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名 募集에 500名 몰려…쇄납 授業 講師 “理解 不可”

16名 募集에 500名 몰려…쇄납 授業 講師 “理解 不可”

11:56, March 28, 2024

[인민망 韓國語版 3月 28日] 最近 基礎라고는 1도 없는 젊은이들이 夜學의 瑣吶(??: 樂器의 一種) 講座에 몰리자 講師는 “500名 가까이 제 授業을 申請했는데, 도무지 理解할 수가 없다”라며 어리둥절해했다. 大體 어떻게 된 일일까? 開講 첫날 授業 雰圍氣는 어땠을까?

動映像 속 瑣吶半은 貯藏(浙江)省 文化館 市民藝術學堂의 봄 시즌 公益 講座 中 하나다. 文化館 關係者에 따르면 瑣吶 授業은 처음 開設됐으며 元來 16名을 募集하기로 했는데 491名이 申請했다.

瑣吶半 講師는 現在 貯藏演藝그룹 民族樂團에서 活動하고 있는 靑年 瑣吶 演奏者 쉐톈룽(薛天龍) 氏다. 그는 文化館 職員이 瑣吶班을 開設하자고 提議했을 때 곧장 同意했는데 처음에는 한番 해보자는 마음이었다면서 “30名만 申請해도 괜찮다고 생각했는데 한꺼번에 500名 가까이 申請했다”고 말했다.

開講 當日 受講生 16名이 모두 出席했다. 大部分이 90年代生으로 프로그래머, 디자이너, 1人 미디어 從事者 等 本業을 가지고 있었다. 모두 事前에 공지한대로 D長調 瑣吶을 準備해 왔다. 瑣吶을 예쁘게 治粧한 受講生도 있었다. 受講生들의 眞心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瑣吶 授業은 저녁 7時 正刻에 始作됐다. 쉐 講師와 助敎는 瑣吶 버전 ‘浩瀚가’(好漢歌)로 授業을 始作해 受講生들의 興味를 이끌어냈다. 쉐 講師는 첫 時間에 基本的인 音樂 理論부터 演奏 方式까지 빠르게 進度를 뺐다.

그는 “表現力이 豐富한 瑣吶은 代表的인 民俗音樂"이라면서 “正式으로 배우려면 入門 門턱과 學習 難度가 높다. 하지만 趣味 過程으로 制限된 8校時 授業을 통해 노래 몇 曲을 연주할 수 있다면 꽤 괜찮은 成跡”이라고 말했다.

쉐톈룽 24살때 쇄납 독주회 모습

쉐톈룽 24살 때 瑣吶 獨奏會 모습

헤이룽장(黑龍江)省 하얼빈(哈爾濱) 出身인 쉐톈룽(36) 氏는 7살 때부터 瑣吶을 배우기 始作했다. 그는 놀기 좋아하는 나이에 하루 네다섯 時間씩 練習을 해야 했기에 울기도 하고, 떼를 쓰기도 하고, 보이콧을 하기도 하고, 漠漠해하기도 했다고 回想했다.

不斷한 努力 끝에 學部는 中國音樂大學에, 大學院은 상하이音樂大學에 進學했다. 그는 “瑣吶은 매우 傳統的인 民間 樂器로 民間에서 由來해 民間에 퍼졌다”며 “나만의 方式으로 瑣吶을 理解하기 쉽게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10年 넘게 瑣吶을 가르치고 있는 그는 요즘 夜學 講義에 自信感을 갖고 있다.

瑣吶半 受講生들도 自信感에 넘친다. 한 프로그래머는 “瑣吶에 對해 새롭게 알게 됐다”며 “瑣吶은 民族 樂器의 王”이라고 말했다.

쉐 氏는 “요즘 京劇(京劇), 越劇(越劇) 등 궈차오(國潮·國調) 烈風이 한창”이라면서 “革新的인 公演 形式을 통해 젊은 市場을 開拓했다”고 말했다. 또 “이런 公益 講座를 통해 더 많은 젊은이들이 瑣吶을 사랑하고 理解함으로써 民俗音樂 文化가 더 넓은 世上에서 빛을 發할 수 있기를 希望한다”고 덧붙였다. (飜譯: 이인숙)

原文 出處: 인민망/資料 및 寫眞 出處: CCTV뉴스 위챗 公式計定

文化 뉴스 더보기

出處: 인민망 韓國語版 | (Web editor: 汪璨, 李正) 獨自 提報

<저작권자(c) 인민망,=""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最新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