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의 象徵에서 다시 生存의 道具로… 선글라스의 起源[강인욱 世上萬事의 起源]|東亞日報

패션의 象徵에서 다시 生存의 道具로… 선글라스의 起源[강인욱 世上萬事의 起源]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8月 3日 23時 39分


코멘트
《地球의 深刻한 氣候變化로 强한 紫外線과 더운 여름이 길어지면서 어느덧 선글라스는 우리의 必需品이 되고 있다. 선글라스는 패션의 象徵인 同時에 隱密한 意味로도 使用되어서 1980年代까지도 映畫나 漫畫 같은 媒體에서 스파이나 惡黨들은 例外 없이 선글라스를 끼고 登場했던 記憶이 있다. 13世紀에 光學의 發明과 함께 登場한 眼鏡보다 훨씬 이른 時期부터 登場한 선글라스, 그 뒤에 숨겨진 數萬 年 人間의 歷史를 살펴보자.》





北極圈에서 먼저 製作된 눈가리개

크누드 라스무센이 1920년대에 촬영한 눈가리개를 쓴 에스키모의 모습. 빛의 난반사를 막아 눈을 보호하는 이 가리개는 눈밭에서 장시간 활동할 때 필수품이었다. 강인욱 교수 제공
크누드 라스무센이 1920年代에 撮影한 눈가리개를 쓴 에스키모의 모습. 빛의 亂反射를 막아 눈을 保護하는 이 가리개는 눈밭에서 長時間 活動할 때 必需品이었다. 강인욱 敎授 提供
視力 矯正用 眼鏡은 大體로 12∼13世紀 무렵에 이탈리아에서 처음 發明되었다. 眼鏡은 印刷術의 發達과 함께 冊이 널리 普及되면서 急激히 擴散되었다. 壯年層이 나이를 먹으면 작은 글씨를 보기 위한 補助道具가 必須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햇빛을 避하는 現代의 선글라스나 고글과 같은 用途의 햇빛 가리개는 그보다 훨씬 빨라서 數千 年 前부터 發見된다.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강인욱 慶熙大 史學科 敎授
가장 빠른 햇빛가리개 선글라스 遺物은 北極圈에서 出土된다. 1950年代에 美國의 알래스카와 베링海를 두고 마주한 러시아 軸치 半島의 北쪽에 位置한 에크벤이라는 地域에서 무덤이 發掘된 바 있다. 2500年 前부터 만들었던 이 무덤들에서는 바다豹범의 象牙로 만든 선글라스가 發見되었다. 象牙를 깎아서 눈가리개를 만들고 實際 눈으로 보는 部分은 옆으로 쭉 찢어서 눈에 들어가는 햇빛을 最少化하는 式이다.

놀랍게도 이 선글라스는 現在의 시베리아는 勿論이고 알래스카, 캐나다의 북극圈 原住民들이 使用하는 햇빛가리개와 거의 差異가 없었다. 이 뼈로 만든 선글라스는 그 안쪽에도 숯검댕을 漆해서 빛의 亂反射를 막기도 했으니, 바로 눈부신 北極海의 눈밭에서 사냥을 하거나 멀리 볼 때를 위해 使用하는 것이다. 20世紀 初盤의 寫眞 資料를 보면 當時 에스키모와 北半球의 原住民들이 使用하는 象牙製 선글라스는 只今 보아도 크게 뒤지지 않을 程度로 세련되었는데, 北極圈에서 數千 年間 使用하던 生存을 위한 必需品이었다.

氷河期 때부터 눈 保護 위해 使用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주립박물관에 전시된 20세기 초 시베리아 원주민 응가나산의 선글라스. 가죽과 청동으로 만들었다. 강인욱 교수 제공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州立博物館에 展示된 20世紀 初 시베리아 原住民 응가나산의 선글라스. 가죽과 靑銅으로 만들었다. 강인욱 敎授 提供
사피엔스가 蕃盛하던 8萬 年 前∼1萬2000年 前까지는 酷毒한 氷河期였다. 이때 사피엔스는 추위를 견디며 매머드를 사냥하여 生存했다. 氷河期에는 一 年의 大部分이 눈으로 덮여 있어서 强한 太陽빛이 亂反射되어 視力을 크게 저하시킬 수밖에 없다. 그러니 氷河期를 견디고 生存하기 위해서는 눈밭에서 長時間 活動할 때 視力을 保護하고 멀리 볼 수 있는 道具가 반드시 必要했다. 비록 아직까지 實物로 發見되지는 않았지만 氷河期 時節부터 剛한 햇빛으로부터 눈을 保護하는 道具가 있었을 것이다.

舊石器時代에 눈을 保護하는 道具가 必要한 또 다른 理由가 있다. 바로 石器를 製作하는 데 必要하다. 舊石器時代 사람들은 每日 數十 個의 돌을 깨면서 必要한 石器를 만들었다. 돌을 數千 番 휘둘러 깨는 過程에서 아무리 操心해도 빠르게 튀는 石器 조각에 눈을 다칠 可能性이 크다. 只今도 考古學者가 舊石器를 製作하는 實驗을 할 때면 반드시 保眼鏡을 쓰는 理由가 여기에 있다. 舊石器時代 洞窟 壁畫를 보면 짐승의 마스크 같은 것을 쓴 것이 種種 보이니 아마 只今은 잘 남아 있지 않은 가죽 같은 것을 使用했을 것이다.

이렇게 人間이 추운 氷河期에 適應하면서 身體的인 變化도 이어졌다. 氷河期를 지나면서 사피엔스는 햇빛을 막기 위해 윗눈꺼풀이 두꺼워져서 밑으로 처지는 듯하게 되었다. 專門用語로는 에피칸투스 또는 몽골주름이라고도 한다. 이 에피칸투스가 몽골人들에게 많기 때문에 西洋에서는 몽골人을 卑下하는 表現으로 눈이 찢어진 듯 表現한다. 하지만 實際로는 人種에 關係없이 추운 地方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많다. 이는 人間이 氷河期를 지나 生存할 수 있었던 人類의 歷史에서 必然的인 手順이었다.

祝福과 復活 象徵한 宗敎的 意味도

이집트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견된 눈 모양이 들어간 황금 팔찌. 태양과 달을 상징하는 호루스의 눈은 숭배 대상이었다. 사진 출처 투어이집트 홈페이지
이집트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發見된 눈 模樣이 들어간 黃金 팔찌. 太陽과 달을 象徵하는 호루스의 눈은 崇拜 對象이었다. 寫眞 出處 투어이집트 홈페이지
추운 氣候에 適應하며 發達한 선글라스는 氷河期가 끝나면서 神의 뜻을 傳하는 ‘눈빛’으로 바뀐다. 옛사람들은 自身들이 믿는 神이 千里眼으로 마치 눈에서 光線을 뿜듯이 四方을 비추어서 世界를 平安하고 幸福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믿었다. 바로 聖스러운 눈빛을 비추는 道具로 선글라스를 만들어 身上에 붙이거나 祭司長이 쓰고 意識을 했다. 最近까지도 시베리아의 샤먼들은 意識을 할 때 實際 눈을 감추고 眼帶를 着用하거나 이마에 써서 神聖한 눈빛을 表現했다. 이집트의 파라오 遺物 中에도 實際로 눈에 쓰지는 않았지만 팔찌 같은 各種 裝飾에 눈模樣을 달았다. 그리고 太陽과 달을 象徵하는 호루스의 눈이라고 하여 崇拜하기도 했다.

가까운 日本에서는 新石器時代人 조몬文化에서 선글라스를 낀 土偶(진흙으로 만든 人形)가 種種 發見된다. 特히 日本의 國寶로도 指定된 도호쿠 地域에서 發見된 조몬土器는 女性의 體型이고 얼굴에는 커다랗게 선글라스(또는 고글)를 썼다. 그 形態가 特異해서 宇宙人을 연상시키지만, 大部分의 考古學者들은 當時 사람들이 모시는 神의 形象이라고 推定한다. 눈에서 나오는 빛을 神聖視하고 그를 감추거나 裝飾하는 風習은 中國 쓰촨 盆地에서 3000年 前에 蕃盛한 靑銅器時代 文化인 山싱투이에서 特히 많이 보인다. 여기에서는 눈에서 나오는 眼光을 强調하거나 마스크 같은 것으로 눈을 裝飾한 靑銅 身上이 많이 發見되었다. 實際 博物館에 展示된 이 身上을 直接 바라보고 있노라면 그 燦爛함으로 눈빛이 泫泫하다는 느낌을 준다.

선글라스는 世上을 떠난 사람의 저승에서의 福을 의미하기도 했다. 유라시아 一帶의 遊牧民들은 죽은 사람의 눈 위에 黃金이나 銀으로 만든 선글라스를 만들어 덮어주기도 했다. 北極海의 무덤에서 發見된 선글라스도 나비처럼 생긴 符籍과 함께 發見되었으니 무덤에 묻힌 선글라스는 저승에서 길을 잃지 않고 똑바로 天堂으로 가라는 意味였다.

地球溫暖化 時代, 다시 必需品으로

추위를 막고 神靈한 힘을 象徵하는 선글라스가 패션의 道具로 登場한 것은 20世紀 初盤으로 飛行機의 發達이 原因이었다. 파일럿은 强한 紫外線과 햇빛을 막기 위하여 着色을 한 眼鏡이 必要했고, 모든 사람의 羨望을 받으며 선글라스도 널리 퍼졌다. 그리고 할리우드 映畫 俳優들이 자주 쓰고, 바다에서 海水浴을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며 선글라스는 패션의 道具가 되었다. 1937年 한 해에만 美國에서 2000萬 個의 선글라스가 팔릴 程度로 豐饒를 象徵하는 아이템이 되었다. 하지만 最近 現代社會에서 선글라스는 패션에서 다시 過去와 같은 生存의 道具로 바뀌는 느낌이다. 急激한 氣候의 溫暖化와 紫外線의 增加로 우리에게 선글라스는 멋을 넘어서 生存의 必須 아이템이 되고 있다. 또한 社會가 刻薄해지고 스마트폰의 普及으로 사람들은 어느덧 서로의 視線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선글라스로 自身을 감추고 스스로 孤立하려는 用途로 使用하는 例가 많아지는 것같다. 하루하루 참기 어려운 더위가 持續되는 요즘이다. 선글라스가 다시 自身의 아름다움을 傳하는 道具로 繼續 使用되길 바란다.



강인욱 慶熙大 史學科 敎授


#선글라스의 起源 #生存의 道具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