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西村 韓屋과 中國집에서 느끼는 藝術家의 痕跡[令監 한 스푼]|東亞日報

西村 韓屋과 中國집에서 느끼는 藝術家의 痕跡[令監 한 스푼]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5月 14日 11時 00分


코멘트

西村 韓屋이 준
세 가지 靈感

권순철, <한국인의 얼굴을 찾아서> 의 일부, 1979년
권순철, <韓國人의 얼굴을 찾아서> 의 一部, 1979年


여러분 安寧하세요,

和暢한 봄 날씨가 끝나기 前에 나들이를 떠나려는 讀者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서울 內 여러 곳 中 西村度 날씨 좋은 날 찾을 만한 곳이죠. 特히나 西村 구석구석 자리하고 있는 韓屋은 여러 感興을 불러일으키는 空間입니다.

그런데 같은 韓屋을 두고도 關心事에 따라 갖게 되는 感情이 다르다는 것, 생각해 보셨나요?

어떤 사람은 어린 時節 살았던 집에 對한 鄕愁 를 떠올리고,

또 다른 사람은 都市에서 쉽게 接하지 못하는 새로움 에 끌리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雅淡한 韓屋 壁 앞에서 셀카 를 찍어 소셜 미디어에 共有하고 싶고,

내 趣向대로 살아보는 韓屋 라이프 를 꿈꿔보는 사람도 있겠죠.

그리고 不動産 價値 를 머릿속에 그려보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藝術家들은 韓屋을 두고 어떤 靈感을 받았을까요? 오늘 紹介할 展示는 바로 그런 靈感을 세 가지 角度로 가볍게 살펴볼 수 있는 곳입니다.

西村 韓屋집이 준 세 가지 靈感

가슴이 두근두근: 권순철, 이강소展

이강소 作家 는 韓屋의 壁에 門과 窓門, 골목길을 담은 大型 寫眞을 設置해 새로운 空間을 만들고자 했다. 이 寫眞들은 시멘트 壁, 甓돌, 窓틀의 質感에 集中하게 만든다.

권순철 作家 의 作品에서도 거친 壁을 聯想케 하는 質感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質感은 그림 속에서 韓國의 歷史나 사람들의 얼굴과 맞물리면서 또 다른 意味를 形成한다.

展示가 열리는 ‘창성동實驗室’을 運營하는 이기진 敎授 는 無彩色의 韓屋에 輕快한 色彩를 더해 自身만의 趣向과 個性을 드러낸다.

○ 막힌 壁의 意味를 낯설게 보기
이 展示는 西村의 韓屋을 改造한 空間 ‘창성동實驗室’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昨年 9月 권순철 作家가 드로잉 作品을 선보인 적이 있는데요. 이 때 展示場을 찾았던 이강소 作家가 空間에 相當한 興味를 갖고, 2人展을 提案하면서 이番 展示가 열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강소, 권순철 作家는 서울대 繪畫科에 함께 다녔던 先後輩 사이로, 1964年 西村 누하동에서 作業室을 같이 쓰기도 했답니다.

展示場에 들어서면 아래와 같은 光景을 마주하게 됩니다. 바로 이강소 作家의 設置 作品 ‘夢遊’입니다.

이강소, 몽유, 2022년
이강소, 夢遊, 2022年


元來 이 곳은 韓屋의 흰 壁이 세 面으로 둘러싸고 있는 空間입니다. 이강소 作家는 이 곳의 세 壁 사이즈를 測定한 뒤, 空間에 딱 맞는 크기로 寫眞 作品을 設置했습니다.

天井에 켜진 노란 照明 아래 灰色빛의 골목길과 시멘트壁이 마치 닫힌 壁이 새로운 空間으로 열린 듯한 雰圍氣를 자아냅니다. 題目 ‘夢遊’(夢流)는 꿈에서 흐르다, 或은 꿈속을 걷는다는 意味로 보이는데, 韓屋집 속 空間을 꿈 等 現實이 아닌 다른 次元으로 가져간다는 意圖로 解釋이 됩니다.

이렇게 한 空間을 平素와는 다른 낯선 意味로 變奏하는 것은 이강소 作家의 트레이드마크 中 하나입니다. 1970年代 퍼포먼스 作品 <掃滅(선술집)>李 代表的입니다.

이강소, 소멸(선술집), 1973년
이강소, 消滅(선술집), 1973年


1973年 이강소 作家가 鳴動畫廊에서 첫 個人展을 열었을 때 입니다. 作家는 畫廊에 선술집에서 쓰는 테이블과 椅子를 가져다 놓고 觀覽客에게 막걸리와 按酒를 提供합니다. 畫廊 앞에는 ‘선술집’이라는 立看板이 내걸렸습니다.

그러자 展示를 보러 온 사람들이 各自 자리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기 始作했습니다. 畫廊이었던 空間이 椅子, 테이블, 그리고 사람들로 인해 한 瞬間에 선술집으로 바뀐 것이죠. 觀客이 完成하는 퍼포먼스 作品이 誕生하는 瞬間입니다.

이番 展示에서도 作家는 壁 위에 寫眞으로 만든 다른 壁을 세워 다른 空間으로 觀客들을 招待합니다. 簡單한 아이디어로 觀點을 바꾸는 才致가 흥미롭죠. 아마도 이 空間에서 어떤 感興을 느껴야 하는가에 對해서 作家는 觀覽客의 몫으로 돌릴 것 같습니다.
○ 歷史를 담은 두꺼운 壁
展示場에서 또 한 가지 흥미로운 比較 地點을 發見할 수 있었습니다. 바로 두 作家의 作品의 表面에서 볼 수 있는 거친 質感의 各其 다른 意味였습니다.

먼저 이강소 作家의 寫眞 作品에서, 韓屋의 하얀 壁과 對照되는 灰色의 거친 시멘트壁을 發見할 수 있는데요.

이강소, 몽유, 2022년
이강소, 夢遊, 2022年


實際로 보면 사이즈가 크고, 展示場의 照明이 어두운 便이어서 寫眞 속 灰色 壁의 울퉁불퉁한 質感이 훨씬 더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이 壁의 뒤便 空間에는 권순철 作家의 作品이 자리하고 있는데요. 권순철 作家의 作品에서도 이러한 거친 質感을 確認할 수 있습니다.

권순철, 넋, 1995년
권순철, 넋, 1995年


재밌게도 이 作品의 반짝이는 銀빛과 거친 質感은 겉모습만 보면 시멘트壁과 類似한 느낌을 줍니다. 그런데 作品 속에서 휘몰아치는 듯한 形體가 신비로운 雰圍氣를 만들어 냅니다.

여기에 못으로 박힌 木掌匣, 工場을 聯想케 하는 機械 裝置, 하이힐과 깡筒이 거친 表面 속에 특정한 사람들의 痕跡을 밀어 넣고 있습니다. 木掌匣을 끼고 일하는 사람, 或은 하이힐을 신고 걸어가는 사람 等이 그렇겠지요.

권순철, ‘넋’ 일부
권순철, ‘넋’ 一部
이렇게 같은 거친 表面을 두고 두 作家가 받은 各其 다른 令監이 제겐 흥미롭게 다가왔습니다. 이강소 作家는 매끈한 흰 壁 위에 시멘트壁 寫眞을 세우는 것으로 觀客이 다른 느낌을 가져보길 意圖하고 그 以上의 介入은 하지 않습니다. 마치 누군가의 옆구리를 손가락으로 쿡 찌르는 느낌입니다.

이에 反해 권순철 作家는 두껍게 쌓아 올린 물감의 거친 表面 아래 韓國이 겪었던 歷史와 그 속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냅니다. 作家가 더 積極的으로 介入하며, 몸으로 直接 겪은 時代의 이야기를 自身만의 造形 言語로 傳達하고자 하는 것이죠. 권순철 作家가 1960年代부터 只今까지 꾸준히 ‘韓國人의 얼굴’과 ‘韓國性’을 探究해 온 것의 脈絡에서 理解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권순철 작가가 기차역, 병원, 시장에서 마주친 사람들의 얼굴을 스케치한 그림들.
권순철 作家가 汽車驛, 病院, 市場에서 마주친 사람들의 얼굴을 스케치한 그림들.


昨年 창성동實驗室 드로잉 戰에서는 마스크를 쓰고 서울驛에 앉아 있는 사람의 얼굴이 登場하기도 했답니다. 또 권순철 作家는 파리에 머무는 동안에도, 또 韓國에 와서도 人體 드로잉을 每週 하면서 꾸준히 人間에 對한 探究를 해 왔는데요. 그러한 움직임이 쌓여 抽象化처럼 보이는 繪畫의 거친 表面도 마치 주름진 살갗과 같은 생생함이 느껴집니다.

권순철, 넋, 1994년
권순철, 넋, 1994年


約 60年 前 두 作家가 함께 作業했던 地域에서 다시 만나, 各自가 걸어왔던 길을 壓縮的으로 나마 돌아보는 것 같은 展示입니다. 여러분도 直接 이 空間에 가셔서 두 作家가 받은 令監, 그리고 내가 韓屋에서 받은 靈感을 한 番 比較해보세요.
○ 창성동實驗室과 영화루
그런데 제가 레터의 題目을 ‘韓屋집이 준 세 가지 靈感’이라고 말씀드렸죠?

권순철, 이강소 作家 外 나머지 하나의 令監은 바로 이 空間을 꾸려낸 이기진 西江大 物理學科 敎授의 이야기입니다. 이기진 敎授는 2007年 廢家였던 韓屋을 고쳐 只今의 空間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展示가 열리기도 하고, 때로는 洞네 사람들이 모여드는 아지트이자 作業室로 使用되는 재밌는 空間입니다.

이기진 敎授도 直接 일러스트와 彫刻 作品을 만들기도 하는데요. 서울 골목길의 아름다움이나, 오래된 것들의 魅力을 털어 놓는 著書를 여러 卷 쓰기도 했습니다. 그런 그가 갖고 있는 固有의 趣向을 이 空間 곳곳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于先 無彩色이었을 것 같은 집의 門은 샛노란 페인트로 丹粧했고, 그 옆에는 草綠色 看板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또 집 안으로 들어가는 길옆에는 植物들이 活氣를 더하고, 뒤뜰로 나가면 커다란 擁壁 옆에 텃밭과 野外에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알록달록한 테이블이 登場합니다.

缸아리, 물 조리개, 椅子와 비누까지. 些少해 보이는 小品 하나도 有心히 觀察해보세요. 아마도 이기진 敎授의 愛情이 깃든 物件들일 可能性이 큽니다.



西村의 또 한 곳을 紹介해드릴게요. 오래된 食堂 영화루인데요. 이곳 2層이 바로 過去 이강소, 권순철 作家가 함께했던 作業室이었다고 합니다. 더 以前에는 翰墨 作家의 作業室이기도 했다는데요.

1950年代에 西村에서 作業하는 作家들이 많았다네요. 그래서 천경자 作家가 지나가다 “翰墨 오빠!”라고 부르면 2層에서 翰墨 作家가 窓門을 열고 내다보고 人事를 했다는 이야기도 傳해집니다. 그러면 作家들은 2層으로 몰려가 또 다 함께 술을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곤 했다네요.

只今도 2層이 食堂으로 使用되고 있으니, 藝術家들의 오래된 痕跡을 느껴보고 싶다면 한 番 들러보세요.

▶展示 情報

가슴이 두근두근: 권순철, 이강소
2022.5.3~2022.5.29
창성동實驗室
作品數 10點


※‘令監 한 스푼’은 國內 美術館 展示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創意性의 事例를 紹介하는 뉴스레터입니다. 아래 링크로 購讀 申請을 하시면 每週 金曜日 아침 7時에 뉴스레터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令監 한 스푼 뉴스레터 購讀 申請 링크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51199



김민 記者 kimm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