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論/강은교]그날, 가장 먼저 電話 건 사람의 所重함|동아일보

[詩論/강은교]그날, 가장 먼저 電話 건 사람의 所重함

  • 東亞日報
  • 入力 2016年 9月 19日 03時 00分


코멘트
강은교 시인 동아대 문예창작학과 교수
강은교 詩人 東亞大 文藝創作學科 敎授
그날, 가장 먼저 電話벨을 울린 이는 누구였는가. 그러니까 地震이 가만히 앉아 있는 나의 집이며 나의 얼굴을 마구 흔들던 날 저녁에 말이다.

正말 精神이 없었다. “어어∼” 하고 있는 사이 내가 앉아 있는 자리는 마치 時計錘처럼 왔다갔다 흔들거리고 있었다. 나는 옷을 챙겨 입고 할 생각도 하지 못한 채 신발을 들고 스마트폰을 마구 찾았다. 番號를 마구 눌렀다. 單 하나의 番號밖에 떠오르지 않았다. 精神없이 그 番號 數字를 눌렀으나, 그러나 電話機에서 들린 소리는 “通貨量이 많아, ∼”였다. 不通이었다. 그래도 마구 番號를 다시 눌렀다. 누르고 다시 누르고, 또다시 누르고. 그러다 흔들림이 멈추었다. 그 瞬間 通話音이 따르릉 울렸다. “왜 그렇게 電話를 안 받아. 繼續 電話했는데….” 딸이었다. “나도 電話를 걸고 있었어. 왜 그렇게 안 받니?” 電話가 뚝 끊어졌다.

그때 電話벨 소리가 다시 울렸다. “언니! 別일 없어? 釜山은 宏壯하다며?” 서울에 사는 동생이었다. 우리는 한참 서로의 安否를 물었다.

아마 이番에 모두 家族을 느꼈을 것이다. 아무리 아파트에 떨어져 살아도, 끈氣가 없어진 밥알들처럼 뿔뿔이 흩어져 서로 關心 없는 듯이 보여도 家族 解體 云云하는 목소리, 每日 귓전을 울려도, 아, 마지막 살아있는 힘은 家族이구나 하는 것을. 마지막까지 붙잡고 싶은 목소리는 어머니, 아버지, 兄弟들의 목소리라는 것을, 그 목소리들이 빙빙 둘러친 緋緞 목도리들이라는 것을. 옛날에는 서로의 安否를 물을 必要도 없이 오순도순 한집에 모여 살았으나 요즘 그런 幸運을 가진 사람은 몇이나 될까. 딸도 아들도 다른 都市에서, 다른 집에서, 兄弟들도 다른 都市에서 다른 집에서 남처럼 되어 산다. 서로 사느라고 바쁘지, 하고 짐짓 理解하며.

家族 間의 紐帶가 어느새 끊어지고 있다. 돈 많은 사람은 돈 많은 대로, 돈 없는 사람은 돈 없는 대로 서로를 멀리 쳐다보며, 때로는 그 누구보다 미워하며, 또는 서러워하며 산다. 뉴스 統計에 따르면 우리나라 홀몸老人은 老人 10名 中 7名이며, 大槪 貧困層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가난한 홀몸老人들도 가장 滿足度가 낮은 項目은 다들 “子女와의 關係”라고 한다. 經濟 問題도, 다른 그 무엇도 아닌, 家族들과의 關係의 끊어짐.

그런데 나에게는 名節에 가볼 故鄕이 없다.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 나의 어머니는 當時 京城에서 獨立運動을 하시느라 家族을 모르시던 아버지를 찾아 果敢히 故鄕을 떠나셨다. 얼른 돌아오실 생각으로 ‘혼자 밥 먹을 수 있는’ 다섯 살 딸은 할머니께 맡기신 채, 젖먹이인 나만 업고, ‘모개신’(짚신의 北韓 사투리)李 닳아질까봐 가슴에 안고, 사람들이 보는 데서만 그것을 꺼내 신으시면서. 그런데 그만 休戰線이 막혀 버리는 바람에 어찌어찌 만난 아버지와 서울살림을 마치 新接살림처럼 始作하실 수밖에 없으셨던 것이다. 말해놓고 보니, 참, 흔한 이야기다.

그래도 모개신, 하니까 地震 나던 날의 電話벨 소리와 신발을 짝짝이로 들고 뛰던 게 새삼 생각난다. 말하자면 家族은 가장 便한 신발 같은 存在가 아닐까. 그것이 없으면 길을 잘 못 걸을 수밖에 없는 그런 신발. 품에 품고 江을 건너 낯선 길 속으로 걷게 하는 모개신….

이 世上의 길은 모두 처음 가는 길이다. 낯선 길이다. 그러나 家族은 그 모든 처음 가는 길의 신발이다. 萬 里 險한 길도 가게 하는, 또는 그 어떤 곳을 向하여 마음대로 날게 하는 카펫. 아아아, 家族이여, 不滅하라. 永遠히 아름다운 우리의 ‘모개신’이 되어라.
 
강은교 詩人 東亞大 文藝創作學科 敎授
#名節 #家族 #유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