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득공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유득공
柳得恭
朝鮮 京畿道 抱川郡 郡守
在任 1786年~1787年
賃金 朝鮮 正祖
이름
혜보(惠甫), 惠風(惠風)
英才(?齋), 靈巖(?菴), 假想루(歌商樓), 高운거사 (古芸居士), 古芸堂(古芸堂), 隱諱當(恩暉堂)
身上情報
出生日 1748年 12月 24日
出生地 朝鮮 漢城府
死亡日 1807年 10月 1日 ( 1807-10-01 ) (58歲)
死亡地 朝鮮 漢城府 에서 兵士
國籍 朝鮮
性別 男性
經歷 옛 同人界 性向 男인 離脫派 勢力 出身의 官僚 兼 實學者, 思想家, 文人, 著述家
黨派 老論系 洛論 性向 北學派 殘存 中心 勢力
父母 유춘(簿), 南陽 洪氏 否認(某)
配偶者 全州 李氏 否認
子女 유본예(아들)
親姻戚 유한상(親祖父)
柔軟(叔父)
홍이석 (外祖父)
理獄 (姨從四寸)
이집(姨從四寸)
學問 活動
分野 實學
主要 著作 발해고

유득공 (柳得恭, 類得功 , 1748年 12月 24日 ( 陰曆 11月 5日 ) ~ 1807年 10月 1日 ( 陰曆 9月 1日 ))은 造船 京畿道 抱川郡 郡守 職責을 지낸 朝鮮 時代 後期의 實學者, 文臣, 詩人이며 朝鮮 正祖 治世 時代 當時의 實學者 , 詩人이다.

그의 本貫은 文化 (文化) [1] , 者(字)는 혜보(惠甫), 惠風(惠風), 號는 영재(?齋), 靈巖(?菴), 假想루(歌商樓), 高운거사 (古芸居士), 古芸堂(古芸堂), 隱諱當(恩暉堂)이다.

生員 市와 眞사 詩에 모두 入格(合格)하고, 1779年 (正祖 3) 奎章閣검서(奎章閣檢書)가 되었으며 抱川, 堤川, 양근 等의 郡守를 거쳐 풍천府使에 이르렀다. 奎章閣 검서 當時 다양한 書籍을 읽으면서 新羅史 爲主의 國史를 批判的으로 바라보았고, 以後 발해고와 四郡志 等을 出刊하였다. 外職에 있으면서도 검서를 兼任하여 이덕무 , 박제가 , 서이수 等과 함께 4검서라고 불렸다. 庶孼 出身 學者로 實學 思想家이면서 歷史가 로, 발해고 의 著者로 新羅와 渤海를 南北國 時代로 認識한 學者이다.

生涯 [ 編輯 ]

出生과 家計 [ 編輯 ]

眞사(進士) 유춘(柳瑃: 1726年 8月 24日 ( 陰曆 7月 27日 )~ 1752年 7月 26日 ( 陰曆 6月 16日 ) [2] )과 南陽 洪氏 否認( 1725年 7月 25日 ( 陰曆 6月 16日 )~ 1801年 9月 12日 ( 陰曆 8月 5日 ) [3] )의 아들로 1748年 12月 24日 (英祖 24年 陰曆 11月 5日 ) 漢城府 에서 出生했다. 아버지 유춘(柳璉)은 16歲 때인 1741年 1年 年上인 南陽 洪氏, 홍이석 의 딸과 結婚하여 7年 만에 외아들 유득공을 낳았다. 그러나 柳得恭의 曾祖父인 有三益(柳三益)과 外할아버지 홍이석(洪以錫)李 庶子 인 까닭에 그는 태어나면서 庶孼 身分을 타고났다. 또한 그의 할머니 雨季 李氏 夫人 亦是 이서우 의 庶女였다.

그는 本來 남인 家計로 그의 外5代祖 홍석신 은 만전당 홍가신(晩全堂 洪可臣)과 四寸 間이며, 홍가신의 孫子인 남인 의 重鎭 홍우원 은 그의 外曾祖父뻘 되는 親族이었다. 또한 外外曾祖父 이서우 亦是 남인 의 重鎭이었다. 그러나 그는 燕巖 朴趾源 의 門下에 들게 되었고, 以後 老論 北學派 로 轉向한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暗記力에 能하였다. 後에 號를 英才(?齋)라 하고 다른 號로는 靈巖(?庵), 古芸堂(古芸堂) 等이 있는데, 特히 古芸堂은 地名으로 運動(芸洞)이라고도 불리던 漢城府 校書館桐(校書館洞, 後日 서울特別市 中區 충무로 2街 附近)에 그가 오랫 동안 살면서 지은 堂號(堂號)이다.

生涯 初期 [ 編輯 ]

그러나 1752年 (英祖 28年) 아버지 유춘이 死亡하자 南陽 의 外家로 移徙했다. 1757年 8歲가 되자 外家에서 漢城 으로 돌아왔다. 柳得恭은 일찍이 18~19歲부터 詩짓기를 배워서 能했다. 20歲 以後에는 北學派 朴智元 에게 師事하고 이어 이덕무 , 박제가 를 만났는데 以後 柳得恭은 그들과 平生의 지기로 交流했다.

그는 좋은 詩를 짓기 위해 여러 冊을 읽었다. 그는 다른 北學派 人士들과 마찬가지로 훌륭한 詩를 짓기 위해서는 東西古今을 莫論하고 모든 文學 作品들을 涉獵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讀書를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三國志 水滸傳 을 비롯, 中國 의 苦戰 書籍을 다양하게 求해서 讀書하였다. 求하기 어려운 冊은 直接 빌려서 耽讀하고 이를 筆寫本으로 베껴서 自身의 집에 備置해 두고 繼續 읽었다. 또한 滿洲 , 몽골 , 타타르 , 회회(回回, 이슬람), 印度 , 베트남 (安南), 라오스 (南掌), 미얀마 (緬甸), 타이완 , 日本 , 류큐 및 西洋의 洪某番(紅毛番, 英國), 프랑스 (프랑스), 네덜란드 等의 存在에도 關心을 가지게 되면서 淸나라 一邊倒, 淸나라 中心의 世界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 뒤 自身의 詩文을 모은 《영재집(冷齋集)》을 出刊하고 1772年 에는 韓國의 歷代 詩文을 엮은 《同時猛(東詩萌)》을 編著하였다.

1773年 (英祖 49年) 生員試에 合格, 生員(生員)李 되었다. 그 뒤 英祖 眞사 時에 合格하였다. 그러나 그는 庶孼인 탓에 官職의 制限이 있었고, 그는 出仕 代身 知己들을 만나며 學問 硏究와 歷史 硏究에 沒頭하였다.

官僚 生活 [ 編輯 ]

그 뒤 1777年 淸나라 旅行과 關聯된 것으로서 淸나라 旅行의 紀行文이자 여러 淸나라 文士들의 詩文을 모은 《重奏十一可視線(中州十一家詩選)》을 出刊하였다.

32世 되던 1779年(正祖 3)에 正祖의 庶孼許通令을 내리면서 詩文과 글짓기와 該博한 知識이 認定되어 1779年 7月 13日 (正祖 3年 陰曆 6月 1日 ) 特別히 奎章閣 檢書官(奎章閣 檢書官)에 任命되었다. 이때 그와 함께 奎章閣 檢書官에 任命된 朴齊家, 李德懋, 서이수(徐理修)와 함께 ' 奎章閣 의 4검서'라 불린다. 奎章閣 檢서로 있었기 때문에 宮中에 祕藏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中國, 日本의 飼料까지도 읽을 機會를 많이 가졌다. 이런 저런 歷史書를 읽고 그는 '高麗時代의 歷史家들이 統一新羅를 南朝로, 渤海를 北朝로 하는 局社 體系를 세우지 않았던 것이 永遠히 옛 땅을 되찾는 名分을 잃게 되었다.'라며 渤海史 가 國史에서 除外된 것에 恨歎하기도 했다.

詩文과 재주에 能하여 正祖 의 特別한 知友를 얻은 契機로 그는 庶孼 出身이라는 身分 制約에서 벗어나 官職을 두루 歷任하고, 1786年 抱川 縣監(抱川縣監), 堤川郡守(堤川郡守), 1788年 양근郡守(楊根郡守), 廣興倉 主婦(廣興倉主簿), 司䆃寺 主婦(司寺侍主簿)를 거쳐 1792年 加平 郡守 (加平郡守)를 지냈다.

外職(外職)에 있으면서도 奎章閣 검서(檢書)의 職銜을 가져 世上에서 이덕무 , 박제가 , 서이수 (徐理修)와 함께 4檢서로 불린다. 그는 北學派의 巨匠 朴趾源의 弟子로 李德懋 等과 더불어 實事求是(實事求是)로 産業 振興에 힘써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박제가 , 이덕무 , 이서구 (李書九)와 함께 漢學 4街(漢學四家)라고도 불리었다.

隱退와 末年 [ 編輯 ]

그 뒤 풍천都護府社(豊川都護府使)로 나갔으나 1800年 8月 18日 그를 아끼던 正祖 가 갑작스럽게 昇遐하자, 스스로 官職에서 물러나 隱居하였다. 그는 開城, 平壤, 公主 等과 같은 國內의 옛 都邑地를 遊覽하였고 두 次例에 걸쳐 中國 베이징 에 連行(燕行)하고 돌아왔으며 自身이 본 文物과 經驗을 土臺로 紀行文과 小說, 歷史書 等의 뛰어난 著述을 남겼다. 1807年 10月 1日 (純祖 7年 陰曆 9月 1日 )에 59歲를 一期로 死亡했다.

事後 [ 編輯 ]

事後 京畿道 楊州郡 時鈍면 宋山里(松山里, 現 議政府市 송산동) 松山에 安葬되었다.

著書 [ 編輯 ]

評價 [ 編輯 ]

詩文에 뛰어났으며, 奎章閣 檢서로 있었기 때문에 宮中에 備置된 國內外의 資料들을 接할 機會가 많아 다양한 分野에서 刮目할 만한 著書를 남겼다. 그는 韓國史의 獨自的인 發展과 體系化를 위해 歷史 硏究 對象을 擴大했다.

二十一都懷古詩(二十一都懷古詩)는 檀君朝鮮에서 高麗에 이르기까지 韓民族이 세운 21個 國家의 都邑地를 踏査하여 歷代 國家들의 都邑地돌의 顚倒(奠都) 및 繁榮을 읊은 43篇의 懷古詩로서 歷史의 展開 過程에서 民族의 主體 意識을 되새겨보려는 歷史 意識이 잘 나타나 있다는 評價를 받는다.

渤海史 硏究 [ 編輯 ]

그는 最初로 渤海史에 關心을 갖고, 渤海史가 高句麗의 流民들에 依해 建國되었다는 點을 注目하였다. 그는 渤海를 高句麗의 繼承者로 봤고, 高句麗를 繼承한 渤海를 本格的으로 硏究하여 이를 朝鮮 歷史의 體系 안에 包含시켜야 함을 主張했다. 또한 旣存의 統一新羅설에 異議를 提起하고 新羅와 渤海가 竝存했던 時期를 南北國 時代 (南北國時代)로 規定했다.

그는 南方 中心의 歷史 認識에서 出發하여 漸次로 北方 中心으로 變貌해갔고, 그 結果 《발해고》 《四郡志》를 著述하여 北方의 歷史를 照明하려는 努力을 試圖했다. 그는 《발해고》를 통하여 渤海의 옛 땅을 回復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披瀝하였고, 《四郡志》에서는 北方 歷史의 淵源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特히 《발해고》 머리말에서 柳得恭은 歷史가 新羅史 中心으로 된 것을 高麗의 탓이라 보았다. 柳得恭은 高麗 가 高句麗를 繼承하였다고 自處한다면 當然히 高句麗의 後身인 渤海 歷史까지도 包含된 南北局社(南北國史)를 썼어야 했는데 그러지 않았다고 批判하였으며, 渤海를 세운 大祚榮 의 大氏(大氏)가 高句麗 의 流民이었고 渤海의 땅도 元來 高句麗 땅이었으며 高句麗人들이 構成된 國家임을 記錄하여 渤海가 高句麗를 繼承한 나라임을 主張하였다. [4] 그의 硏究는 渤海 社에 對한 初期 硏究의 하나이며 그의 歷史 認識은 나중에 정약용 (丁若鏞), 한치윤 (韓致奫) 等의 硏究 業績이 나올 수 있는 土臺를 마련한 것으로 評價된다.

家族 關係 [ 編輯 ]

柳得恭의 家計는 庶孼이었다. 그의 曾祖할아버지 有三益이 高祖父 儒城區 의 庶子였고, 外할아버지 홍이석 은 外曾祖父 紅柹週 의 庶子였으며, 外祖母 雨季 李氏는 이서우 의 庶女였다.

  • 할아버지 : 유한상(柳漢相)
    • 아버지 : 유춘(柳瑃, ? - 1752年 )
    • 어머니 : 南陽 洪氏, 外祖父 홍이석(洪以錫)의 長女
      • 否認 : 全州 李氏
        • 아들 : 유본예(柳本藝)
    • 叔父: 留連(柳璉)
  • 外祖父 : 홍이석 (洪以錫, 1687年 - 1742年 , 이원현감, 兵馬節度使 紅柹週 의 庶子)
  • 外祖母 : 雨季 李氏, 송곡 이서우 (松谷 李瑞雨)의 庶女

유득공을 演技한 俳優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歷代人物 綜合情報 시스템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2. 유득공, 《영재집》 卷6, 先父君 墓地
  3. 유득공, 《영재집》 卷6, 선비 行長
  4. 유득공, 《영재집》 卷7, 발해고서; 박제가, 《精油角文集》 卷1, 발해고서

外部 링크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