하는데, 한 番 하면 3∼4時間 以上 걸리기 일쑤다.”

―外國 敎授들은 그렇게 안 해주나.

“그게 우리와의 差異다. 外國에서는 基本的으로 出戰하는 學生이 알아서 해야 한다는 文化여서 定해진 授業 時間 안에서만 도와준다.”

―外國 記者들에게는 왜 이 말을 못 한 건가.

“왠지 外國 先生님들을 안 좋게 말하는 것 같아서….”

―‘K클래식 제너레이션’을 만든 輅路 監督은 ‘自由’를 그 理由 中 하나로 꼽았다. 演奏에서 ‘自由’가 뭔가.

“10餘 年 前만 해도 定型化된 演奏를 좋은 것으로 여겼다. 그런 演奏가 좋은 結果를 얻기도 했고. 그런데 요즘은 다음 部分에서 어떻게 칠지 豫測이 되고, 또 그대로 되면 재미없는 演奏로 친다. 世界的인 趨勢가 ‘자, 뻔하게 연주하지 말고 나를 좀 놀라게 해봐’ 이런 式으로 變하고 있다. 그걸 個性이라고 해도 좋고, 創意性이라고 해도 相關없다. 그래서 나도 한동안은 ‘只今까지 몇十 年 동안 가르친 게 그럼 다 잘못 敎育한 건가?’ 하는 會議에도 빠졌다.”

―自由나 個性, 創意性을 어떻게 가르치나.

“그건 스스로 키우는 것이지 누가 가르칠 수 있는 領域은 아닌 것 같다. 單, 學生이 그런 能力을 기를 수 있는 環境을 提供하는 게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아닌가 한다. 冊을 많이 읽으라는 것도 그런 理由 中 하나다. 個性은 樂器 練習으로 길러지는 게 아니니까.”

―임윤찬이 리스트의 피아노 聯作 ‘巡禮의 해’ 中 ‘단테 소나타’를 좀 더 理解하기 위해 단테의 ‘신곡’을 읽은 것도 그런 次元일까.


“新曲은 宏壯히 어려운 冊이다. 윤찬이가 正말 그 內容을 다 理解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重要한 것은 曲을 연주하기 위해 그 程度로 스스로 苦悶하고 努力한다는 것이다. 누가 시킨 게 아니지 않나. 그 過程에서 分明히 여러 가지 다른 생각과 感情이 떠오르고 自己만의 曲 解釋이 생긴다. 樂譜 外에는 아무것도 모른 채 機械的으로 치는 것과는 完全히 다르다. 演奏에 苦悶을 해야 한다.”

―演奏에 苦悶을 한다는 게 무슨 말인가.

“自身이 미치도록 좋은 部分이 있다면 좋다는 걸 느끼는 걸로 끝나서는 안 된다. 이 멜로디가 왜 좋은지 質問하고 答을 찾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人文學的, 哲學的 接近도 必要한 거고. 自己만의 感情과 解釋에 따른 連奏. 그게 審査委員들을 깜짝 놀라게 한다. 어떻게 연주할지 뻔히 豫想되는 演奏는 좋은 評價를 받지 못한다. 나도 美國 줄리아드 音樂院 博士 面接에서 曲의 思想的 背景을 묻는데 제대로 對答을 못 해서 떨어졌다.”

―試驗 準備를 많이 못 한 건가.


“그前에는 실기만 봤는데, 그해(1986年) 새로 赴任한 校長이 ‘博士를 實技로만 뽑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처음으로 面接 인터뷰를 追加하고 自身이 直接 質問했다. 요즘 뭘 치고 있냐고 묻기에 베토벤 피아노協奏曲 5番 皇帝라고 했더니 ‘마침 잘됐다’면서 曲에 깔린 時代的 思想을 30分 동안 얘기해 보라고 하더라. 30分은 고사하고 아는 게 없어서 3分도 채 못 했다. 그래서 그 다음 해에 들어갔다.”

―國際 콩쿠르에서 優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 直接 挑戰해봤을 텐데….

“차이콥스키 콩쿠르는 떨어졌고…, 리즈(國際 피아노 콩쿠르)도 1次에서 떨어졌고….”

―줄리아드 音樂院 出身인데….


“임윤찬, 조성진은 피아노가 아예 自己 몸의 一部다. 피아노를 갖고 自由自在로 논다고 할까.”

―콩쿠르 出戰者들은 大槪 그렇지 않나.

“말로 說明하긴 참 어려운데…. 다들 失手도 하나 없고 어려운 部分도 잘하긴 한다. 그런데 그中에서도 뭔가 演奏者와 피아노가 한 몸으로 느껴지는 아이들이 있다. 내게는 그 程度의 才能은 없었다.”

―우리가 콩쿠르 强國은 맞는데, 클래식 强國은 아니라고 한다.

“國際 콩쿠르에 審査委員으로 가 보면 韓國은 좀 왕따 取扱을 받는다. 와서 賞만 타가고 아무것도 寄與하지 않는다고.”

―寄與한다는 게 무슨 말인가.

“퀸 엘리자베스 國際 콩쿠르에서 우리 出戰者가 優勝하면 大書特筆되고 演奏가 줄을 잇는다. 그런데 外國 參加者가 優勝하면 우리는 關心 밖이다. 國內 招請 演奏도 거의 없다. 日本은 自己네 本選 進出者가 없는 콩쿠르라도 自國 審査委員이 한 名이라도 있으면 駐在國 大使館에서 審査委員 全員 招請 晩餐을 열어준다. 콩쿠르 後援도 하고. 우리는 그런 게 없다. 그러니 그쪽에서 보기에 韓國은 잘하기는 하는데 賞만 打갈 뿐 아무것도 交流하지 않는 나라라는 認識이 있다. 國際 콩쿠르를 통해 훌륭한 演奏者들을 많이 輩出한 만큼 우리도 世界 音樂界에 어떻게 寄與할 수 있을지 苦悶해야 한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總長
△1962年生
△美國 줄리아드 音樂院 卒業, 同 大學院 博士
△피아니스트 兼 指揮者
△퀸 엘리자베스 國際 콩쿠르, 클리블랜드 國際 콩쿠르 等 審査委員
△韓藝綜 韓國藝術英才敎育院長, 韓藝綜 音樂院長





李珍求 記者 sys1201@donga.com
#眞짜 英才 父母들 #김대진 #韓國藝術綜合學校 總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