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형 記者의 一便車審]世界 各國 頂上들의 ‘儀典 車輛’ 自尊心 對決|東亞日報

[김도형 記者의 一便車審]世界 各國 頂上들의 ‘儀典 車輛’ 自尊心 對決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6月 29日 23時 45分


코멘트
2030年 엑스포의 釜山 誘致를 위해 얼마 前 프랑스를 찾은 尹錫悅 大統領이 르노의 自動車를 타면서 話題를 모았다. 프랑스를 代表하는 完成車 企業인 르노의 中型 스포츠유틸리티車輛(SUV) 에스파스(寫眞)였다. 르노가 韓國에서 釜山工場을 運營 中인 點까지 勘案하면 프랑스에서 提供한 儀典車輛을 辭讓하지 않고 利用했다는 大統領室의 說明에는 別 無理가 없어 보인다.

김도형 기자
김도형 記者
오히려 눈에 띄는 것은 이 儀典車輛이 重厚한 세단이 아니라 SUV였다는 點이다. 프랑스에선 에마뉘엘 마크롱 大統領도 SUV인 ‘DS7 크로스白 엘리제’를 儀典車輛으로 쓴다. 重刑 SUV를 基盤으로 設計된 이 儀典車輛에는 프랑스 特有의 實用主義가 담겨 있다는 解釋이 함께 따라붙는다.

世界 各國의 頂上이 타는 儀典車輛은 이처럼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를 몰고 다닌다. 그리고 巨大한 完成車 企業을 가진 國家라면 이런 自負心을 儀典車輛으로 表現하는 것이 一般的이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總理가 프랑스에서 마세라티의 大型 高級세단 ‘콰트로포르테’를 탄 모습이 그러하다. 公式 儀典車輛 代身 大使館 車輛을 利用했다는 說明인데 마세라티와 페라리 같은 高級 車·슈퍼카 브랜드를 保有하고 있다는 自尊心이 엿보인다. 얼마 前 히로시마에서 열린 主要 7個國(G7) 頂上會議에서도 訪問國 頂上들은 BMW의 大型 세단을 主로 탔지만 日本의 기시다 후미오 總理는 ‘日本의 롤스로이스’로 불리는 도요타의 高級 세단 ‘센추리’를 탔다.

最高級 세단과 防彈 車輛이 수두룩한 儀典車輛의 世界에서 斷然 돋보이는 車는 美國 大統領의 ‘캐딜락 원’이다. 제너럴모터스(GM)가 特殊 製作한 이 車는 銃알은 勿論이고 로켓砲 攻擊도 버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길이 5.5m, 무게 8t에 이르는 이 車의 別名은 그래서 ‘野獸(The Beast)’다. 美國의 自尊心과도 같은 高級 車 브랜드 캐딜락 마크를 달고 海外까지 같이 따라다니는 이 車는 美國 次 産業의 看板 弘報모델이라 할 만하다.

이番 엑스포 誘致戰의 最大 敵手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온 무함마드 빈 살만 王世子는 公式 儀典車輛을 마다하고 메르세데스벤츠의 最高級 세단을 탔다. 이를 두고 어떤 이들은 르노 車輛과 比較하며 儀典 問題를 提起했다. 하지만 어쩌면 빈 살만 王世子에게는 世界 最高의 資源 富國임에도 이렇다 할 完成車 브랜드 하나 保有하지 못한 現實이 가장 큰 苦悶거리일 수도 있겠다.

尹 大統領은 르노를 탔지만 이番 誘致戰 期間 동안 파리에서는 ‘釜山은 準備됐다!(BUSAN is READY!)’라고 써 붙인 現代車그룹의 電氣車들이 觀光 名所를 누비고 儀典車輛으로도 나서며 誘致戰을 도왔다.

美國 高級 電氣車 企業 루시드 投資에 나선 바 있는 사우디 國富펀드는 2025年 陽傘을 目標로 電氣車 브랜드 ‘씨語(Ceer)’를 만들었다. 이미 生産된 自國의 車가 있다면, 王世子 亦是 그 車를 타고 엘리제궁을 찾았을지 모를 일이다.


김도형 記者 dodo@donga.com


#世界 #各國 頂上들 #儀典 車輛 #自尊心 對決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