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論/정호승]泰安 갈매기의 꿈|東亞日報

[詩論/정호승]泰安 갈매기의 꿈

  • Array
  • 入力 2009年 12月 5日 03時 00分


코멘트
“소라야, 잘 지내니?/기름이 바다를 덮었는데 괜찮니?/너는 집도 없는데 어떡하니?”

‘소라에게’라는 題目의 이 童詩는 忠南 泰安 앞바다 기름流出 事故의 苦痛을 克明하게 드러낸다. 지난해 發刊한 環境問題 作品集 ‘江물아, 바다야’에 실린 이 童詩는 當時 명지初等學校 1學年 김현수가 썼는데 只今 그 ‘소라’는 어떻게 됐을까.

西海에 검은 기름波濤가 밀려온 지 7日로 2年째다. 기름투성이 西海를 살리려고 온 國民이 한마음이 됐던 熱氣를 잊을 수 있을까. 只今 西海는 2年 前과는 너무나 다르다. 千里脯와 만리포 海域은 淸淨海域이라고 報道된다. 검은 波濤가 밀려오던 바다가 2年 만에 海水浴을 할 만큼, 水産物을 먹을 수 있을 만큼 回復됐다는 事實은 놀라운 일이다.

世界에 類例가 없는 일로 일컬어지는 이 일은 기름乳化劑 때문도, 政府의 努力 때문도 아니다. 한 사람 한 사람 스스로 우러나온 사랑과 奉仕의 땀방울, 그 땀방울의 힘 때문이다. 노란 비닐 옷과 草綠 長靴를 신고 호미와 吸着布를 들고 기름때가 엉겨 붙은 바위 틈새를 누비던 저 많은 國民. 길게 人間 띠를 이루며 原乳를 퍼 나르던 男女老少. 무슨 생각을 하며 왜 아픈 허리를 참아가며 房 淸掃하듯이 기름을 除去했을까.

祖國의 바다를 사랑했기 때문이다. 後孫에게 빌려온 自然을 더는 破壞해서는 안 된다고, 맑고 깨끗하게 있는 그대로 保全해서 돌려줘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은 泰安 漁民의 삶을 自身의 삶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기름범벅이 된 채 먼 水平線을 바라보던 뿔논병아리 寫眞 한 張이 지워지지 않는다. 어디 그 논병아리뿐일까. 바다쇠오리, 가마우지 等 모든 바닷새는 悽慘한 一生을 보냈다. 갯가재며 고둥이며 조개도 다들 숨을 잃었다. 그들의 새끼는 西海岸 바다 위를 신나게 난다. 泰安의 기름때를 한마음으로 除去해준 國民에게 고맙다고 人事라도 하는 듯하다.

칠레 作家 루이스 세풀베다가 쓴 童話 ‘갈매기에게 나는 法을 가르쳐준 고양이’에는 油槽船 기름덩어리를 뒤집어쓰고 죽은 갈매기 이야기가 나온다. 갈매기 켕가는 死力을 다해 날아오르다가 함부르크 바닷가 마을에 떨어져 검은 고양이 소르바스에게 세 가지 約束을 받아낸 뒤 죽는다. 알을 잡아먹지 말고, 새끼가 태어날 때까지 알을 지켜주고, 어린 갈매기에게 나는 法을 가르쳐 줄 것. 소르바스는 約束을 지킨다. 어린 갈매기가 두려워 날지 않으려고 할 때 말한다. “날개만으로 날 수 있는 건 아니란다. 오직 날려고 努力할 때만이 날 수 있는 거란다.”

이 말은 우리에게도 該當된다. 泰安 바다는 淸淨海域이라는 날개를 다시 얻었다. 그 날개로 다시 날기 위해서는 努力하지 않으면 안 된다. 淸淨바다로 回復됐다고 해서 元來 狀態로 完全히 復元됐다고 여길 수는 없다. 우리는 더는 바다生命에게 죽음의 苦痛을 안겨선 안 된다. 그들의 삶은 우리의 삶이다. 꽃이 피지 않는 都市를 생각할 수 없듯이 갈매기가 날지 않는 바다를 想像할 수 없다. 超高層 빌딩이 竹筍처럼 솟아나는 大都市라 할지라도 골목골목에 꽃이 피어야 都市이며, 아무리 푸른 바다라 할지라도 갈매기가 날아다녀야 바다다.

만리포엔 ‘西海의 奇跡, 偉大한 國民’이라고 새겨진 記念碑가 서 있고, 二元防潮堤 壁面엔 ‘에버그린 希望壁畫’라는 世界 最大 規模의 壁畫가 그려졌지만 被害 住民은 示威를 벌인다. “조개도 캐고 굴도 따고 紅蛤度 따야 하는데 올해는 없어요”라고 呼訴하는 말처럼 只今 泰安 바다는 예전의 그 바다가 아니다. 事故 2周年을 맞은 오늘, 아직도 廢墟가 된 窟 養殖場 木柵에 앉아 하염없이 바다를 바라보는 漁民이 우리 自身임을 깨달을 수 있어야 한다.

정호승 詩人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