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내의 죽음을 그린 모네는 왜 生前에 作品을 公開하지 않았을까 [김민의 그림이 있는 하루]|東亞日報

아내의 죽음을 그린 모네는 왜 生前에 作品을 公開하지 않았을까 [김민의 그림이 있는 하루]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2月 11日 10時 30分


코멘트
印象派의 始作을 알린 그림 ‘引上, 해돋이’로 많은 사람들은 프랑스의 畫家 클로드 모네를 記憶하고 있을 것입니다. 固定된 時點과 빛을 떠나 時時刻刻 變하는 風景을 捕捉한 그림으로 모네는 잘 알려져 있는데요. 밝은 太陽이 비쳐서 限 없이 푸른 잔디, 불그스름한 노을이 비춘 잔잔한 바다, 새벽빛에 神祕로운 보라色으로 물든 建物. 이런 것들이 우리가 모네의 그림을 記憶하는 方式입니다.

그런데 그런 그에게도 平生 집 밖으로 꺼내지 않았던 것으로 推定되는 아주 個人的이고 內密한 그림이 있었습니다. 모네의 寢室에 있었다는 것으로 傳해지는 이 그림에는 署名도 없었습니다. 그가 世上을 떠난 뒤 家族들이 表示를 위해 남긴 이름이 只今까지 남아 있을 뿐이죠. 1960年代 프랑스의 한 갤러리스트가 遺族에게 사들여 프랑스 루브르博物館에 寄贈하면서 비로소 存在가 알려진 그 作品을 오늘은 鑑賞해보겠습니다.

○ 사랑하는 사람의 마지막


그림 속 人物은 흰 시트 위에 누워있을 것으로 推定되지만, 보랏빛이 감도는 푸른色이 畵面을 支配하고 있습니다. 거칠게 亂刀질하듯 그어진 線들 위로 얼굴이 떠오르고 있는데요. 그 얼굴은 눈이 감겨 있고, 코는 힘든 숨을 내쉰 듯하며 입은 살짝 벌어져 있습니다.

이 그림은 클로드 모네가 自身의 아내 카미유가 世上을 떠난 마지막 瞬間을 捕捉한 그림입니다. 오른쪽으로 살짝 기울인 머리와 입술 사이로 드러난 齒牙가 氣力을 다한 그女의 모습을 赤裸裸하게 보여주고 있지요. 또 얼굴 아래 손이 있을 位置에는 흐릿하게 놓여진 꽃이 보입니다.

카미유와 클로드 모네에 關한 仔細한 이야기를 보기 前에 그림부터 먼저 더 仔細히 볼까요. 제가 이 그림에서 가장 印象 깊은 것은 거친 붓 터치로 빳빳한 듯이 그려진 시트 속에 파묻혀버린 카미유의 모습입니다. 그女의 눈, 코, 입이 艱辛히 그가 살아 있었음을 證明하고 있지만 生氣가 느껴지지 않는 全體的인 雰圍氣는 마치 카미유가 古木이나 化石이라도 된 것처럼 表現이 되어 있습니다. 사랑하는 아내의 죽음을 너무 赤裸裸하게 그렸다는 느낌도 듭니다.

美術史의 傳統을 봐도 죽음을 이렇게 露骨的으로 그린 作品은 흔치 않습니다. 뭉크의 ‘누이의 죽음’처럼 슬픔이 극대화된 瞬間으로 代身하거나, 大多數의 宗敎畫나 歷史畫는 雄壯하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죽음을 美化시키기도 하지요. 그런데 모네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이 永永 世上을 떠나버린 瞬間 느끼는 衝擊을 再演이라도 하려는 듯, 똑바로 대면하고 그리고 있네요. 카미유의 죽음은 모네에게 어떤 意味였던 걸까요.

○ 苦痛 속에 떠난 女人


모네는 1865年 모델 일을 했던 카미유를 만났고, 그女를 그리다 戀人이 됩니다. 위 그림은 두 사람이 처음 만났을 무렵 그려진 것으로 젊고 아름다운 카미유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事業을 돕기를 願하는 아버지의 뜻을 꺾고 畫家가 된 모네는 이 그림으로 처음 파리에서 認定을 받습니다. 1866年 파리 살롱展에 이 作品을 出品해 入選했고, 좋은 評價도 받았거든요. 그리고 이 그림을 팔아 돈을 벌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두 사람의 關係는 難關에 부딪치게 됩니다. 바로 모네의 아버지가 이들의 만남을 反對한 것입니다. 그의 아버지는 노르망디의 富裕한 都賣商이었습니다. 歌手였던 어머니의 支持로 모네는 畫家가 되었지만 그가 17살 때 어머니는 世上을 떠났습니다. 그 後 파리에 온 뒤로도 모네는 그림만으로 生計를 維持할 수 없어 아버지의 財政的 支援을 받았습니다.

甚至於 1867年 카미유가 모네의 아이를 낳았을 때도, 아버지는 “아이와 女子를 버리지 않으면 支援을 끊겠다”고 합니다. 모네는 結局 아버지로부터 아들 長과 카미유를 숨겼지만, 아들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1870年 귀스타브 쿠르베를 證人으로 結婚을 하게 됩니다. 結婚式에 모네의 家族은 參席하지 않았고, 經濟的 도움도 끊기게 됩니다.

이 무렵 두 사람의 苦痛은 始作되었습니다. 카미유의 父母님은 돈이 없는 딸에게 미리 遺産을 相續해주는데, 빚쟁이에 시달리는 모네에게 빼앗기지 않는 條件을 달았습니다. 雪上加霜으로 프랑스에 戰爭이 일어나 모네가 入隊해야 하는 危機에 處해, 英國으로 避身하게 됩니다.

차가운 파리의 單칸房에서 카미유는 혼자 아이를 돌보게 됩니다. 그런 가운데 모네는 그림을 팔거나, 컬렉터의 도움을 받아 가까스로 家族을 다시 만났다, 헤어졌다를 反復합니다. 돈이 없어 旅館에서 세 家族이 쫓겨난 적도 있다고 하네요. 이런 過程 속에서 카미유의 健康은 急激히 惡化하게 됩니다.

結局 카미유는 32살인 1879年, 둘째 아이를 낳은 뒤 家族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숨을 거두고 맙니다. 美術史家들은 그女가 骨盤 癌을 앓고 있었을 것으로 推定하고 있습니다. 모네는 아내가 숨을 거두고 난 뒤 너무나 슬퍼하며 그女가 좋아했던 목걸이를 걸어 주었다고 합니다.

○ 본다는 것의 意味
모네가 아내의 죽음을 그렸다는 것은 그가 죽고 난 뒤에야 알려졌다고 말씀 드렸죠. 모네는 이 그림을 發表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카미유가 世上을 떠나고 40年 뒤 어느 날, 모네는 親한 親舊이자 後援者였던 조르주 클레망소에게 이런 이야기를 털어 놓습니다.

“내가 갖는 그림에 對한 執着, 기쁨, 苦痛을 當身은 理解하지 못할 거야. 나는 아주 오래 前 아주 사랑했던, 只今도 사랑하는 女人의 죽음을 지켜본 적이 있네. (…) 그런데 그 悲慘한 얼굴을 들여다보면서 내가 無意識 中에 빛과 그림자 속에 드러난 色을 區別하고 있더군. 나에게 그렇게 많은 意味를 가졌던 얼굴인데 平素의 習慣이 그런 反射作用을 일으켰던 거야.”

이 發言은 모네가 그림을 對하고 事物을 認識하는 方式에 對해 言及한 有名한 이야기입니다. 過去 美術의 方式에서 脫皮하고 自身의 눈으로 ‘直觀’하기 위해 모네가 했던 피나는 努力을 實感해볼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앞에서도 그것을 맨눈으로 보려는 習慣이 作動을 했으니 말이지요.

그런데 그러한 모네를 ‘그림에 미친 사람’으로만 본다면 너무 單純한 結論일 것입니다. 왜냐면 그 過程을 통해 모네가 풀어 놓은 結果物은 곧 美化되거나 包裝되지 않은 正直한 죽음이며, 그 때의 苦痛을 率直하게 대면했던 瞬間의 個人的이면서 普遍的인 記錄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한다면 모네는 單純히 色깔을 區分하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自身이 눈으로 느꼈던 感覺을 集中해서 捕捉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여기서 ‘본다’는 行爲란 果然 무엇인가를 다시 한 番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눈으로 事物을 보는 것은 果然 客觀的일까요? 우리가 區別하는 色깔, 形態가 絶對的인 眞實이라고 말할 수 있는지요. 오히려 좋아하는 사람은 한 없이 예쁘게 보다가, 그 사람에게 失望하면 갑자기 못난이로 보는 것처럼 많은 主管이 作用하진 않나요? 結局 印象派 作家들이 던진 質問도 바로 이것이며, 이것에 對한 對答으로 個別性의 길을 열어 美術史에서 不滅로 남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카미유의 죽음’은 모네의 內密하면서도 가장 正直한 그림 中 하나인지도 모릅니다. 英國의 美術 評論家인 존 버거가 이 그림에 對해 한 이야기를 보시고 다시 한 番 鑑賞해보세요.

“흰色, 灰色, 보라色 물감이 눈보라를 일으킨다…. 喪失이라는 苦痛에 울부짖는 눈보라가 카미유의 얼굴을 永遠히 지워버릴 것만 같다. 죽음을 다룬 그림 中 이렇게 强烈하게 感覺을 내뿜으면서, 極度로 主觀的인 表現性을 드러내는 그림은 거의 없을 것이다.”

김민 記者 kimm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