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蘿徑(裸耕)’의 모습 담은 2300年 前 靑銅器 그림[이한상의 祕密의 열쇠]|東亞日報

‘蘿徑(裸耕)’의 모습 담은 2300年 前 靑銅器 그림[이한상의 祕密의 열쇠]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7月 19日 03時 00分


코멘트
선사시대 곡물의 흔적은 한반도에서 일찍이 농경문화가 시작됐음을 보여준다. 2300년 전 한반도 마을 풍경을 보여주는 청동기의 
뒷면(보물 1823호·큰 사진)과 이를 확대한 사진. 벌거벗고 밭갈이 하는 남성의 모습은 ‘나경’의 풍습을 짐작하게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先史時代 穀物의 痕跡은 韓半島에서 일찍이 農耕文化가 始作됐음을 보여준다. 2300年 前 韓半島 마을 風景을 보여주는 靑銅器의 뒷面(寶物 1823號·큰 寫眞)과 이를 擴大한 寫眞. 벌거벗고 밭갈이 하는 男性의 모습은 ‘蘿徑’의 風習을 斟酌하게 한다. 國立中央博物館 提供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전공 교수
이한상 대전대 歷史文化學專攻 敎授
人類는 地球上에 처음 登場했을 때 身體的으로 懦弱했으나 卓越한 認知能力을 지녔기에 滅種을 避했다. 불을 利用하고 道具를 만들어 쓰면서 차츰 頭角을 나타냈지만 먹거리를 求하는 일이 쉽지 않아 季節別로 여기저기 떠돌며 살았다.

그러다가 農耕을 始作하면서 드디어 定着 生活을 할 수 있었다. 考古學者 고든 차일드는 이를 ‘新石器 革命’이라 불렀다. 農耕을 바탕으로 人類가 社會的으로나 文化的으로 革命的 發展을 이루었음을 强調한 말이다. 農耕은 人類를 野蠻에서 건져 文明으로 이끈 牽引車라 할 수 있다.

韓半島 亦是 例外가 아니다. 新石器時代에 農耕이 始作됐고, 그것이 本格化하는 靑銅器時代에는 마을 規模가 커지고 社會 分化가 進展됐다. 近來 各地에서 先史時代 農耕의 痕跡들이 續續 發掘되면서 文明 誕生의 過程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古物商이 蒐集한 ‘農耕 遺物’


1971年 國立中央博物館은 깨진 靑銅器 한 點을 購入했다. 遺物을 판 商人에게 靑銅器의 履歷을 물었더니 지난해 末 大田의 한 古物商이 蒐集한 것이라고 했다. 博物館 硏究員들은 처음에는 大田 괴정동 出土 防牌型銅器와 비슷하였기에 큰 關心을 두지 않았으나 綠을 除去한 後 빼곡히 무늬가 새겨져 있음을 보고는 깜짝 놀랐다.

맨 위에는 어디엔가 매달아 使用한 듯 6個의 구멍이 뚫려 있다. 앞面에는 둥근 고리 하나가 걸려 있는데, 間或 發掘되는 靑銅意氣처럼 살짝 들었다 내려놓아 소리를 내는 用途로 보인다. 고리 위쪽에는 나뭇가지에 새가 앉아 있는 모습이 表現되어 있다. 마치 시골 마을 어귀의 솟대와 비슷하다.

뒷面에는 더 다양한 그림이 있다. 오른쪽 위에는 簡略한 線으로 表現된 人物이 있는데, 男根이 드러난 것으로 보면 벌거벗은 채 밭갈이하는 男性으로 보인다. 왜 벌거벗고 밭을 가는 걸까. 學界에선 蘿徑(裸耕)을 表現한 것으로 推定하기도 한다. 이는 立春 때 벌거벗고 밭은 가는 風習으로, 朝鮮의 一部 地域에 남아 있었다고 傳한다. 그 아래에는 開墾 作業 中인 男性이, 왼쪽 위에는 女性으로 보이는 人物이 무엇인가를 收穫해 缸아리에 담는 듯한 모습이 表現되어 있다.

비록 많은 部分이 破損된 데다가 發掘品이 아니라는 限界가 있지만, 이 靑銅器는 2300年 前 韓半島의 ‘마을 風景’을 담고 있다는 點에서 큰 價値를 인정받았다.

불탄 집터서 찾은 炭化米 395g

경북 안동시 저전리의 저수지 바닥에서 발굴된 청동기시대의 벼 껍질. 펄층에 파묻힌 덕에 수천 년간 원형을 보존할 수 있었다. 동양대박물관 제공
慶北 安東市 저전리의 貯水池 바닥에서 發掘된 靑銅器時代의 벼 껍질. 펄層에 파묻힌 德에 數千 年間 原形을 保存할 수 있었다. 東洋大博物館 提供
1975年 國立博物館 調査團은 農地廓大開發事業地區에 編入된 忠南 扶餘 송국리 一帶를 發掘해 靑銅器時代 집터와 甕棺墓 等을 確認했고 1978年까지 年次的으로 調査를 이어갔다. 1977年 11月에 進行한 54地區 1號 집터 發掘에서는 豫想치 못한 成果를 거두었다. 耕作이 끝난 밭의 겉흙을 걷어내자 長方形 집터의 輪廓이 나타났고 內部를 파들어 가자 火災로 廢棄된 痕跡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지푸라기와 나무로 만든 움집에 불이 났을 때 家財道具조차 챙기지 못한 채 몸만 避한 듯 집터 바닥에는 土器와 石器가 널려 있었다.

操心스레 土器를 露出하던 調査員의 눈에 거뭇거뭇한 숯 조각들이 들어왔다. 仔細히 보니 불에 탄 쌀이었다. 처음에는 한 알씩 收拾하다가 너무 많아 통째로 떠서 物體질했더니 數百 알이나 됐고 무게는 395g이었다. 서울대 農大에 分析을 依賴한 結果, 모두 길이가 짧은 자포니카型이라는 結果를 얻었다. 2年 前 서울대 博物館이 京畿 驪州 흔암리 집터를 發掘할 때 收拾한 數十 點의 炭化米와 더불어 靑銅器時代에 벼農事를 지었음을 알려주는 證據였다. 그 以前까지만 해도 日本 學界에서는 韓半島의 벼農事가 日本에서 傳해졌을 可能性을 打診하였지만, 두 遺跡에서 炭化米가 發掘되면서 日本 野요이 時代 稻作文化의 起源地가 韓半島였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또한 1990年代 以後 先史時代의 논과 밭이 次例로 發掘되었다. 논은 規模가 작은 點이 特徵이었고, 밭은 이랑과 고랑을 갖추고 있었다. 耕作地에서는 다양한 穀物이 收拾되어 先史時代 農耕에 對한 理解가 劃期的으로 進展됐다.

펄 속에 잠자던 靑銅器時代 遺物

2005年 3月, 筆者는 東洋大 博物館 硏究員들과 함께 慶北 安東 저전리에서 國道 擴張工事 區間에 包含된 靑銅器時代 선돌 發掘에 나섰다. 그런데 發掘 結果 선돌은 朝鮮時代에 옮겨진 것으로 밝혀져 자칫 아무런 所得 없이 發掘이 끝날 수 있는 狀況을 맞았다.

或是나 싶어 調査 區域에 깊은 도랑을 팠더니 그곳에서 確認된 펄層에서 큼지막한 나무토막과 함께 여러 點의 靑銅器時代 土器 조각이 드러났다. 追加 調査에서 遺跡의 分布 範圍가 넓다는 事實이 確認되면서 發掘은 2008年까지 이어졌다. 그사이 貯水施設과 水路 等 靑銅器時代의 水利施設이 全貌를 드러냈고 遺跡 곳곳에서 多量의 石器, 土器, 木器가 쏟아졌다. 貯水施設은 自然 水路를 擴張하여 만든 것으로 너비 17m, 길이 50m, 殘存 깊이 1.8m 規模였다.

遺物 가운데 2點의 절굿공이는 靑銅器時代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첫 事例였기에 큰 話題가 되기도 했다. 發掘 막바지에 貯水施設 바닥에서 벼 껍질 몇 個가 發見된 것을 契機로 3個月 동안 貯水池 바닥에 堆積된 흙 全體를 物體질하였는데, 그 過程에서 600個 以上의 벼 껍질을 收拾했다. 이처럼 벼 껍질과 절굿공이가 原形을 갖춘 채 잘 남아 있었던 것은 貯水施設과 水路에 堆積된 펄 때문이다. 一定한 濕度를 維持한 펄이 數千 年의 歲月 동안 有機物을 安全하게 품어준 것이다.

지난 50餘 年 동안 先史時代 農耕의 實體가 相當 部分 解明됐다. 그 時代 사람들이 어떤 方式으로 農事를 지어 먹거리를 마련했는지, 農耕이 불러온 社會 變化로는 어떤 것이 있었는지에 對해서도 알 수 있게 되었다. 近來 全國 곳곳에서 靑銅器時代의 마을이 發掘되고 있는데, 그 數가 우리의 豫想을 뛰어넘는다. 그것이 바로 ‘農耕의 힘’이고 社會 變化의 動力이었을 것이다. 將次 더 많은 논과 밭, 水利施設, 그리고 穀物이 發掘되어 先史時代 사람들의 生活相이 더욱 鮮明하게 밝혀지길 바란다.


이한상 대전대 歷史文化學專攻 敎授
#蘿徑의 모습 #벌거벗고 밭가는 風習 #靑銅器 그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