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연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민 惠宗 王린
閩나라 의 第3代
閩나라의 初代 皇帝
在位 927年 1月 14日 [1] [2] (表面上)
또는 928年 8月 13日 [2] [3] (민왕으로써)
또는 933年 (閩나라의 皇帝로써) [4]
~ 935年 11月 17日 [2] [5]
戴冠式 933年
前任 민 四王
後任 민 康宗
이름
왕연균(王延鈞)
→ 王린(王? [6] /王璘 [4] , 933年 改名)
別號 盜名(道名, 道敎 式 이름) 현석(玄錫)
(※ 931年 末부터 932年 初까지 暫時나마 道士 로 있는 동안 이 道敎式 이름을 使用하였다.)
廟號 惠宗(惠宗)
시호 제숙명효皇帝(齊肅明孝皇帝)
年號 용계(龍啓) ( 933年 ~ 934年 )
映畫(永和) ( 935年 )
身上情報
出生日 未詳
出生地 未詳
死亡日 935年 11月 17日 [2] [5]
死亡地 장락(長樂, 只今의 푸저우시 現級視 窓러 時 )
王朝 閩나라
家門 낭야 王氏 (瑯?王氏)
父親 왕심지
母親 용계太後 黃氏 (龍啓太后黃氏)
配偶者 油畫 ( 917年 ~ 930年 )
金氏 ( 930年 ? ~ 935年 )
眞金棒 ( 935年 )
子女 5男 2女
王戒嚴(王繼嚴), 왕계붕 (王繼鵬),
王系공 (王繼恭), 王系度(王繼韜),
王系龍(王繼鎔/王繼鏞)
宗敎 道敎 , 佛敎

민 惠宗 왕연균 (?惠宗 王延鈞, ? ~ 935年 11月 17日 ( 陰曆 10月 19日 ) [2] [5] )은 中國 五代 十國 時代 閩나라 의 第3代 君主로, 皇帝 를 稱한 閩나라 最初의 君主이기도 하였다. 933年 皇帝를 自稱한 以後에는 이름을 王린 (王?/王璘)으로 改名하였다.

生涯 [ 編輯 ]

925年 왕심지가 죽은 後 內紛이 繼續되었다. 926年 (天性 元年) 12月 8日 왕심지의 長男 汪然한 (王延翰)李 帝位에 올랐으나, 왕심지의 養子 王筵稟 (王延稟)李 동생 왕연균과 함께 汪然한을 殺害하고, 곧이어 왕연균이 帝位에 올랐다. 卽位 後 곧 後唐 에게 節度使와 낭야王(琅邪王), 민왕(?王)으로 冊封되었다.

왕연균은 선술에 心醉하여, 皇宮을 建築하여 道士 진수원 (陳守元)을 招聘하였다.또 진수원의 말에 皇帝는 그의 말을 들어주었고, 932年 (長興 8年)에 後唐 朝廷에게 오월왕(吳越王)과 尙書令으로 봉해 줄 것을 要求하지만, 後糖이 그의 要請을 拒否했기 때문에 兩國의 關係는 斷絶되었다.

933年 (長興 4年) 왕연균은 皇帝를 自稱하였고, 國號를 對民(大?)으로 하였다. 年號를 용계(龍啓)로 稱하였고, 이름을 王린으로 改名했다. 그러나 왕연균은 自國의 國力을 客觀的으로 理解하여, 無謀한 國政 運營을 實施하지 않았기 때문에, 國內는 比較的 安定되어 있었다. 하지만 935年 長男인 왕계붕 (王繼鵬)에게 殺害當하고, 왕계붕이 帝位에 올랐다.

出身 背景 [ 編輯 ]

왕연균이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려진 바 없다. 그는 을 稱했던 낭야 王氏 家門의 招待 支配者 왕심지 의 둘째 아들이었다. [7] 그의 어머니는 왕심지의 側室 黃氏 였다. [8]

왕심지 年間 [ 編輯 ]

왕연균에 關한 飼料 最初의 記錄 917年 에 있었다. 當時 後涼 調整 에서 민왕의 作爲 를 받은 그의 아버지 왕심지는 그를 南韓 청원公州(淸遠公主) 油畫 와 結婚시켰다. (《 資治通鑑 》에 나오는 傳統 敍述에는 油畫가 南韓의 初代 皇帝 流淹 의 딸로 記述되어 있으나, 그女의 墓碑 가 發見된 以後 그 墓地 에는 그女가 流淹의 兄 遺恩 의 딸이었다고 明示되어 있다.) [8] [9] [10] 그때 왕연균은 아내都指揮使(牙內都指揮使)로 있었다. [9]

汪然한 年間 [ 編輯 ]

왕연균에 對한 史料의 記錄은 그의 아버지 왕심지가 925年 에 死亡한 以後까지는 더 異常 없다. 그 무렵, 그의 兄 汪然한 이 閩나라의 實權을 掌握하고, 처음에는 後梁의 繼承國인 後唐 의 臣下로써 慰撫群(威武軍, 閩나라의 領土를 이루었던 唐나라 의 번진(藩鎭)) 유후(留後)만을 自稱하고 있었다. [11] (汪然한은 後唐 朝廷의 裁可도 없이 926年 민왕을 自稱하였고, 事實上 後唐에게서 獨立했음을 스스로 宣言하였다.) 汪然한은 그의 兄弟들을 잘 待遇하지 않았다고 傳해진다. 그는 아버지의 地位를 相續한 지 몇 달 後에 왕연균을 수도 장락(長樂, 只今의 푸젠성 푸저우시 現級視 窓러 時 )에서 내보내 天主自社(泉州刺史, 只今의 푸젠성 취안저우 市 )로 發令해 버렸다. 나아가, 汪然한은 民間의 女子들을 끊임없이 徵發하여 自身의 妾들과 宮女 들로 삼았다. 왕연균 및 汪然한의 義兄弟인 件株自社(建州刺史, 只今의 푸젠성 난핑 時 ) 王筵稟 (王延稟, 그는 왕연균보다 나이가 많았다)이 그에게 그의 行動을 고칠 것을 歎願하는 글을 올리자, 그는 더욱 憤怒하였다. 그 結果, 그와 이들 두 兄弟의 사이가 惡化되었다. [1]

927年 새해 무렵, 王淵品과 왕연균은 福州(福州, 只今의 푸젠성 푸저우시 )를 向해 함께 攻擊을 開始하였다. 王淵品이 먼저 到着하여 伏誅指揮使(福州指揮使) 珍島(陳陶)를 擊破하였고, 進度는 自殺하였다. 이어 王淵품은 自身의 軍隊 를 이끌고 城壁을 넘어 城안으로 들어가 汪然한을 그의 아내 崔氏 와 함께 先王 왕심지를 毒殺한 罪로 죽였다. 이윽고 왕연균이 到着하자, 王淵품은 城門을 열어 그를 맞아들이고 그를 慰撫群 유후로 推戴하였다. [1]

慰撫群 節度使로서 [ 編輯 ]

왕연균이 政權을 掌握한 直後, 王淵품은 件週로 돌아갔다. 그는 福酒를 떠나면서, 왕연균에게 말했다. “祖上의 企業을 잘 지켜라. 이 兄이 다시 내려오도록 번거롭게 하지 마라!” 왕연균은 겉으로는 이 말을 공손히 받아들였지만, 이내 表情을 바꾸고는 不快함을 드러냈다. [1]

왕연균은 慰撫群 유후를 自稱하면서 後唐 政權에 服從을 繼續하고 있음을 드러냈고, 이에 따라 그 해 5月 後唐 明宗 은 그를 正式으로 節度使(節度使)에 임명하였다. 明宗은 또한 그에게 수中書令(守中書令)의 名譽 宰相 職銜을 내리고 낭야王(琅邪王)에 冊封하였다. [1] 나아가, 928年 에는 그를 민왕에 冊封하였다. [3]

민왕으로서 [ 編輯 ]

928年 , 왕연균은 2萬 名의 百姓들을 僧侶 가 되게 하였고, 이때부터 민 地方에는 僧侶들로 가득하였다고 傳해진다. [3]

930年 , 왕연균의 妻 油畫가 死亡하였다. [10] 油畫의 事後, 그는 金氏 를 自身의 아내로 맞아들였다. [8] (그러나 그의 두 番째 아내 또한 이름이 劉氏였다고 記述된 矛盾된 記錄이 存在한다.) [7]

931年 , 왕연균은 病이 들어 보였고, 이는 왕연품에게 알려졌다. 그는 이때가 閩나라를 차지할 때일 것이라고 決心했다. 王淵품은 그의 次男 王繼承(王繼升)에게 建州를 맡기고, 그 사이에 自身은 長男 件株自社 王계웅(王繼雄)과 함께 福酒를 向해 襲擊해 왔다. 包圍된 渦中에 왕연균의 將軍 人 淚腺指揮使(樓船指揮使) 王인달 (王仁達, 아마도 왕연균과 王筵稟 두 사람에게는 조카였을 것이다)은 왕계웅에게 投降하는 척하였다가, 그 다음에 埋伏 攻擊을 加하여 그를 殺害하였다. 왕계웅의 죽음은 王淵品과 그 軍隊의 士氣를 떨어뜨렸고, 王仁달은 그의 軍隊를 壞滅시키고 그를 사로잡았다. 왕연균은 當初 件主로 使者를 보내 그곳 守備隊를 慰勞하려 했으나, 王淵品의 追從者들은 獅子를 죽인 다음, 王繼承과 그의 동생 王桂輪(王繼倫)을 데리고 五月 로 달아났다. 그 해 5月 에 왕연균은 王淵品을 處刑하고, 그의 또다른 兄弟인 道敎鍊社(都敎練使) 王聯政 을 件主로 派遣하여 그곳 사람들을 慰勞하게 하였다. [12]

앞서 說明한 왕연균의 佛敎 傾向에도 不拘하고, 그는 不老長生 에 對한 가르침과 이를 利用하는 道敎 에 매우 關心을 가졌다. 그 해 ( 931年 ) 6月 道士 진수원(陳守元)과 術士 序言林(徐彦林), 聖徒(盛韜)가 그에게 步皇宮(寶皇宮, 步黃이라는 道敎의 神에게 바치려던 것으로 보인다)이라는 豪華로운 道敎 寺院 을 지을 것을 勸誘하였고, 진수원은 步皇宮의 弓奏(宮主)로써 일하기 始作하였다. 나아가, 진수원은 그 해 12月 에 그에게 步黃의 啓示에 따라, 王位를 떠나 한동안 道敎에 專念하면, 60年間 天子 가 될 수 있다고 勸하였다. 이를 믿은 그는 그의 아들인 節度府使(節度副使) 왕계붕 에게 臨時로 局社(國事)를 맡기고, 그동안 自身은 현석(玄錫)이라는 盜名(道名, 道敎式 이름)으로 道士가 되어 圖錄(圖?, 앞날의 吉凶을 豫言하는 內容을 적은 冊)을 받았다. 그는 이듬해인 932年 3月 에 復位하였다. 이어, 진수원과 序言林 두 사람은 왕연균에게 步黃이 더 나아가서 60年間 皇帝가 된 後에는 그가 이 되어 있을 것이라는 啓示를 내렸다고 말하였다. 이는 왕연균을 더욱 倨慢하게 만들었다. 그는 五月 電流 마은 의 最近 死亡으로 미루어 볼 때, 五月 과 尙書令(尙書令, 마은이 가지고 있던 職銜)의 地位를 달라고 要求하는 表文을 明宗에게 보냈다. 後唐 朝廷에서 아무런 回答이 없자, 왕연균은 自身이 後唐에 바치던 貢物을 끊어버렸다. [12]

家族 關係 [ 編輯 ]

元來는 왕심지의 側室로, 935年 皇后 에 冊立되었으나, 叛亂 으로 男便의 弑害 時에 함께 殺害당했다.

子女 [ 編輯 ]

親아들 [ 編輯 ]

  • 王戒嚴(王繼嚴)
油畫 蘇生. 아버지의 皇帝를 自稱한 以後 件王(建王)으로 冊封되었다. 935年 왕계붕 康宗 으로 登極한 直後 無所不爲의 權力을 휘두르던 黃成事(皇城使) 兼 판陸軍第位社(判六軍諸衛事) 異邦 이 鋼種에게 謀殺당하자, 그 後任으로 판陸軍第僞史에 任命되었다. 하지만 그가 部下 將兵들의 人氣를 얻자, 이를 猜忌한 鋼種에 依해 939年 6月 에 兵權을 박탈당하고 王癸酉(王繼裕)로 改名을 강요당하였다. 그 後, 鋼種이 弑害되고 叔父 왕연희 警鐘 으로 登極한 後에는 다시 本名이었던 王戒嚴으로 改名하였다. 天主自社(泉州刺史)를 歷任하였으나, 任地에서도 群衆들의 人氣를 얻자, 941年 이를 싫어한 왕연희에 依해 罷免, 毒殺을 當하였다.
油畫 蘇生. 933年 아버지가 皇帝를 自稱하면서 복왕(福王)에 冊封되었다. 939年 浮黃을 弑害하고 帝位에 登極하여 왕창(王昶)으로 改名하였다. 이가 민 康宗 이다. 仔細한 것은 該當 項目 參照.
油畫 蘇生. 936年 臨海王(臨海王)에 冊封되었다. 939年 注文鎭 年中禹 의 政變으로 鋼種이 弑害되자, 이에 말려들어 죽임을 當했다. 仔細한 것은 該當 項目 參照.
  • 王系度(王繼韜)
油畫 蘇生. 兄 왕계붕과 사이가 나빠서 왕계붕이 그를 싫어하였기 때문에, 935年 浮黃의 弑害 時에 政變을 主導한 黃成事 이房에 依해 繼母 眞金棒 等과 함께 살해당하였다.
  • 王系龍(王繼鎔)
眞金棒 蘇生. 939年 康宗 의 年間에 판陸軍第位社로 在職中 파면당한 異服兄 王戒嚴의 後任으로, 판六軍事(判六軍事)로 任命되었다. (이때 판陸軍第僞史의 "祭位(諸衛)" 自家 削除되어 판陸軍社로 職銜이 바뀌었다.) 《 資治通鑑 》에는 그의 이름이 王系龍(王繼鏞)으로 表記되어 있다.

種子(從子) [ 編輯 ]

仔細한 것은 該當 項目 參照.
  • 王系度(王繼圖)
932年 樞密司 設問걸 이 왕연균에게 王氏 一族들의 權力을 制限할 것을 建議하자, 이에 憤怒를 이기지 못하고 쿠데타 를 敢行하려 하였으나, 事前에 漏泄되어 死刑당하였다. 이 事件에 連坐되어 死刑당한 者들은 1千餘 名에 達하였다.

出戰, 註解 및 參考 資料 [ 編輯 ]

  1. 資治通鑑 》, 卷275 .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ZZTJ275"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2. 臺灣 中央硏究院 中國力(中國曆) ↔ 西曆(西曆) 變換器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AS"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3. 資治通鑑 》, 卷276 .
  4. 資治通鑑 》, 卷278 .
  5. 資治通鑑 》, 卷279 .
  6. 新五代史 》, 卷68 .
  7. 十國春秋 》, 卷91 .
  8. 十國春秋 》, 卷94 .
  9. 資治通鑑 》, 卷270 .
  10. 油畫 와 왕연균의 아들들(그女의 所生인지 아닌지 肝에)에 對한 加勢(家世)의 情報 一部에 關해서는 진홍균(陳鴻鈞), “ 幅巾 에서 出土된《당 고 年國명혜否認 팽성 劉氏 墓地 (唐故燕國明惠夫人彭城劉氏墓誌)》에 對한 考察과 分析”, 닝보 大學 學報 (人文科學판), 第23卷 第5基를 參照. [1]
  11. 資治通鑑 》, 卷274 .
  12. 資治通鑑 》, 卷277 .
前任
汪然한
慰撫群 節度使
927年 ~ 933年
後任
皇帝의 稱號를 自稱
前任
汪然한
第3代 閩나라의 君主
927年 ~ 935年
後任
왕계붕
前任
該當 作爲 에 다시 冊封됨
閩나라 의 王
928年 ~ 933年
後任
皇帝를 自稱
前任
없음 (最初로 皇帝를 自稱)
第1代 閩나라 의 皇帝
933年 ~ 935年
後任
次男 민 康宗 왕창